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무용교육공간에서의 ‘리듬분석’에 관한 이론적 탐색-앙리 르페브르 이론을 중심으로- = A Theoretical Study on Rhythmic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Dancing Space -Based on the Henry Lefebbr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8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앙리 르페브르 이론에 기반 하여 초등무용교육 공간에서 드러나는 리듬 분석 범주를 구분하고 어떠한 리듬들이 공간에서 선형리듬, 순환리듬, 조화리듬, 부정 리듬으로 상호작용...

      본 연구는 앙리 르페브르 이론에 기반 하여 초등무용교육 공간에서 드러나는 리듬 분석 범주를 구분하고 어떠한 리듬들이 공간에서 선형리듬, 순환리듬, 조화리듬, 부정 리듬으로 상호작용하는 지를 밝히고 무용교수전략 구축에 있어 새로운 이론적 접근을 모색할 수 있는데 목적을 둔다. 대부분 초등학습자들이 학교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자연스러운 체험을 하게 되는데 이를 일상의 공간으로 이해하고 신체로 체화되는 과정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에 Lefebvre의 리듬분석은 초등학교라는 공간에 대한 제약적인 사고와 예술교과에 대한 편협한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행위가 전이되는 과정은 제도적, 규범적으로 주입되는 차원에서 벗어나야 하며 공간에 대한 인식 또한 다양한 문화적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나아가 공간에 대한 제약을 리듬이라는 매력적인 요소로 현상을 드려다 볼 수 있으며 무용교육 교수전략 모색하는데 이론적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ategories of rhythm analysis in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space based on Henry Lefebvre s theory and to clarify which rhythms interact with linear rhythm, circulation rhythm, harmonic rhythm and irre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ategories of rhythm analysis in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space based on Henry Lefebvre s theory and to clarify which rhythms interact with linear rhythm, circulation rhythm, harmonic rhythm and irregular rhythm in space, The goal is to find a theoretical approach. Most elementary learners spend a lot of time in the school space and experience a natural experience. This should not be overlooked as a process of being understood as a daily space and embodied in the body. Therefore, Lefebvre s rhythm analysis can provide the rationale for expanding the constrained thinking about the spac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narrow thought about the arts subject. It is pointed out that the transition process of human behavior should be removed from the institutional and normative implications and the recognition of space should be interpreted from various cultural perspectives. Furthermore, I expect that the constraint on the space can be seen as an attractive factor of rhythm and it will be the theoretical basis for seeking the teaching strategy of danc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Lefebvre이론에 기반 한 리듬분석 Ⅲ. 초등교육 공간에서의 리듬 Ⅳ. 초등무용교육공간에서의 리듬분석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Ⅱ. Lefebvre이론에 기반 한 리듬분석 Ⅲ. 초등교육 공간에서의 리듬 Ⅳ. 초등무용교육공간에서의 리듬분석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철,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71-196, 2016

      2 김민조, "학교문화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55-284, 2015

      3 이병준, "학교문화 개념분석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89-115, 2016

      4 정혜영, "학교공간의 교육적 의미와 과제" 51 (51): 151-161, 2014

      5 송미숙, "초등학교 표현활동 지도의 난점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109-126, 2016

      6 김정희, "초등학교 체육교과서‘표현’영역 교육과정 변천과 개선 방향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95-108, 2018

      7 오세복, "초등교사의 무용교육 목표인식과무용수업 수행능력과의 관계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75-85, 2008

      8 홍애령, "초등 무용교육자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107-118, 2017

      9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믿음사 2004

      10 이유리, "제스처에 대한 교육이론적 고찰"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103-117, 2016

      1 이상철, "학교조직문화와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71-196, 2016

      2 김민조, "학교문화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3 (23): 255-284, 2015

      3 이병준, "학교문화 개념분석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89-115, 2016

      4 정혜영, "학교공간의 교육적 의미와 과제" 51 (51): 151-161, 2014

      5 송미숙, "초등학교 표현활동 지도의 난점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무용연구학회 34 (34): 109-126, 2016

      6 김정희, "초등학교 체육교과서‘표현’영역 교육과정 변천과 개선 방향 탐색"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95-108, 2018

      7 오세복, "초등교사의 무용교육 목표인식과무용수업 수행능력과의 관계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 13 (13): 75-85, 2008

      8 홍애령, "초등 무용교육자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107-118, 2017

      9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믿음사 2004

      10 이유리, "제스처에 대한 교육이론적 고찰"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103-117, 2016

      11 Mead, H. G., "정신·자아·사회" 한길사 2011

      12 장세룡, "일상의 리듬분석 -쇼핑센터와 기차역을 중심으로-" 호남사학회 (46) : 213-245, 2012

      13 이병준, "앙리 르페브르의 리듬분석에 기반한 조직진단 모형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0 (10): 179-197, 2015

      14 Swingewood, A., "문화사회학 이론을 향하여" 한울 아카데미 2004

      15 Lefebvre, H., "리듬분석" 갈무리 2013

      16 이화식, "르페브르(H. Lefebvre) 공간론의 교육적 적용: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32 (32): 269-296, 2016

      17 박영숙, "교직문화의 변화 전략 및 지원 과제 탐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23): 73-94, 2005

      18 이병준, "교육학적 분위기 담론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2 (12): 153-167, 2017

      19 배지현, "교육과정 연구에서 르페브르(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41-65, 2014

      20 정인모, "공간, 장소, 경계, 에코" 에코리브르 2010

      21 김덕영, "게오르그 짐멜의 모더니티 풍경 11가지" 도서출판 길 2007

      22 앙리 르페브르, "[단행본]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23 강기수, "O.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인간학적 기능에 관한 연구-신뢰와 안정감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25-43, 2003

      24 허영주,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이 교육공간 분석에 주는 의미" 한국교육사상학회 30 (30): 229-253, 2016

      25 교육부, "2018년 학교예술교육활성화 기본계획 자료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