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 Travel Satisfaction and Travel Behavior Intention influenced by Experienced Travel Motivation: Focusing on Seokdoo Fishing Village in Hampyoung Prov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18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erience tourism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resting issue in tourism study due to its importance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point of view. However, most studies have shown few limitations focusing on experience tourism only as a tool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level and economical effects that might bring to the local communities. Hence, in this study the role of experience tourism was stressed to show how it influences to touris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carried out using both documentary and empirical study.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t defined the main components of the study such as experience tourism, tourist motivation, and tourist behavior. Based on this, it also developed study instruments to hypotheses and a study model were suggested.
      In the empirical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170 tourists who had visited Seokdoo Fishing Village in Hampyoung Provence from July 15th ~ August 30th in 2010 and the final samples of 152 used for statistics analysis.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d the collected data. Empirical studies hav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ested hypothe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 summary of the analyzed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esents that most tourists to this area achieve tourist information through their family and friends since 39.5% of the tourists were involved with family activities. Also, 46.1% of the tourists stayed for 2days along with strong seasonality. B&B(min-bak) was found as a major accommodation during their stay used by 54.6% of the tourists. 78.3% were shown as repeat visitors and 90.1% of the tourists provided their own transportation using a car.
      Second, it showed that experience, place, relaxation are major components for experiential tourist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efficient touristic facilities and pleasurable experience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build positive tourist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both theocratical and marketing implication to the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further study can be carried out with other rural tourist destinations in order to define the fundamental components to experience tourism and extend its theocratical points. Further more, greater effort should be made paying closer att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udy instruments to test satisfactions in experience tourism.
      번역하기

      Experience tourism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resting issue in tourism study due to its importance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point of view. However, most studies have shown few limitations focusing on experience tourism only as...

      Experience tourism has become more and more interesting issue in tourism study due to its importance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point of view. However, most studies have shown few limitations focusing on experience tourism only as a tool to increase the number of tourists level and economical effects that might bring to the local communities. Hence, in this study the role of experience tourism was stressed to show how it influences to tourist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carried out using both documentary and empirical study.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t defined the main components of the study such as experience tourism, tourist motivation, and tourist behavior. Based on this, it also developed study instruments to hypotheses and a study model were suggested.
      In the empirical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170 tourists who had visited Seokdoo Fishing Village in Hampyoung Provence from July 15th ~ August 30th in 2010 and the final samples of 152 used for statistics analysis.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d the collected data. Empirical studies hav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ested hypothes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 summary of the analyzed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presents that most tourists to this area achieve tourist information through their family and friends since 39.5% of the tourists were involved with family activities. Also, 46.1% of the tourists stayed for 2days along with strong seasonality. B&B(min-bak) was found as a major accommodation during their stay used by 54.6% of the tourists. 78.3% were shown as repeat visitors and 90.1% of the tourists provided their own transportation using a car.
      Second, it showed that experience, place, relaxation are major components for experiential tourist motivation. This implies that efficient touristic facilities and pleasurable experience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build positive tourist behavior.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shown both theocratical and marketing implication to the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further study can be carried out with other rural tourist destinations in order to define the fundamental components to experience tourism and extend its theocratical points. Further more, greater effort should be made paying closer att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udy instruments to test satisfactions in experience tour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여건변화로 가족중심의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하면서 생활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안종수, 1993, p.1). 이러한 변화는 관광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은 관광수요 및 관광행태의 다양화, 전문화, 세분화로 이어졌다. 또한 관광대상도 내륙중심관광에서 어촌체험관광 및 해양체험관광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체험관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체험관광이 갖는 다양한 편익은 실무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차원에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어촌체험관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을 통한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과 관광개발 이후의 지역 파급효과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그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의 주요 특성이며, 지속적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어촌체험관광지에서의 체험을 중심으로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체험관광에서의 체험관광동기에 초점을 두고 요인분석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여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검정과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검정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측정척도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literature study)를 실시하였고, 이를 검정하기 위해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서적, 논문 및 기타자료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의 구성변수인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여 분석의 준거로 삼았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에 사용될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측정항목들을 토대로 수행된 실증연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함평 석두어촌체험마을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170부를 배포하여 152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응답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8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 152부(89.4% 회수율)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설문문항을 관광학과 학생들 40명과 일반인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예비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5일부터 2010년 7월 20일까지(16일간)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해 요인분석 및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 후 본 조사는 2010년 7월 29일부터 2010년 8월 30일까지(30일간) 이루어졌다.