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경영(京永) 단축마라톤대회(1931~1963)의 변천 과정 = The Evolution Process of the Gyeong-Yeong Short Course Marathon(1931~196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86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Gyeong-Yeong Short Course Marathon. Firstly, it investigates the context of the Korean marathon at the time of the competition's establishment. Secondly, it delves into the process of the competition's creation and changes in its organization and sponsorship. Thirdly, it analyzes the participant demographics and course variations and records developments for the competi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gnificant marathon competitions were organized by Japanese groups, with both Joseons and Japanese participating togeth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se competitions increased over time, spreading from Gyeongseong to various regions, eventually evolving into a nationwide event. The race record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competitions are challenging to compare due to frequent changes in the course. However, the records improved from the seventh competition when the trail became more stable. Before Korea's liberation, notable athletes such as Kim Eun-bae, Son Ki-jung, and Nam Seung-ryong, among others,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and achieved commendable results. After independence, athletes like Seo Yun-bok, Ham Ki-yong, Hwang Young-jo, and Lee Bong-joo, who represented Korea, also participated and performed well in the competition.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Gyeong-Yeong Short Course Marathon. Firstly, it investigates the context of the Korean marathon at the time of the competition's establishment. Secondly, it delves into the process of the competition'...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Gyeong-Yeong Short Course Marathon. Firstly, it investigates the context of the Korean marathon at the time of the competition's establishment. Secondly, it delves into the process of the competition's creation and changes in its organization and sponsorship. Thirdly, it analyzes the participant demographics and course variations and records developments for the competi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ignificant marathon competitions were organized by Japanese groups, with both Joseons and Japanese participating together.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se competitions increased over time, spreading from Gyeongseong to various regions, eventually evolving into a nationwide event. The race record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competitions are challenging to compare due to frequent changes in the course. However, the records improved from the seventh competition when the trail became more stable. Before Korea's liberation, notable athletes such as Kim Eun-bae, Son Ki-jung, and Nam Seung-ryong, among others,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and achieved commendable results. After independence, athletes like Seo Yun-bok, Ham Ki-yong, Hwang Young-jo, and Lee Bong-joo, who represented Korea, also participated and performed well in the compet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동아일보, "來廿一日에擧行될 마라손競走大會"

      2 조선일보, "金奉來선수優勝 京永短縮마라돈"

      3 김세호, "한국육상경기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 마라톤경기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대한육상경기연맹, "한국육상 100년사" 대한육상경기연맹 2013

      5 이해창, "한국신문사연구" 成文阁 1971

      6 박종진 ; 김동규, "한국 마라톤의 전개와 민족사적 의의" 한국체육철학회 20 (20): 185-198, 2012

      7 남상남 ; 어경태, "한국 마라톤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357-371, 2018

      8 박종진, "한국 마라톤경기의 형성과 역사적 의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조선일보, "체육단체도 전면적 통제"

      10 임석원, "지암(志巖) 서윤복(徐潤福)의 생애와 체육활동" 1 (1): 65-74, 2009

      1 동아일보, "來廿一日에擧行될 마라손競走大會"

      2 조선일보, "金奉來선수優勝 京永短縮마라돈"

      3 김세호, "한국육상경기의 변천사에 관한 연구 : 마라톤경기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대한육상경기연맹, "한국육상 100년사" 대한육상경기연맹 2013

      5 이해창, "한국신문사연구" 成文阁 1971

      6 박종진 ; 김동규, "한국 마라톤의 전개와 민족사적 의의" 한국체육철학회 20 (20): 185-198, 2012

      7 남상남 ; 어경태, "한국 마라톤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357-371, 2018

      8 박종진, "한국 마라톤경기의 형성과 역사적 의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조선일보, "체육단체도 전면적 통제"

      10 임석원, "지암(志巖) 서윤복(徐潤福)의 생애와 체육활동" 1 (1): 65-74, 2009

      11 손환, "일제하 朝鮮體育協會의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2 (42): 13-22, 2003

