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베쟈네다상가의 형성과 아르헨티나 한인의 종족공간 만들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051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의류 도매상가인 아베쟈네다상가가 아르헨티나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종족공간으로 되는 과정을 아르헨티나 한인사회의 발간물과 아르헨티나 한인 상인의 ...

      이 논문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의류 도매상가인 아베쟈네다상가가 아르헨티나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종족공간으로 되는 과정을 아르헨티나 한인사회의 발간물과 아르헨티나 한인 상인의 구술을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아울러 아르헨티나 한인사회에서 아베쟈네다상가가 갖는 종족공간으로서의 의미를 포착하고자 했다.
      1965년 1차 계약이민을 계기로 형성된 아르헨티나 한인사회는 경제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주 초기 가내 의류봉제 하청업자였던 한인은 점차 도매상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온세상가를 거쳐 아베쟈네다상가로 확산되었다. 한인상인의 경제력 향상은 자연스럽게 한인의 주거와 경제활동 장소를 분리시켰다. 이 과정에서 아르헨티나에서 전통적으로 한인촌의 지위를 갖고 있던 백구지역은 약화되었고, 급기야 백구지역 주변부의 슬럼화로 한인사회에서 ‘위험한 공간’으로 간주되면서 한인사회의 경제중심지는 아베쟈네다상가로 옮겨갔다.
      한인들이 아베쟈네다상가에서 다양한 종족관계를 경험하게 되면서, 상가는 종족공간화 된다. 특히 2006년 루이스 비알레 화재사건이 종족갈등으로 변모되면서 아베쟈네다상가 한인 상인들은 연대하고 아베쟈네다상가가 종족 공간의 성격을 보이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백구지역의 부정적인 이미지는 아르헨티나 한인사회를 상징하고 대표할 새로운 공간을 필요로 했다. 한인들은 축제와 각종 대외사업 등을 통해 상가를 기반으로 아르헨티나 사회에 종족성을 드러내고 아베쟈네다상가를 종족공간으로 만들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Avellaneda Fashion District of Argentina, previously a Jewish residential area, developed into a clothing wholesale district driven by Korean immigrants. By closely reviewing Korean immigration documents and m...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Avellaneda Fashion District of Argentina, previously a Jewish residential area, developed into a clothing wholesale district driven by Korean immigrants. By closely reviewing Korean immigration documents and multiple sources, including interviews of Korean immigrants, this study highlights the sociocultural, historical, political, and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appropriation of the district as a Korean ethnic space.
      In 1965, the first Korean indentured immigrants settled down in Argentina. Since then, the Korean ethnic community has experienced dramatic rise and fall mirroring the textile industry. Those who initially subcontracted to Jewish merchants selling domestically produced garments became wholesalers and gradually expanded into the Jewish residential area via Once Street. However, as the economic power of Korean immigrants improved, home-based small factory transferred into wholesaler with manufacturing factories at the business area. It resulted in the first Korean town to become shrunken and notorious as a ‘dangerous space’ as the consequences of the ghettoization of the neighborhood area of Paekku and the relocation of the Korean textile business’s economic hub to Avellaneda Fashion District.
      Meanwhile, the emergent ethnic space also developed in the process of contesting with other ethnic groups. In 2006, there was a fire accident in Louis Viale escalated ethnic conflict between a Korean merchant and Bolivian immigrants. It was this event that brought together the Korean merchants of the district in solidarity to resolve the case and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 Korean ethnic space. Korean immigrants have then continuously reinforced their cultural presence in the district by hosting ethnic festival, carrying out field survey and implementing various pro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온세에서 아베쟈네다로
      • Ⅲ. 백구지역에서 아베쟈네다로
      • Ⅳ. 종족공간으로서의 아베쟈네다상가
      • Ⅴ. 나오며
      • Ⅰ. 들어가며
      • Ⅱ. 온세에서 아베쟈네다로
      • Ⅲ. 백구지역에서 아베쟈네다로
      • Ⅳ. 종족공간으로서의 아베쟈네다상가
      • Ⅴ. 나오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르페브르, 앙리,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2 임영상, "코리아타운과 한국문화" 북코리아 2012

