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우리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이용하려 할 때 어떠한 요인이 그 이용을 방해하거나 어렵게 하는지, 또한 그러한 방해요인들이 특수학급 교사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26267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5-214(20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우리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이용하려 할 때 어떠한 요인이 그 이용을 방해하거나 어렵게 하는지, 또한 그러한 방해요인들이 특수학급 교사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 우리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이용하려 할 때 어떠한 요인이 그 이용을 방해하거나 어렵게 하는지, 또한 그러한 방해요인들이 특수학급 교사들의 성별, 연령, 일반교육 경험 유무, 특수교육지원센터 이용경험 유무, 총 교육경력 등에 따른 방해요인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전문적인 학교 교육과 더불어 현장에 배출된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를 대상으로 계획적이고 지속적인 연수 과정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효과적인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을 보조하고 도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 내용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 및 시설, 기자재 확충 등 열악한 물리적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오프라인(off-line) 환경뿐만 아니라,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이버 특수교육지원센터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nd analize what disturbs the usage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Center, and how the disturbances vary by the teacher's age, gender, normal education experience,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Center 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and analize what disturbs the usage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Center, and how the disturbances vary by the teacher's age, gender, normal education experience,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Center usage experience, and the overall experience in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in following. First, not only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train professional personnel but also an intentional and constant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he people in charge of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Center is immenent. Seco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curriculum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s needed. Third, the poor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teaching-learning material and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And finally, an on-line environment (Cyber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Center) where the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Center can be used efficiantly on-line is needed to be establish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선, "한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2 최환호,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995
3 이효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활성화 방안" 1-9, 2002
4 한경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향" 12 (12): 36-38, 2005
5 남윤석,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현장의 요구" 8 (8): 26-29, 2001
6 정동영,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방향 및 과제" 8 (8): 22-25, 2001
7 이미선,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8 윤점룡,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의 목적과 기본 방향" 8 (8): 18-21, 2001
9 정동일,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 운영에 대한 국가 정책의 현황 및 방향" 12 (12): 48-51, 2005
10 정동영, "특수교육운영위원회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999
1 이미선, "한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2 최환호, "특수학급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995
3 이효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활성화 방안" 1-9, 2002
4 한경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향" 12 (12): 36-38, 2005
5 남윤석,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현장의 요구" 8 (8): 26-29, 2001
6 정동영,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방향 및 과제" 8 (8): 22-25, 2001
7 이미선,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8 윤점룡,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의 목적과 기본 방향" 8 (8): 18-21, 2001
9 정동일,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 운영에 대한 국가 정책의 현황 및 방향" 12 (12): 48-51, 2005
10 정동영, "특수교육운영위원회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999
11 정희섭, "특수교육 행?재정 지원 실태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004
12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5
13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1
14 박승희, "특수교육 발전 5개년(2003-2007)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1
15 박봉섭, "초등학교 특수학급 경영 개선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16 김형일, "장애학생 전환과정 지원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1
17 조광순,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서비스 체제의 개선 방안" 7-35, 2004
18 교육인적자원부, "2005년도 특수교육 업무 보고자료" 2005
특수교육과정 국어과에 기반한 그림책 읽기 및 놀이 연계 프로그램의 효과
ADHD유아에 대한 조기 판별 가능성 탐색 : 유아교사의 ADHD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6-14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15 | 1.374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