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생활 5년이하와 6년 이상 부부의 결혼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Factors that affect marital satisfaction of spouses in marriages for 5 years or fewer and 6 years or m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4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key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rooted in the seven principles of the ‘Happy Home of Marriage’ model in Gottman’s theory of success and failure of marriage. Each principle suggests how to achieve a happier marital relationship and is clos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lthough each of the seven seems to be independent. For quantitative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145 male and female adults living in Seoul, who are in one of two groups of early marriage, 5 or fewer years of marriage or 6 or more years.
      For those with 5 or fewer years in marriage, communication turns out to be a key factor affecting their marital satisfaction. Variables in positive correlation include self-esteem, an active attitude and spousal conflict solving, whereas an inactive attitude and sexual satisfaction show little significance.
      For those with 6 or more years of marriage, sexual satisfaction, an active attitude and communication ar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self-esteem and inactive attitude do not show significance.
      The study concludes that communication widely affects marital relationships in general an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increases the level of self-esteem, active attitude and conflict solving.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key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rooted in the seven principles of the ‘Happy Home of Marriage’ model in Gottman’s theory of success and failure of marriage. Each principle suggest...

      This study analyzes the key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rooted in the seven principles of the ‘Happy Home of Marriage’ model in Gottman’s theory of success and failure of marriage. Each principle suggests how to achieve a happier marital relationship and is clos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lthough each of the seven seems to be independent. For quantitative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145 male and female adults living in Seoul, who are in one of two groups of early marriage, 5 or fewer years of marriage or 6 or more years.
      For those with 5 or fewer years in marriage, communication turns out to be a key factor affecting their marital satisfaction. Variables in positive correlation include self-esteem, an active attitude and spousal conflict solving, whereas an inactive attitude and sexual satisfaction show little significance.
      For those with 6 or more years of marriage, sexual satisfaction, an active attitude and communication ar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self-esteem and inactive attitude do not show significance.
      The study concludes that communication widely affects marital relationships in general an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increases the level of self-esteem, active attitude and conflict solv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결혼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은 Gottman의 결혼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이론 중 7층으로 구성 된 ‘행복한 결혼의 집’ 모형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였다. 이 이론에서 각 층은 행복한 부부관계를 이루는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데 각 층은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어서 독립 된 층 같지만 1층부터 7층 까지 각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론이다. 양적분석을 위해서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남녀 중 신혼기 부부라고 할 수 있는 145명을 대상으로 결혼생활 5년 이하와 6년 이상으로 분리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보면 결혼생활 5년 이하 부부의 결혼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이었고,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인은 자아존중감, 적극적 대처, 그리고 부부갈등의 대처방식이었으며, 소극적 대처와 성만족도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결혼생활 6년 이상 부부의 결혼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만족도, 적극적 대처, 그리고 의사소통 만족도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소극적 대처와의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의사소통의 만족도가 결혼생활 전반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쳐, 의사소통의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로 인해 자아존중감, 적극적 대처, 갈등을 대처하거나 극복하려는 수준이 함께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결혼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은 Gottman의 결혼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이론 중 7층으로 구성 된 ‘행복한 결혼의 집’ 모형을 중심으로 기본...

      본 연구는 결혼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은 Gottman의 결혼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이론 중 7층으로 구성 된 ‘행복한 결혼의 집’ 모형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였다. 이 이론에서 각 층은 행복한 부부관계를 이루는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데 각 층은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어서 독립 된 층 같지만 1층부터 7층 까지 각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론이다. 양적분석을 위해서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남녀 중 신혼기 부부라고 할 수 있는 145명을 대상으로 결혼생활 5년 이하와 6년 이상으로 분리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보면 결혼생활 5년 이하 부부의 결혼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이었고,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변인은 자아존중감, 적극적 대처, 그리고 부부갈등의 대처방식이었으며, 소극적 대처와 성만족도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결혼생활 6년 이상 부부의 결혼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만족도, 적극적 대처, 그리고 의사소통 만족도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소극적 대처와의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의사소통의 만족도가 결혼생활 전반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쳐, 의사소통의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이로 인해 자아존중감, 적극적 대처, 갈등을 대처하거나 극복하려는 수준이 함께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가트맨, 존 M.,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문학사상사 2000

      2 김요한, "청소년 교육에 New Age Movement가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3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0 (20): 21-40, 1999

      4 장순복, "자궁절제수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 분석" 대한간호학회 19 (19): 160-172, 1989

      5 이재현, "영성지도와 목회상담: 상담관계를 통한 영적 성숙" 한국목회상담학회 23 : 144-172, 2014

      6 이영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7 김정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7 (7): 127-138, 1985

      8 신은자,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를 위한 영성상담" 한국목회상담학회 25 : 150-189, 2015

      9 박은혜,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5 : 36-80, 2015

      10 김진희, "부부간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스트레스 인지수준" 36 (36): 63-76, 1998

      1 가트맨, 존 M.,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문학사상사 2000

      2 김요한, "청소년 교육에 New Age Movement가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3 어주경,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0 (20): 21-40, 1999

      4 장순복, "자궁절제수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 분석" 대한간호학회 19 (19): 160-172, 1989

      5 이재현, "영성지도와 목회상담: 상담관계를 통한 영적 성숙" 한국목회상담학회 23 : 144-172, 2014

      6 이영자,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서울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7 김정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7 (7): 127-138, 1985

      8 신은자, "부성상실을 경험한 어린이를 위한 영성상담" 한국목회상담학회 25 : 150-189, 2015

      9 박은혜,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심리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5 : 36-80, 2015

      10 김진희, "부부간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스트레스 인지수준" 36 (36): 63-76, 1998

      11 김숙남, "기혼여성의 성만족" 28 (28): 201-209, 1997

      12 이인숙, "기혼여성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생활 만족" 한국보건간호학회 14 (14): 396-414, 2000

      13 유영주, "결혼만족도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4 (4): 1-14, 1986

      14 반신환, "결혼과 가족" 동문사 2011

      15 Gottman, J. M., "Why Marriages Succeed or Fail" Simon and Schuster 1994

      16 Gottman, J. M, "The Seven Principles for Making Marring Work" Three Rivers Press 1999

      17 Folkman, S., "The Revised Ways of Coping" University of California 1985

      18 Gottman, J. M., "The Marriage Clinic" W. W. Norton & Company 1999

      1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0 Bienvenu, M. J.,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19 (19): 26-31, 1970

      21 Porter, B., "Marital Discord and Childhood Behavior Problems" 8 : 287-295, 1980

      22 Emery, R. E., "Marital Discord and Child Behavior Problems in Nonclinic Sample" 12 : 411-420, 1984

      23 Gottman, J. M., "Clinical Manual for Marital Therapy: Research-based Approach" The Gottman Institute 2000

      24 Bowden, M., "Ape-Men-Fact or Fallacy?" Sovereign Publications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9 0.72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