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PSWCI) 1차 자료를 활용하여 산재요양종결자의 일상생활만족도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차이를 직장복귀형태별로 살펴보고자하였으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73513
2017
Korean
산재보험패널 ; 산재요양종결자 ; 직장복귀 ; 직무만족도 ; 일상생활만족도 ; PSWCI ; Industrial Injured worker ; return to work ; job satisfaction ; life satisfaction
KCI등재
학술저널
107-131(25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PSWCI) 1차 자료를 활용하여 산재요양종결자의 일상생활만족도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차이를 직장복귀형태별로 살펴보고자하였으며,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PSWCI) 1차 자료를 활용하여 산재요양종결자의 일상생활만족도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차이를 직장복귀형태별로 살펴보고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산재요양종결자의 직장복귀 형태에 따른 제도적 지원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자에 비해 원직장복귀자의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가높았으며, 영향요인별로는 인구학적 요인에서 남성의 경우 원직장복귀를 하게 되면 직무만족도가 높았지만, 재취업을 했을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았고, 최종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원직장복귀자의 직무만족도는 높았지만, 재취업자의 직무만족도는 낮았다. 혼인상태 역시배우자가 있을 경우 원직장복귀자의 직무만족도가 높았지만, 재취업자의 경우 배우자가 없을 때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재해당시 종사상 지위 및 근로시간형태에 따라서도 상용직이거나 전일제 근무자였던 경우 원직장복귀에 성공하면 직무만족도가 높았지만, 재취업일 경우 재해당시 임시직 또는 시간제 근로자였던 근로자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형태에 따른 일상생활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요인들에 차이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으며, 산재근로자의 특성에 적합한 제도적 보완책이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재근로자가 조속히 직장복귀(특히 원직장복귀)에 성공할 수 있도록 요양단계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의료재활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제도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the types of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influence their life and job satisfactions. To examine this, the current study is based on the first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o what extent the types of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influence their life and job satisfactions. To examine this, the current study is based on the first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injured workers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life and job rather than those who have new jobs. In particular, demographic factors (e.g., gender, education and marriage) also show the difference in life and job satisfactions. Injured male workers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but not those who have new jobs. Both injured college-graduated workers and injured married workers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but not those who have new jobs. Injured single workers further are satisfied in returning to work in same work places. Second, the condition of employment (e.g., working time and job positions) influence satisfaction of injured workers’ job retention. For example, injured workers - employed as regular or full time workers - who return to the same work have higher stratification than those who do not.
When injured workers employed as part-time or temporary workers have new jobs, they have more satisfaction. Findings from the results show that different types of return to work by injured workers could influence their life and job satisfactions. Thus,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needs to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types of return to work by injured workers and further provide appropriate compensation (e.g., medical service) for injured workers’ job reten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렬, "취업 장애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기업체 특성,직무만족이 전반적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5 (25): 137-171, 2015
2 배문혜, "진폐증 환자의 삶의 질 예측 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3 연현숙, "직장복귀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2016
4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43-367, 2009
5 민준영, "제7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4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15
6 근로복지공단, "제1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정책연구센터 2014
7 근로복지공단, "제1차 산재보험패널 데이터설명회"
8 한만석, "정규직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노동패널과 장애인고용패널 비교분석을 통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9 신승배,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285-312, 2009
10 이동영,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효과분석:2005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한위계적 선형모형(HLM)의 적용"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77-203, 2007
1 이형렬, "취업 장애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기업체 특성,직무만족이 전반적 직장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5 (25): 137-171, 2015
2 배문혜, "진폐증 환자의 삶의 질 예측 모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3 연현숙, "직장복귀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남대학교 2016
4 최지선, "중증장애인 근로자의 고용안정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 매개효과와 직장 내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43-367, 2009
5 민준영, "제7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14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고용개발원 2015
6 근로복지공단, "제1차 산재보험패널조사 기초분석 보고서"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정책연구센터 2014
7 근로복지공단, "제1차 산재보험패널 데이터설명회"
8 한만석, "정규직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노동패널과 장애인고용패널 비교분석을 통하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9 신승배, "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285-312, 2009
10 이동영,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효과분석:2005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한위계적 선형모형(HLM)의 적용" 한국사회보장학회 23 (23): 177-203, 2007
11 배화숙,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 변화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325-344, 2010
12 정선영, "원 직장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3
13 이상진, "우리나라 산재장애인 직장복귀정책 강화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1-34, 2011
14 전보영,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99-222, 2010
15 조광자, "산재장애인의 이전직장복귀 가능성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6 박수경, "산재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복귀 과정과 관련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93-318, 2012
17 정강화, "산재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8
18 윤조덕, "산재장애인 삶의 질과 재활정책의 과제" 12 (12): 103-123, 1998
19 이현주, "산재보험 급여수급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153-178, 2006
20 임예직,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형태 및 고용유지기간 결정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2015
21 류만희,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1 (11): 161-184, 2009
22 안치민, "산재근로자의 원직복귀 예측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 177-194, 2006
23 김선미,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89-411, 2015
24 이현주,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모델개발 및 접근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4
25 안준기, "산재근로자의 경제활동 변동 및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31 (31): 109-135, 2015
26 양재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요양종결 후 장해판정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153-177, 2012
27 원종욱, "산재 근로자의 직장 복귀" 169 : 2-13, 2002
28 이지은, "산업재해장애인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근로복지공단 안산재활훈련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9 김수인,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자살사고 및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0 신나영, "산업재해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16 (16): 168-176, 2007
31 이현주, "산업재해 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12 (12): 80-88, 2003
32 강희태, "산업재해 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원직복귀 예측 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8 (18): 221-231, 2006
33 정효정, "보육교사의 조직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3 : 273-305, 2003
34 박재규, "노동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질 변화에 관한 경험적 연구" 2001
35 이인숙, "고용형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보장학회 24 (24): 53-80, 2008
36 McDonald, D. J., "The psychological contra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emporary staff" 21 (21): 84-91, 2000
37 Micek, L. A., "Service delivery approaches for difficult rehabilitation clients" 35 (35): 258-263, 1974
38 박소연, "SF-36을 이용한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평가" 대한작업치료학회 16 (16): 73-89, 2008
39 김호임, "SF-36을 이용한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40 Nelson-Horchler, Joani, "Labor: The trouble with temps"
41 McCormick, E. J., "Industrial Psychology" Prentice-Hall 1974
42 Locke, E. A.,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s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1300-, 1976
43 고용노동부, "2014년도 산재보험 사업연보" 2015
장애인 일자리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종단적 변화 및 영향 요인 분석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 전문 인력의 보수교육 현황 및 욕구분석
장애대학생과 산업체 관계자의 직업기초능력 필요도 차이 비교
근로지원인 서비스를 이용한 중증장애인의 일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5-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8-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7 | 1.77 | 1.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3 | 1.85 | 2.252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