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산수유의 영양성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수유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산수유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 ...

      산수유를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고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산수유의 부위별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구성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산수유의 수분 함량은 과육, 씨 각각 74.52%, 30.13%, 조회분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53%, 1.82%, 조단백질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36%, 3.34%, 조지방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24%, 6.12%, 조섬유 함량은 과육, 씨 각각 3.54%, 38.62%이었다. 그리고 환원당의 함량은 과육, 씨 각각 13.98%, 10.30%이었다. 산수유 과육과 씨에 함유된 유리당은 과육이 10,411.0㎎%이며, 씨는 8,258.4 ㎎%으로 과육이 씨보다 훨씬 많은 유리당 함량을 보였으며, 유기산은 malic acid 1,463.03 ㎎%로 가장 높았고, 씨의 경우에는 citric acid 158.12 ㎎%로 가장 높았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서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외 17종이 검출되었고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씨가 과육보다 3.83배 정도 높았으며 과육에서는 Gly가 32.24 ㎎%로 가장 높았고, 씨의 경우에는 Arg가 114.37 ㎎%로 가장 높았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과육, 씨 모두 Arg가 가장 높았고, 각각 0.52 ㎎%, 0.60 ㎎%로 나타났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 함유된 무기질은 과육에는 K, Mg, Ca, Na, P, Fe, Zn, Cu, Mn 함량 순이었으며, 씨에서 Ca, K, Mg, Na, P, Fe, Zn, Mn, Cu 함량 순으로 검출되었다. 산수유의 과육과 씨에 함유된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과육에서 15.08 ㎎%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씨에서는 linolenic acid 65.44 ㎎%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accept basic data of utilizing of Cornus officianalis as a raw material of new food and industrial products, major chemical components were investigatied. Comparing proximate composition of flesh and seed of Cornus officianalis, seed contained high...

      To accept basic data of utilizing of Cornus officianalis as a raw material of new food and industrial products, major chemical components were investigatied. Comparing proximate composition of flesh and seed of Cornus officianalis, seed contained higher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fiber, with less moisture and reducing sugar. The main components of free sugars in flesh and seed were fructose. The main components of organic acid in fresh and seed were malic and citric acid. Analysing total amino acids, 18 kinds of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Cornus officianalis.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flesh and seed were 230.41 ㎎% and 883.81 ㎎%, respectively. Although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flesh and seed were different, glycine, leucine, histidine and lysine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both portion. The total amount of free amino acid were less than those of total amino acids. As a results of mineral analysis, the content of K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Fe, Zn and Cu. The contents of linolenic and linoleic acid were higher than those of oleic, palmitic and stearic aci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