      12 김명권, "일본 언론매체의 손기정 마라톤 우승 보도에 나타난 민족주의" 한국체육사학회 18 (18): 47-58, 2013

      13 매일신보, "원산: 開港紀念日과 마라손"

      14 김영희, "엘리트 체육에서 대중 스포츠까지: 언론사 주최 마라톤대회의 역사" 한국언론진흥재단 244-283, 2014

      15 동아일보, "어제, 京·永間短縮『마라돈』盛大 本社主催"

      16 동아일보, "씨슨업의劈頭 京永徃復마라손 三月二十一日에擧行"

      17 박귀순, "신문기사를 통해서 본 권태하의 마라톤 인생사" 한국체육사학회 21 (21): 45-63, 2016

      18 하정희, "스포츠영웅 손기정의 체육활동에 관한 역사적 재조명"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9 손환, "손기정의 생애와 스포츠활동에 관한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3 (13): 3-15, 2004

      20 허진석, "손기정의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경기 내용 연구" 한국체육사학회 18 (18): 1-16, 2013

      21 손환 ; 하정희, "손기정의 민족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52 (52): 19-28, 2013

      22 조선일보, "서울陸聯主催 A마라손"

      23 동아일보, "봄빛에 번쩍일 鐵脚"

      24 김기한, "마라톤 영웅 손기정의 생애와 민족사적 의미" 21세기교육사 2014

      25 곽형기 ; 이현정, "마라토너 손기정의 체육사적 의미" 한국체육과학회 18 (18): 3-13, 2009

      26 조문기, "마라토너 서윤복에 대한 생애사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27 안진규, "마라토너 류해붕의 체육활동과 일장기말소의거" 한국체육사학회 25 (25): 19-34, 2020

      28 이상우, "마라토너 남승룡의 생애와 체육활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29 권오륜 ; 한동일 ; 남중웅, "마라토너 권태하의 스포츠정신" 한국체육철학회 24 (24): 17-44, 2016

      30 黃永祚, "마라토너 孫基禎의 生涯와 思想"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31 동아일보, "마라손의榮冠은 玄正孝君川仁獲得"

      32 조선일보, "마라손의月桂冠은 馬鳳玉君이獲得 長距離는朝鮮人의獨舞臺"

      33 동아일보, "마라돈韓國의 回顧"

      34 동아일보, "더욱異彩띄울 丁君三兄弟江華에서 出塲"

      35 동아일보, "국난극복 뜻 모아 달렸다"

      36 조선일보, "高麗陸協主催 京永斷郊"

      37 조선일보, "高麗陸上竸技會"

      38 조선일보, "高麗陸上竸技會"

      39 동아일보, "韓昇哲君(海兵隊)優勝"

      40 이학래, "韓國體育百年史" 한국체육학회 2000

      41 朴寬用, "韓國新聞社 文化事業의 性格에 관한 硏究 : 中央綜合日刊紙를 中心으로" 漢陽大學校 行政大學院 1996

      42 동아일보, "陽春郊外를征服한 卅餘健兒의 鐵脚"

      43 동아일보, "陽春郊外를征服한 卅餘健兒의 鐵脚"

      44 동아일보, "陸上竸技選手로 高麗竸技會를 創立"

      45 동아일보, "選手105名이나出戰"

      46 매일신보, "訓鍊院陸上競技會"

      47 동아일보, "觀戦記"

      48 동아일보, "衝天하는 勇氣로"

      49 동아일보, "第十回 京永斷郊競技大會"

      50 동아일보, "第五回京永마라손 參加申請十七日限"

      51 동아일보, "第三回斷郊竸走 忘憂里間으로變更"

      52 조선일보, "第七回京永斷郊競走 十九名健脚出塲"

      53 동아일보, "第1回 私立專門 陸上競技大會"

