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白頭山定界碑의 건립배경과 건립과정  :  Research about erecting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0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searched about erecting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re are two elements to background of erecting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One, the Qing dynasty seriously considered Baek Du Mn. that Manchu race regard to Baek Du Mt. in the cradle of the themselves. The second, a Korean immigrated toward China and the collision occurred with Chinese. In order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between Korea and China advanced the negotiation which is diplomatic. The Qing dynasty led all things but actually about erecting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Qing dynasty refused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site participation of the Bak Kon who represents a Lee dynasty specially. According to it Bak Kon did not participate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This could not the Korean-Chinese both nations all well. Also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clearly did not reveal about the origin of Du Man River and location of To Mun River. Like this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resultantly was not clear. And because of this, in the future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rather became the cause of the border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번역하기

      This paper researched about erecting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re are two elements to background of erecting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One, the...

      This paper researched about erecting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re are two elements to background of erecting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One, the Qing dynasty seriously considered Baek Du Mn. that Manchu race regard to Baek Du Mt. in the cradle of the themselves. The second, a Korean immigrated toward China and the collision occurred with Chinese. In order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between Korea and China advanced the negotiation which is diplomatic. The Qing dynasty led all things but actually about erecting process of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Qing dynasty refused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site participation of the Bak Kon who represents a Lee dynasty specially. According to it Bak Kon did not participate to erect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This could not the Korean-Chinese both nations all well. Also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ountain clearly did not reveal about the origin of Du Man River and location of To Mun River. Like this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resultantly was not clear. And because of this, in the future the border gravestone of Baek Du Mt. rather became the cause of the border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은 오랜 세월 동북아시아 국가의 복잡한 흥망성쇠와 함께 분명한 상태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이 대략적으로 현재의 국경선으로 확정된 것은 조선 초 세종시대이다. 세종시대 조선정부는 평안도 북부지역을 개척하여 여연, 자성, 우예, 무창 등 4군을 설치하고, 함경도 북부지역에 부령, 온성, 경흥, 경원, 회령, 종성 등 6진을 설치하여 행정지배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로부터 한국과 중국의 국경은 대체적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있는 선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결정된 국경은 16세기 중엽까지 대체로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또한 양국 사이에 특별한 영토분쟁이나 국경분쟁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16세기 말 북방의 건주여진족이 부상하면국의 북방국경선에 변화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건주여진족은 후금을 건립하고 만주일대의 패권을 차지한 후 그 여세를 몰아 1627 년(정묘), 1636년(병자) 두 차례에 걸쳐 조선을 침공한 후 정식으로 조선과 청나라 간의 조약을 체결하여 각자 자신의 국경을 지킬것으 체결하였다.
      번역하기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은 오랜 세월 동북아시아 국가의 복잡한 흥망성쇠와 함께 분명한 상태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이 대략적으로 현재의 국경선으로 확정...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은 오랜 세월 동북아시아 국가의 복잡한 흥망성쇠와 함께 분명한 상태는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양국의 북방국경선이 대략적으로 현재의 국경선으로 확정된 것은 조선 초 세종시대이다. 세종시대 조선정부는 평안도 북부지역을 개척하여 여연, 자성, 우예, 무창 등 4군을 설치하고, 함경도 북부지역에 부령, 온성, 경흥, 경원, 회령, 종성 등 6진을 설치하여 행정지배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로부터 한국과 중국의 국경은 대체적으로 압록강과 두만강을 있는 선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결정된 국경은 16세기 중엽까지 대체로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또한 양국 사이에 특별한 영토분쟁이나 국경분쟁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16세기 말 북방의 건주여진족이 부상하면국의 북방국경선에 변화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건주여진족은 후금을 건립하고 만주일대의 패권을 차지한 후 그 여세를 몰아 1627 년(정묘), 1636년(병자) 두 차례에 걸쳐 조선을 침공한 후 정식으로 조선과 청나라 간의 조약을 체결하여 각자 자신의 국경을 지킬것으 체결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1
      • 2. 백두산정계비 건립배경 4
      • 2.1 만주족의 백두산 숭배 4
      • 2.2 한중국경 충돌 6
      • 3. 백두산정계비 건립과정 9
      • 1. 머리말 1
      • 2. 백두산정계비 건립배경 4
      • 2.1 만주족의 백두산 숭배 4
      • 2.2 한중국경 충돌 6
      • 3. 백두산정계비 건립과정 9
      • 4. 맺음말 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