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제해만 동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9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해만은 동시와 시, 시조, 그리고 평론을 함께 써온 시인이다. 그 중 동시 창작은 초등학교 교직 생활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생전에 세 권의 동시집을 세상에 내놓았는데, 자연에 대한 일관된 시적 관심을 보여주었다. 그에게 자연은 순수, 동심, 어린이와 동일시된 개념이었다. 하지만 그 3권의 동시집은 자연을 대하는 시적 인식 태도와 시적 언술방식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첫 동시집 『바람의 집』에서는 ‘동시도 시’라는 시 의식에 심도 있게 기울어 있었고, 두 번째 동시집 『어른들은 모르셔요』에서는 어린이들에게 가깝게 다가가 그들에게 내재한 동심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세 번째 동시집 『별 찾기』에서는 소외된 대상들과 그들의 삶의 현실을 환기시키고자 했다. 이러한 제해만 동시의 시적 인식의 변화는 시적 추구에서 동심의 이해로, 그리고 어린이에 대한 진정한 애정으로 다가가는 지향성을 확연히 보여준 것으로, 한국 동시문학사의 일면을 시사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해만의 동시집을 순차적으로 살피는 것은 196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에 이르는 한국 동시문학의 한 흐름을 되짚어보는 의미 있는 일이다. 곧 1960년대 일어난 ‘동시도 시여야 한다’는 시운동의 성과와 1980년대 동심에 대한 진지한 시적 각성을 거쳐 어린이들의 삶과 시대적 문제성을 성찰해나간 한국 동시문학사의 한 과정을, 제해만 동시집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제해만은 동시와 시, 시조, 그리고 평론을 함께 써온 시인이다. 그 중 동시 창작은 초등학교 교직 생활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생전에 세 권의 동시집을 세상에 내놓았는데, 자연에 대한 일관...

      제해만은 동시와 시, 시조, 그리고 평론을 함께 써온 시인이다. 그 중 동시 창작은 초등학교 교직 생활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생전에 세 권의 동시집을 세상에 내놓았는데, 자연에 대한 일관된 시적 관심을 보여주었다. 그에게 자연은 순수, 동심, 어린이와 동일시된 개념이었다. 하지만 그 3권의 동시집은 자연을 대하는 시적 인식 태도와 시적 언술방식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첫 동시집 『바람의 집』에서는 ‘동시도 시’라는 시 의식에 심도 있게 기울어 있었고, 두 번째 동시집 『어른들은 모르셔요』에서는 어린이들에게 가깝게 다가가 그들에게 내재한 동심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세 번째 동시집 『별 찾기』에서는 소외된 대상들과 그들의 삶의 현실을 환기시키고자 했다. 이러한 제해만 동시의 시적 인식의 변화는 시적 추구에서 동심의 이해로, 그리고 어린이에 대한 진정한 애정으로 다가가는 지향성을 확연히 보여준 것으로, 한국 동시문학사의 일면을 시사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해만의 동시집을 순차적으로 살피는 것은 196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에 이르는 한국 동시문학의 한 흐름을 되짚어보는 의미 있는 일이다. 곧 1960년대 일어난 ‘동시도 시여야 한다’는 시운동의 성과와 1980년대 동심에 대한 진지한 시적 각성을 거쳐 어린이들의 삶과 시대적 문제성을 성찰해나간 한국 동시문학사의 한 과정을, 제해만 동시집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 Hae-man was the poet who wrote the children’s poem, poem, sijo(Korean poem) and literary criticism together. Among them, he began to write his children’s poem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He wrote the three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 in his life time and he consistently showed his poetic interests about nature. For him, nature was the identical concept with purity, innocence of childhood, and children. The three collections of children’s poem of his, however, showed the distinctive changes as treating nature in poetic recognizing attitude and poetic referencing method as treating nature. In his first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House of the wind, he expressed his poetic idea that ’the children’s poem was also poem’, and in his second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Grown-up doesn’t know, he tried to recognize innocence of childhood which was inherent in children by closely approaching to the them. In his third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Finding star, he wanted to focus to the neglected class of people and their reality of life. These poetic changes in his children’s poem definitely showed his directivity from poetic pursuit to understanding childhood and the true affection about the children. It also suggested one side of Korean literary history of children’s poem. Therefore, to study his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in order means looking back the flow of Korean children’s poem from 1960’s to mid 1990’s. In other words, we can also examine the result of poetic movement, ‘The children’s poem should be poem, either’ in 1960’s and the one course of Korean literary history of children’s poem in 1980’s that searched children’s life and the problem of times through true poetic awakening about children’s poem by studying Je Hae-man’s children’s poem.
      번역하기

      Je Hae-man was the poet who wrote the children’s poem, poem, sijo(Korean poem) and literary criticism together. Among them, he began to write his children’s poem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He wrote the three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 ...

