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임대주택 공용공간의 생활안전을 위한 야간조명환경의 현황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4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s for night lighting conditions designed to upgrade living safety in the public spaces inside public rental housing by surveying the current lighting environm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evaluating life sense of safet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residents of the South Korean public rental complexes in six locations. The on-site investigation measured the nighttime light levels at 14 spaces. The questionnaire surveyed residents’ sense of safety, satisfaction, and importance in terms of living safe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s that satisfied both the KS on illuminance and the IES standard were the underground parking areas, while sports facilities and the bicycle parking areas failed to meet either of them. Many of the above-ground parking areas and the main entrances to the residential buildings failed to meet the standards. Second,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interior public areas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mailboxes, elevator halls, and stairs equally failed to meet the KS illuminance requirements. Third, the spaces that registered low-level illuminance uniformity were pedestrian, playgrounds, underground parking areas, main entrances to complexes, pedestrian, bicycle parking, main entrances to residential buildings, and stairs. Fourth, IPA showed that the four facilities that needed to have their lighting brightness upgraded the most were playgrounds, stairs, sports facilities, and rest facilities. Fifth, Five spaces such as playgrounds, stairs, sports facilities, rest facilities, and above-ground parking areas needed to have the color temperature of their lighting improved the mos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s for night lighting conditions designed to upgrade living safety in the public spaces inside public rental housing by surveying the current lighting environm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evaluating life sen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s for night lighting conditions designed to upgrade living safety in the public spaces inside public rental housing by surveying the current lighting environments in public rental housing and evaluating life sense of safet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residents of the South Korean public rental complexes in six locations. The on-site investigation measured the nighttime light levels at 14 spaces. The questionnaire surveyed residents’ sense of safety, satisfaction, and importance in terms of living safe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s that satisfied both the KS on illuminance and the IES standard were the underground parking areas, while sports facilities and the bicycle parking areas failed to meet either of them. Many of the above-ground parking areas and the main entrances to the residential buildings failed to meet the standards. Second,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interior public areas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mailboxes, elevator halls, and stairs equally failed to meet the KS illuminance requirements. Third, the spaces that registered low-level illuminance uniformity were pedestrian, playgrounds, underground parking areas, main entrances to complexes, pedestrian, bicycle parking, main entrances to residential buildings, and stairs. Fourth, IPA showed that the four facilities that needed to have their lighting brightness upgraded the most were playgrounds, stairs, sports facilities, and rest facilities. Fifth, Five spaces such as playgrounds, stairs, sports facilities, rest facilities, and above-ground parking areas needed to have the color temperature of their lighting improved the mo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3. 연구결과
      • 4.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 1. 서론
      • 3. 연구결과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성근, "지역특성별 국민임대주택 주거만족도 결정요인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65-84, 2012

      2 이정은, "주거공간의 실내공간별 조도기준을 위한 빛환경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 (19): 1-9, 2005

      3 이효창, "아파트 단지의 외부공간 조명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55-62, 2007

      4 김대진, "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의 범죄불안감과 조명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33-144, 2009

      5 석영, "아파트 공용공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와 광주광역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7) : 172-181, 2014

      6 김진욱, "공동주택단지 조명환경의 거주자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3 (13): 25-30, 2013

      7 김슬기, "공동주택단지 내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 일산 내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11-20, 2015

      8 이선영,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시환경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157-165, 2015

      9 김봉애, "공동주택 공용공간의 생활안전을 위한 국내·외 관련 법 및 가이드라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668-683, 2019

      10 김선엽,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8 (28): 79-99, 2012

      1 이성근, "지역특성별 국민임대주택 주거만족도 결정요인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5 (25): 65-84, 2012

      2 이정은, "주거공간의 실내공간별 조도기준을 위한 빛환경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 (19): 1-9, 2005

      3 이효창, "아파트 단지의 외부공간 조명디자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55-62, 2007

      4 김대진, "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의 범죄불안감과 조명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33-144, 2009

      5 석영, "아파트 공용공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와 광주광역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7) : 172-181, 2014

      6 김진욱, "공동주택단지 조명환경의 거주자 인식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13 (13): 25-30, 2013

      7 김슬기, "공동주택단지 내 이웃교류장소로서 공용공간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연구 - 일산 내 저층 및 고층 공동주택단지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11-20, 2015

      8 이선영,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시환경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7 (17): 157-165, 2015

      9 김봉애, "공동주택 공용공간의 생활안전을 위한 국내·외 관련 법 및 가이드라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668-683, 2019

      10 김선엽,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8 (28): 79-99, 2012

      11 "e 나라표준인증"

      12 Illumination engineering society of north america, "The IESNA lighting handbook"

      13 Boyce, P. R., "Human factors in lighting" CRC Press 395-427, 2000

      14 Kim, S. H.,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creation of child friendly residential complex"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외국어명 :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37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