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명목척도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방문한 체험관광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40대가 가장 많이 체험에 참여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20대와 50대 순이었다.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의 참여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생과 회사원이 어촌체험마을에서의 체험에 흥미를 보였다. 소득의 수준에서는 100만원 이하와 200만원 이상과 300만원 미만의 집단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관광동기의 18개 측정문항을 추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일탈성, 자기개발성,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 등의 총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관광만족도의 4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는 관광만족도 1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관광행동의도의 5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등의 총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자기개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여부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일탈성, 교육성,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요인 중 자기개발성과 경관
      번역하기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여건변화로 가족중심의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하면서 생활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안종수, 1993, p.1). 이러한 변화는 관광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은 관광수요 ...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적 여건변화로 가족중심의 사회참여활동이 증가하면서 생활패턴에도 변화를 가져왔다(안종수, 1993, p.1). 이러한 변화는 관광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관광은 관광수요 및 관광행태의 다양화, 전문화, 세분화로 이어졌다. 또한 관광대상도 내륙중심관광에서 어촌체험관광 및 해양체험관광으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는 체험관광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으며, 체험관광이 갖는 다양한 편익은 실무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차원에서도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어촌체험관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을 통한 어촌체험관광 활성화 방안과 관광개발 이후의 지역 파급효과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그 한계성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험관광의 주요 특성이며, 지속적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어촌체험관광지에서의 체험을 중심으로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체험관광에서의 체험관광동기에 초점을 두고 요인분석을 통해 새로운 차원의 측정변수를 도출하여 각 구성개념 간의 관계검정과 체험관광동기가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검정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측정척도 도출을 위해 문헌연구(literature study)를 실시하였고, 이를 검정하기 위해 실증연구(empirical study)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서적, 논문 및 기타자료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의 구성변수인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여 분석의 준거로 삼았으며,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에 사용될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측정항목들을 토대로 수행된 실증연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함평 석두어촌체험마을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170부를 배포하여 152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일부 주요항목의 응답누락이나 불성실한 응답처리로 통계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18부를 제외한 유효한 설문지 152부(89.4% 회수율)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진행되었다. 예비조사는 본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설문문항을 관광학과 학생들 40명과 일반인 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예비조사 기간은 2010년 7월 5일부터 2010년 7월 20일까지(16일간)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해 요인분석 및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 후 본 조사는 2010년 7월 29일부터 2010년 8월 30일까지(30일간) 이루어졌다.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척도는 명목척도와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함평석두 어촌체험마을을 방문한 체험관광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성별에 있어서는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40대가 가장 많이 체험에 참여를 하였으며 다음으로 20대와 50대 순이었다.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의 참여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생과 회사원이 어촌체험마을에서의 체험에 흥미를 보였다. 소득의 수준에서는 100만원 이하와 200만원 이상과 300만원 미만의 집단이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관광동기의 18개 측정문항을 추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일탈성, 자기개발성,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 등의 총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관광만족도의 4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는 관광만족도 1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관광행동의도의 5개 측정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재방문의도, 추천의도 등의 총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자기개발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결혼여부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일탈성, 교육성,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경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업에 대하여 체험관광 동기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교육성, 경관성, 신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대하여 체험관광동기 요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는 교육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체험관광동기요인 중 자기개발성과 경관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제 1 장 서 론
      •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 4
      • 1. 연구의 방법 4
      • 2. 연구의 범위 4
      • 제 2 장 이론적 고찰
      • 제 1 절 체험관광에 대한 이론적 고찰 6
      • 1. 체험관광의 개념 6
      • 2. 체험관광의 요인 8
      • 제 2 절 체험관광동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 11
      • 1. 체험관광동기의 개념 11
      • 2. 체험관광동기의 구성요인 13
      • 3. 선행연구의 검토 18
      • 제 3 절 관광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20
      • 1. 관광만족도 20
      • 2. 관광만족도의 결정요소 22
      • 3. 선행연구의 검토 24
      • 제 4 절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25
      • 1. 관광행동의도 25
      • 2. 재방문의도 26
      • 3. 추천의도 27
      • 제 5 절 구성개념 간의 관계 28
      • 1. 체험관광동기와 만족도 간의 관계 28
      • 2. 체험관광동기와 관광행동의도 간의 관계 30
      • 3.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 간의 관계 31
      • 제 3 장 연구 설계
      • 제 1 절 조사대상지역의 현황 33
      • 제 2 절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 34
      • 1. 연구 모형 34
      • 2. 연구 가설 35
      • 제 3 절 조사대상과 방법 36
      • 제 4 절 설문지의 구성 37
      • 1. 체험관광동기 측정항목 37
      • 2. 관광만족도 측정항목 38
      • 3. 관광행동의도 측정항목 39
      • 제 4 장 실증분석
      • 제 1 절 기초통계분석 40
      • 1.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0
      • 2. 체험관광동기에 대한 중요도 순위 42
      • 3. 관광만족도에 대한 중요도 순위 43
      • 4.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중요도 순위 43
      • 제 2 절 측정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4
      • 1. 체험관광동기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4
      • 2. 관광만족도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7
      • 3. 관광행동의도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48
      • 제 3 절 가설검정 결과 49
      • 1.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체험관광동기의 차이 검정 49
      • 2. 체험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검정 58
      • 3. 체험관광동기와 관광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검정 59
      • 4. 관광만족도와 관광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검정 61
      • 제 4 절 실증분석 결과 종합 62
      • 제 5 장 결론 및 시사점
      • 제 1 절 연구의 요약 64
      • 제 2 절 시사점 65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66
      • 참 고 문 헌 68
      • 설 문 지 77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