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여건변화로 가족중심의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하면서 생활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안종수, 1993, p.1). 이러한 변화는 관광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은 관광수요 ...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여건변화로 가족중심의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하면서 생활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안종수, 1993, p.1). 이러한 변화는 관광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은 관광수요 및 관광행태의 다양화, 전문화, 세분화로 이어졌다. 또한 관광대상도 내륙중심관광에서 어촌체험관광 및 해양체험관광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체험관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체험관광이 갖는 다양한 편익은 실무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차원에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어촌체험관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을 통한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과 관광개발 이후의 지역 파급효과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그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의 주요 특성이며, 지속적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어촌체험관광지에서의 체험을 중심으로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체험관광에서의 체험관광동기에 초점을 두고 요인분석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여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검정과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검정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측정척도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literature study)를 실시하였고, 이를 검정하기 위해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서적, 논문 및 기타자료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의 구성변수인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여 분석의 준거로 삼았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에 사용될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측정항목들을 토대로 수행된 실증연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함평 석두어촌체험마을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170부를 배포하여 152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응답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8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 152부(89.4% 회수율)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설문문항을 관광학과 학생들 40명과 일반인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예비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5일부터 2010년 7월 20일까지(16일간)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해 요인분석 및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 후 본 조사는 2010년 7월 29일부터 2010년 8월 30일까지(30일간) 이루어졌다.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명목척도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방문한 체험관광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40대가 가장 많이 체험에 참여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20대와 50대 순이었다.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의 참여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생과 회사원이 어촌체험마을에서의 체험에 흥미를 보였다. 소득의 수준에서는 100만원 이하와 200만원 이상과 300만원 미만의 집단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관광동기의 18개 측정문항을 추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일탈성, 자기개발성,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 등의 총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관광만족도의 4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는 관광만족도 1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관광행동의도의 5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등의 총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자기개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여부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일탈성, 교육성,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요인 중 자기개발성과 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