      54 동아일보, "空前의 大盛況豫想"

      55 동아일보, "短縮마라손總評"

      56 동아일보, "盛况이룬鐵脚의祭典 第28回本社主催 京永間短縮마라돈大會閉幕"

      57 동아일보, "盛况의 大競技會"

      58 매일신보, "百三十餘命의 健兒들이"

      59 조선일보, "獨逸陸上競技選手와 朝鮮選手와의 對抗戰"

      60 동아일보, "正午時報를信號로 明日, 마라손出發"

      61 매일신보, "東亞마라손大會, 오는 11일 거행"

      62 동아일보사사편천위원회, "東亞日報社史(卷一)"

      63 동아일보, "本社主催 弘大姜君 新記錄으로優勝"

      64 동아일보, "朝鮮體育會는今後 朝鮮體育協會와合體"

      65 동아일보, "明日 京永短縮마라돈 보스톤大會制覇記念"

      66 동아일보, "待望의京永마라손 參加勇士卅八名"

      67 동아일보, "待望의京永마라손"

      68 동아일보, "平南順安金德淳君 新記錄으로優勝"

      69 정찬모, "孫基禎 選手의 베를린올림픽 마라톤制覇가 우리민족에게 주는 歷史的 意義" 2 (2): 37-46, 1997

      70 부산일보, "大運動會號"

      71 동아일보, "四月의거리를달릴健脚의百50餘選手 오늘아침 本社앞서『스타트.』"

      72 동아일보, "南으로東萊, 北으로順安 四十餘名이參加"

      73 동아일보, "南엔順天, 北엔順安 四十九, 鐵脚兒參加"

      74 동아일보, "入賞者들 施賞式도擧行"

      75 조선일보, "健脚陣의爭覇 培材劉君優勝二着의金君도新記錄"

      76 동아일보, "京永마라톤大會"

      77 동아일보, "京永마라손大會 今日正午에 擧行"

      78 조선일보, "京永마라손 柳長春君優勝"

      79 동아일보, "京永마라손 從走記 (B)"

      80 동아일보, "京永間마라톤 大會豫想記"

      81 동아일보, "京永間마라손 昨年記錄을突破 一時廿一分五十四秒"

      82 조선일보, "京永間마라손 二高李君優勝"

      83 동아일보, "京永間短縮마라손 東亞『마라손』大會로改稱"

      84 동아일보, "京永街道에넘치는 젊은朝鮮의意氣"

      85 동아일보, "京永街道五十里 壯快할明日의 競走"

      86 동아일보, "京永短縮마라돈觀戰記"

      87 조선일보, "京永斷郊競走에 吳君優勝"

      88 조선일보, "京永斷郊競走 培材池君一着"

      89 동아일보, "京永斷郊競技大會 來月卄一日는, 本社서 引繼主催"

      90 동아일보, "京永斷郊競技大會"

      91 조선일보, "京永斷郊 競走戰評"

      92 동아일보, "京永十五唎一着은 養正의 金恩培君"

      93 동아일보, "京城永登浦徃復 臨迫한마라손大會"

      94 조선일보, "京城永登浦 斷郊競走에 培材李君이一着"

      95 동아일보, "京仁驛傳競走"

      96 동아일보, "不順한天候와싸우며 京永斷郊新記錄"

      97 경향신문, "一着에 林鍾禹君 京永短縮 마라톤"

      98 동아일보, "「마라톤·씨즌」劈頭를裝飾 本社主催 第30回京永間短縮마라톤大會盛況"

      99 동아일보, "「名선수-꿈의 코스」…세계가 함께뛰는 東亞 국제마라톤"

      100 동아일보, "A마라손 二月廿九日에"

      101 동아일보, "98東亞마라톤 앞으로 23일 한국마라톤 ‘기록의 산실’"

      102 동아일보, "15日京永間短縮마라돈大會「마라돈韓國」이어받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