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유경,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대형쇼핑몰 유도사인 시스템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7 (17): 2004
2 최정수, "화재 시 피난유도사인의 안전디자인 색채에 관한 고찰 -비상구 유도등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28 (28): 39-47, 2014
3 조영행, "지역 공공시설의 사인시스템 실태조사 및 개선안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5 (25): 185-192, 2009
4 조용경, "장기공공임대주택의 리모델링을 통한 주거복지 정책사업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15 (15): 82-93, 2014
5 안치환, "임대유형별 공공임대주택 주거만족도 연구 :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6 우진희,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따른 사인시스템(sign sy stem)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29-40, 2002
7 임진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인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3 (3): 67-78, 2006
8 김명엽, "생활안전을 위한 법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16 (16): 325-346, 2016
9 정원준, "색약자를 위한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적용방안"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9 : 169-182, 2017
10 김봉애, "공동주택 공용공간의 생활안전을 위한 국내·외 관련 법 및 가이드라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668-683, 2019
1 이유경,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대형쇼핑몰 유도사인 시스템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7 (17): 2004
2 최정수, "화재 시 피난유도사인의 안전디자인 색채에 관한 고찰 -비상구 유도등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28 (28): 39-47, 2014
3 조영행, "지역 공공시설의 사인시스템 실태조사 및 개선안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5 (25): 185-192, 2009
4 조용경, "장기공공임대주택의 리모델링을 통한 주거복지 정책사업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15 (15): 82-93, 2014
5 안치환, "임대유형별 공공임대주택 주거만족도 연구 : 수도권 신도시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6 우진희,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따른 사인시스템(sign sy stem)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18 (18): 29-40, 2002
7 임진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인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3 (3): 67-78, 2006
8 김명엽, "생활안전을 위한 법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16 (16): 325-346, 2016
9 정원준, "색약자를 위한 컬러 유니버설디자인 적용방안"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9 : 169-182, 2017
10 김봉애, "공동주택 공용공간의 생활안전을 위한 국내·외 관련 법 및 가이드라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 26 (26): 668-683, 2019
11 이석현, "공공역사 사인색채의 시각 인지 특성 분석 - 한일 지하철 역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색채학회 29 (29): 15-23, 2015
12 이석현, "공공공간 사인의 디자인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 서울 지하철 역사를 대상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7 (27): 251-269, 2014
13 전은정, "고령자를 배려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색채 가이드라인 구축" 한국색채학회 29 (29): 39-48, 2015
14 전은정, "고령자를 배려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환경색채 연구" 한국색채학회 30 (30): 61-70, 2016
15 "http://www.doopedia.co.kr"
16 Tanaka, N., "Universal design of environment" Universal Design Research Center 30-, 2008
17 Moon, E. B., "Color understanding" Kukje 2002
18 Kim, S. K.,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living safety environment of vulnerable groups and searching for policy improvement"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1-10, 2017
19 Lee, S. H., "Analysis of the sign color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handicapped in Japan" 70-74, 2016
20 Yu, S. S., "A study o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creating interior circumstances:focused on the graphic symbol sign system" (17) : 196-202, 1998
21 Seo, M. J, "A study on using color of sign design in public facilities: mainly focused on cultural & artistic space" 24 : 113-127, 2007
22 Choi, J. H., "A study on the sign system of the subway in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993
23 Kim, H. W., "A study on the sign system and the color codes in the interior environment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the mobility and safety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28) : 100-108, 2001
24 Ryu, S. I.,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living safety: focused on risk factors and safety factors" 245-248, 2010
25 Kim, K. M., "A study on the color of directional sign for outdoor pedestrian space of public residental complex: focusing on universal design" Hongik University 2010
26 Park, H. K., "A study on color evaluation of public information sign in urban aesthetic area" Jungang University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