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글의 진술방식’ 고찰 - 대학 신입생 대상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Patterns of development in the Writing Education of the College -Focusing on Writing Textbooks for the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25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대학 신입생 글쓰기 교재에 편성된 ‘글의 진술방식’에 대해 검토했다. 글쓰기 교과 영역 중 개념을 익히고 그것을 적용하여 비교적 정해진 테두리안에서 글을 쓰는 연습을 할 수 ...

      이 글은 대학 신입생 글쓰기 교재에 편성된 ‘글의 진술방식’에 대해 검토했다. 글쓰기 교과 영역 중 개념을 익히고 그것을 적용하여 비교적 정해진 테두리안에서 글을 쓰는 연습을 할 수 있는 영역이, ‘글의 진술방식’ 영역이다. 간섭주의, 성숙주의, 상호작용주의 등이 글쓰기 수업에서 취할 수 있는 교수 관점이라고 한다면 ‘글의 진술방식’ 영역의 교육은 간섭주의 관점에서 실시하기에 용이하다고 보았다. 상대적으로 교수자가 개념을 가르칠 수 있는 수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쓰기 교과에서 ‘글의 진술방식’ 영역의 교수(敎授)는 영어권 작문 교육에서 시작되었다. 그것을 메이지(明治) 시기에 일본이 받아들였고, 70년대 대학 교육에서 우리나라가 받아들였다. 70년대는 작문 수업이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기이다. 작문 수업이 시작되는 것과 동시에 글쓰기 교재에 ‘글의 진술방식’이 편성된 것이다. 그렇게 본다면 ‘글의 진술방식’은 글쓰기 교과 내용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현행 대학 글쓰기 교재는 ‘글의 진술방식’이 어떤 점에서 필요한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은 채 소개되어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70년대 우리나라 대학 글쓰기 교재와 영어권과 일어권의 글쓰기 교재에서 ‘글의 진술방식’ 항목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patterns of development' in the writing textbook for the college students. ‘Patterns of development in writing’ is important part of writing education for beginners. For studying the patterns of development, students learn t...

      This paper deals with 'patterns of development' in the writing textbook for the college students. ‘Patterns of development in writing’ is important part of writing education for beginners. For studying the patterns of development, students learn the concept and practice within the defined the frame. If, in the writing class, as perspective of writing education, there are interventionism, maturationism and interventionism, among them, interventionism is associated with teaching patterns of development, which is the reasons that professor can teach the concept easily.
      It wasn't until the 1970s that the writing textbook for college students was composed and educated. The patterns of developmen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writing curriculum. The current college textbook, however, does not clearly state why the patterns of development is required. So they deal with how English and Japanese textbooks described the topic of the patterns of development that is to exposition, narrative, description, and argument.
      In the writing textbook, ‘patterns of development in writing’ has started from English writing education and japan accept it in Meiji period and Korea accepted it in the 1970s. About 'patterns of development in writing', I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development are the way to identify and think about the subject. Second, it is better to focus on the description than to introduce the one of four forms. Third, narrative, description, and argument are put in the subsection of the exposition. Finally, it is good to place patterns of development in writing in the writing proc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숙자, "작문의 진술방식으로서의 '서사' ― 7차 '작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3) : 381-406, 2011

      2 박영민, "우리나라 중등·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 글쓰기 교재" 한국작문학회 (7) : 235-258, 2008

      3 김현정, "설명적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 - 개념적 은유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 : 183-207, 2017

      4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사회계 글쓰기" 태학사 2016

      5 기초글쓰기교재편찬위원회, "사고와표현" 궁미디어 2014

      6 국어교재 편찬위원회, "대학작문" 연세대학교 출판부 65-, 1972

      7 정종진, "대학인의 글쓰기" 한올출판사 2017

      8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글쓰기 교재 편찬위원회, "대학글쓰기" 역락 2017

      9 서울교대국어교재연구회, "대학국어" 학문사 353-, 1973

      10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대학 글쓰기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4

      1 박숙자, "작문의 진술방식으로서의 '서사' ― 7차 '작문'교과서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3) : 381-406, 2011

      2 박영민, "우리나라 중등·대학 글쓰기 교육과정과 글쓰기 교재" 한국작문학회 (7) : 235-258, 2008

      3 김현정, "설명적 글쓰기 교육에서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방안 - 개념적 은유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 : 183-207, 2017

      4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사회계 글쓰기" 태학사 2016

      5 기초글쓰기교재편찬위원회, "사고와표현" 궁미디어 2014

      6 국어교재 편찬위원회, "대학작문" 연세대학교 출판부 65-, 1972

      7 정종진, "대학인의 글쓰기" 한올출판사 2017

      8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글쓰기 교재 편찬위원회, "대학글쓰기" 역락 2017

      9 서울교대국어교재연구회, "대학국어" 학문사 353-, 1973

      10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대학 글쓰기의 이해"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4

      11 정희모,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대학작문학회 52-, 2010

      12 김정숙, "대학 글쓰기 교재의 현황과 발전적 방향 ― 거점국립대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6 (56): 83-116, 2017

      13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재의 분석 및 평가 준거 연구" 국어국문학회 0 (0): 243-277, 2008

      14 김인환, "글쓰기의 방법" 작가 170-, 2005

      15 서울대학교 편찬위원회, "글쓰기의 기초"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5

      16 홍정선, "글쓰기와 토론" 태학사 2016

      17 노은희,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 해설 연구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18 森岡健二, "文章構成法-文章の診斷と治療" 至文堂 1965

      19 林憲道, "敎養大學國語" 學文社 15-, 1971

      20 敎養敎材編纂委員會, "大學作文" 서울大學校出版部 79-, 1970

      21 沈在箕, "大學 敎養國語 科程의 現實과 當面課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40-41, 1983

      22 李相澤, "大學 敎養國語 科程의 現實과 當面課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5-, 1983

      23 John M. Kierzek, "The Macmillan Handbook Of English" Macmillan Company 89-, 1955

      24 남진숙, "PBL을 활용한 ‘글쓰기 진술 방식’의 창의적인 수업모델과 그 의의-이공계열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6 (6): 83-11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