      3 서성철, "중남미 한인의 역사" 국사편찬위원회 138-207, 2007

      4 송지영, "종족공간의 생성과 한인 공동체 만들기: 아르헨티나 아베쟈네다상가의 한인 상인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20

      5 김판석, "제2의 한인타운 아베쟈네다" 74-75, 1998

      6 렐프, 에드워드,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7 정은주, "장소성에 기반한 초국가 시대 이주 연구: 교외 거주 재미한인 연구 모델의 모색" 사회과학연구소 43 (43): 39-63, 2019

      8 정은주, "이주 공간 연구와 이주민 행위주체성(agency)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교문화연구소 23 (23): 145-185, 2017

      9 재아르헨티나한인회, "아르헨티나 한인이민 50년사" 재아르헨티나한인회 2016

      10 이교범, "아르헨티나 한인 이민 25년사" 선영사 1992

      1 르페브르, 앙리, "현대세계의 일상성" 기파랑 2005

      2 임영상, "코리아타운과 한국문화" 북코리아 2012

      3 서성철, "중남미 한인의 역사" 국사편찬위원회 138-207, 2007

      4 송지영, "종족공간의 생성과 한인 공동체 만들기: 아르헨티나 아베쟈네다상가의 한인 상인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20

      5 김판석, "제2의 한인타운 아베쟈네다" 74-75, 1998

      6 렐프, 에드워드,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7 정은주, "장소성에 기반한 초국가 시대 이주 연구: 교외 거주 재미한인 연구 모델의 모색" 사회과학연구소 43 (43): 39-63, 2019

      8 정은주, "이주 공간 연구와 이주민 행위주체성(agency)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교문화연구소 23 (23): 145-185, 2017

      9 재아르헨티나한인회, "아르헨티나 한인이민 50년사" 재아르헨티나한인회 2016

      10 이교범, "아르헨티나 한인 이민 25년사" 선영사 1992

      11 송지영, "아르헨티나 한인 상인 단체의 성격 변화에 대한 연구"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12 (12): 229-268, 2018

      12 아르헨띠나 한인 이민 문화연구원, "아르헨띠나 한국인 이민 40년사" 대양문화사 2006

      13 서성철, "라틴아메리카와 한국인 이민/아르헨티나 한인사회와 현지적응"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18 (18): 155-186, 2005

      14 "https://www.iom.int/countries/argentina"

      15 "https://www.clarin.com/ciudades/transporte-porteno-mayoria-colectivo-bicicleta_0_B1ARaBS0.html"

      16 "https://www.buenosaires.gob.ar/derechoshumanos/ba-celebra"

      17 "https://oec.world/en/profile/country/arg/"

      18 Berman Jewish Databank, "World Jewish Population" Berman Jewish Data Bank 2017

      19 Silvia Sassano, "Transformación de un espacio urbano: el caso del Mercado de Abasto de Buenos Aires" 21 : 99-118, 2001

      20 Mirta Bialogorski, "The gaze of the other: Koreans and Bolivians in Buenos Aires" 30 (30): 1996

      21 Corina Courtis, "Texturas del Barrio Coreano: Apuntes Etnograficos" (10) : 97-110, 1998

      22 FECOBA, "Ocupacion de Locales Comerciales en la Ciudad de Buenos Aires, 2017 ENE"

      23 Carolina Mera, "La inmigración coreana en Buenos Aires. Multiculturalismo en el espacio urbano"

      24 Min Zhou, "Ethnic enclaves and niches"

      25 Minitsterio de Desarrollo Urbano, "Avenida Avellaneda y Su Área den Influencia" Gobierno de la Ciudad Buenos Aires 2009

      26 Direccioń General de Estadística y Censos(Ministerio de Hacienda GCBA), "Anuario Estadístico 2016 Ciudad de Buenos Aires" 2017

      27 Marianela D’Aprile, "A City Divided: “Fragmented” urban space in 20th century Buenos Aires" University of Tennessee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4 1.54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1.72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