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Dick & Carey의 교수설계모형을 기반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노인을 위한 식이요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영양상태(체중, PG-SGA), 식이요법 지식, 삶의 질에 미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34610
2024
-
위암 ; 위절제술 ; 노인 ; 식이요법 ; 영양상태 ; stomach neoplasm ; gastrectomy ; aged ; diet therapy ; nutritional status
373
KCI등재
학술저널
757-771(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Dick & Carey의 교수설계모형을 기반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노인을 위한 식이요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영양상태(체중, PG-SGA), 식이요법 지식, 삶의 질에 미치...
목적 본 연구에서는 Dick & Carey의 교수설계모형을 기반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노인을 위한 식이요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영양상태(체중, PG-SGA), 식이요법 지식,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로 수행된 유사실험연구로 총 96명의 위절제술을 받은 노인이 참여하였다. 실험군(n=47)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식이요법 교육프로그램(총 4회기, 각 50분)을 받았고, 대조군(n=49)은 병원에서 통상적으로 진행하는 교육(총 1회, 20분)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군의 체중(F=11.38, p<.001), PG-SGA(F=6.83, p<.001), 식이요법 지식(F=4.21, p=.028)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의 경우 실험군은 위절제술을 받기 전에 비해 수술 1개월 후 감소, 수술 6개월 후에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수술 1개월 후와 6개월 후에 모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Dick & Carey의 교수설계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한 식이요법 교육프로그램은 위절제술을 받은 노인의 영양상태와 식이요법 지식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위절제술을 받은 노인이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In this study, I developed and applied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gastrectomy based on Dick & Carey's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determine the effects on nutritional status (weight, PG-SGA), dietary knowledge, and...
Objectives In this study, I developed and applied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gastrectomy based on Dick & Carey's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determine the effects on nutritional status (weight, PG-SGA), dietary knowledge, and quality of life.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included 96 older adults undergoing gastrectomy. The experimental group (n=47) received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four sessions, 50 minutes each), and the control group (n=49) received the usual hospital education program (one session, 20 min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o examine the study hypothesi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body weight (F=11.38, p<.001), PG-SGA (F=6.83, p<.001), and dietary knowledge (F=4.21, p=.028)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quality of life,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1 month after surgery and increased 6 months after surgery compared to before gastrectomy, while the control group decreased both 1 month and 6 months after surgery, whic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A dietar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ased on Dick & Carey's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knowledge in older adults undergoing gastrectomy. Therefore, we expect it to be a useful program to help older adults recover from gastrectomy.
목차 (Table of Contents)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교사-아동 갈등관계 변화 유형화, 영향요인 및 학교적응 차이 검증
SNS 기반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