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위 경골 골절의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고정술에서 삽입 방법에 따른 비교 = A Comparison according to Insertion Method for Intramedullary Nailing in Proximal Tibial Frac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56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근위 경골 골절에서 정복 유지와 부정 정렬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semiextended 삽입 방법과 기존의 금속정 삽입 방법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수술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목적: 근위 경골 골절에서 정복 유지와 부정 정렬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semiextended 삽입 방법과 기존의 금속정 삽입 방법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수술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근위 경골 골절로 골수강 내 금속정으로 치료하였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방성 골절이 12예, 분절 골절이 4예, 나비형 골편이 있는 경우가 3예, 분쇄 골절이 17예였고, 남자가 18예, 여자가 6예였으며 평균연령은 50세였다. 이 중 semiextended 삽입 방법으로 시행하였던 10예와 기존의 방법대로 경골 결절 상방에서 삽입하였던 14예를 분석하여 임상적으로 동반손상의 정도, 합병증 등을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전후면 및 측면에서의 수술 후 각 형성과 전위 정도를 비교하였다. 이들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Semiextended 군에서 전후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2.3˚, 측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2.8˚, 전후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4.5 mm, 측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5.3 mm였으며 기존 방법 군은 전후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5.1˚, 측면에서의 각 형성은 평균 7.4˚, 전후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6.1 mm, 측면에서의 전위는 평균 5.3 mm였다. 전후면에서의 각 형성 (p=0.006)과 측면에서의 각 형성 (p=0.001)은 유의하게 semiextended 군에서 적었으나 전후면에서의 전위 (p=0.344)와 측면에서의 전위 (p=0.99)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 군 모두 주로 전방 및 외반 각 형성을 보였고 전위 방향은 후외측이었다. 전체 환자 중 14예에서 동반 손상이 있었고 기존 방법 군 1예에서 불유합 소견 보여 금속정 교체술 및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근위 경골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에 있어 semiextended 삽입 방법은 기존의 삽입 방법에 비해 골절부 전위 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전후면과 측면 각 형성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compar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standard insertion method and semiextended method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proximal fixation and alignment in proximal tibia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fro...

      Purpose: To compar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between standard insertion method and semiextended method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proximal fixation and alignment in proximal tibia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from May 2000 to February 2004, identified 24 extraarticular fractures in proximal tibia, initially treated with locked intramedullary nails at least 1 year follow up. There were 12 open injuries, 4 segmental, 3 butterfly fragments and 17 comminuted. Semiextended method was used in 10 fratures and standard insertion method which is cephalad to tibial tubercle in 14. Follow up clinical assessment consisted of review of associated injuries and complications and these two methods were compared by postoperative angulation and displacement in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Data were analysed by t-tests. Results: In semiextended group, average angulation was 2.3˚ in coronal and 2.8˚ in sagittal plane and average displacement was 4.5 mm in coronal and 5.3 mm in sagittal. In ordinary group, average angulation was 5.1˚ in coronal and 7.4˚ in sagittal plane and average displacement was 6.1 mm in coronal and 5.3 mm in sagittal. In semiextend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 in coronal angulation (p=0.006) and sagittal angulation (p=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onal (p=0.344) and sagittal (p=0.99) displacement. Both groups showed anterior, valgus angulation and posterolateral displacement in most cases. There were 14 associated injuries and one patient developed nonunion and was treated by nail exchange with autogenous bone graft. Conclusion: Our retrospectiv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emiextended method is effective for reducing coronal and sagittal angulation, but is not helpful for reducing displacement in both plan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