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을 위한 쟁점 및 향후 정책 방향 연구 = Research on Issues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for Reorganizing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Sheltered Workshop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장애 특성이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 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변화 및 현황을 살펴보고, 경기도 장애인 직업재활시설(보호작업장)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 문제점 및 주요 쟁점사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을 통합형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훈련과 임금 및 고용 서비스 통합형)과 분리형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훈련, 임금 및 고용 서비스 분리형)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확대 및 유형 변화에 따른 명확한 운영지침 및 법률적 근거 마련, 시설유형에 적합한 인력 및 운영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제언으로는 전환기 기관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활용 및 신설, 궁극적으로 훈련과 임금 및 고용서비스를 통합된 기관에서 제공되어야 하겠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장애 특성이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 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변화 ...

      목적: 본 연구는 장애 특성이 반영된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 모형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변화 및 현황을 살펴보고, 경기도 장애인 직업재활시설(보호작업장)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시설 유형 개편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 문제점 및 주요 쟁점사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을 통합형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훈련과 임금 및 고용 서비스 통합형)과 분리형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모형(훈련, 임금 및 고용 서비스 분리형)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확대 및 유형 변화에 따른 명확한 운영지침 및 법률적 근거 마련, 시설유형에 적합한 인력 및 운영예산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제언으로는 전환기 기관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활용 및 신설, 궁극적으로 훈련과 임금 및 고용서비스를 통합된 기관에서 제공되어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for reorganizing types of consumer-center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Method: The changes and current sta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in Korea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The survey for reorganizing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as conducted targeting Gyeonggi-do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nalyze current problems and main issues. Based on this, ‘plan for the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erived. Results: The propo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tegrated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parated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gal basis and clear operational guidelin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ypes and the expans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support labor force and operating budget appropriate for the type of facility. Thu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nd utiliz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transitional institute, and ultimately provide training services and wage and employment services at an integrated institute.
      번역하기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for reorganizing types of consumer-center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Method: The changes and current state...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for reorganizing types of consumer-center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at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Method: The changes and current stat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in Korea with disabilities were examined. The survey for reorganizing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as conducted targeting Gyeonggi-do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nalyze current problems and main issues. Based on this, ‘plan for the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erived. Results: The propo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model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tegrated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parated mod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gal basis and clear operational guidelin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ypes and the expans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support labor force and operating budget appropriate for the type of facility. Thu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nd utiliz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transitional institute, and ultimately provide training services and wage and employment services at an integrated institu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2 (22): 117-138, 2012

      2 이혜경, "직업재활시설 실태조사 및 운영개선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3 나운환, "중증장애인을 위한 보호작업장의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1 : 105-118, 1991

      4 나운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성과와 개선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26 (26): 77-89, 2016

      5 이혜경,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효과성 분석 및 운영개선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6

      6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시행규칙"

      7 김진우, "장애인 직업재활 정책방향 제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덕성여대 산학협력단 2016

      8 고명균, "발달장애인 직업재활·고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9-75, 2016

      9 고용개발원, "발달장애 및 정서장애의 직업재활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2

      10 이병화, "경기도 직업재활시설 모델 개발 연구" 경기복지재단 2016

      1 이혜경,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에 따른 운영개선 방안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22 (22): 117-138, 2012

      2 이혜경, "직업재활시설 실태조사 및 운영개선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4

      3 나운환, "중증장애인을 위한 보호작업장의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1 : 105-118, 1991

      4 나운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성과와 개선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26 (26): 77-89, 2016

      5 이혜경,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효과성 분석 및 운영개선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16

      6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시행규칙"

      7 김진우, "장애인 직업재활 정책방향 제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덕성여대 산학협력단 2016

      8 고명균, "발달장애인 직업재활·고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69-75, 2016

      9 고용개발원, "발달장애 및 정서장애의 직업재활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2

      10 이병화, "경기도 직업재활시설 모델 개발 연구" 경기복지재단 2016

      11 Department of Assistive and Rehabilitative Services, "Rehabilitation on service manual" Department of Assistive and Rehabilitative Services 2014

      12 Division of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manual" Division of Rehabilitation 2013

      13 Parker, R., "Rehabilitation counseling: Basics and Beyond" Pro-ed 2012

      14 Rubin, S. E., "Foundation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Pro-Ed 2001

      15 보건복지부, "2017 제Ⅲ권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영문명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8-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isability & employment -> Disability & Employ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장애인고용 -> 장애와 고용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7 1.77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3 1.85 2.252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