      Je Hae-man was the poet who wrote the children’s poem, poem, sijo(Korean poem) and literary criticism together. Among them, he began to write his children’s poem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He wrote the three collection of children’s poems in his life time and he consistently showed his poetic interests about nature. For him, nature was the identical concept with purity, innocence of childhood, and children. The three collections of children’s poem of his, however, showed the distinctive changes as treating nature in poetic recognizing attitude and poetic referencing method as treating nature. In his first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House of the wind, he expressed his poetic idea that ’the children’s poem was also poem’, and in his second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Grown-up doesn’t know, he tried to recognize innocence of childhood which was inherent in children by closely approaching to the them. In his third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Finding star, he wanted to focus to the neglected class of people and their reality of life. These poetic changes in his children’s poem definitely showed his directivity from poetic pursuit to understanding childhood and the true affection about the children. It also suggested one side of Korean literary history of children’s poem. Therefore, to study his collection of children’s poem in order means looking back the flow of Korean children’s poem from 1960’s to mid 1990’s. In other words, we can also examine the result of poetic movement, ‘The children’s poem should be poem, either’ in 1960’s and the one course of Korean literary history of children’s poem in 1980’s that searched children’s life and the problem of times through true poetic awakening about children’s poem by studying Je Hae-man’s children’s po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바람의 집』과 시적 추구
      • Ⅲ.『어른들은 모르셔요』와 동심의 재발견
      • Ⅳ.『별 찾기』와 아이들 삶 현실에 대한 시적 각성
      • 《요약》
      • Ⅰ. 머리말
      • Ⅱ.『바람의 집』과 시적 추구
      • Ⅲ.『어른들은 모르셔요』와 동심의 재발견
      • Ⅳ.『별 찾기』와 아이들 삶 현실에 대한 시적 각성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관, "조화와 균형의 정신-제해만의『어른들은 모르셔요』" (8) : 1988

      2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1999

      3 제해만, "어른들은 모르셔요" 대교문화 1988

      4 제해만, "순수문학을 추구하면서" (6) : 1986

      5 김욱동,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6 유근조, "삶의 총체적 인식을 통한 초월적 의지 구현, in 꿈같은 흐름" 시문학사 1985

      7 제해만, "별 찾기" 상서각 1994

      8 제해만, "바람의 집" 월간문학사 1982

      9 김용희, "동심의 숲에서 길찾기" 청동거울 1989

      10 전병호, "동시의 존재이유 탐구(제해만론), in 한국현대아동문학작가작품론" 집문당 1997

      1 이준관, "조화와 균형의 정신-제해만의『어른들은 모르셔요』" (8) : 1988

      2 김욱동, "은유와 환유" 민음사 1999

      3 제해만, "어른들은 모르셔요" 대교문화 1988

      4 제해만, "순수문학을 추구하면서" (6) : 1986

      5 김욱동,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6 유근조, "삶의 총체적 인식을 통한 초월적 의지 구현, in 꿈같은 흐름" 시문학사 1985

      7 제해만, "별 찾기" 상서각 1994

      8 제해만, "바람의 집" 월간문학사 1982

      9 김용희, "동심의 숲에서 길찾기" 청동거울 1989

      10 전병호, "동시의 존재이유 탐구(제해만론), in 한국현대아동문학작가작품론" 집문당 1997

      11 제해만, "너를 만나고 싶다" 미리내 2001

      12 제해만, "기억의 저편을 너머" (여름) : 1995

      13 김일환, "갈매기 소녀" 계림출판사 1979

      14 M. H. Abrams, "The Mirror and Lamp" Oxford Univ. Press 1953

      15 제해만, "90年代에는 이런 作品이 나와야 한다" 한국현대아동문학가협회 5 :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Ri, Jae Cheal -> KOREA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8 1.006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