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장애수준 및 유형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체력, 공복혈당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881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표는 척수장애인의 장애 수준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효과검증을 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개발 되어진 운동프로그램의 운동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척수장애인 총 19명 중 17명을 대상(선정기준에 부적합한 2명 제외)으로 6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중재를 실시하였고, 중재 전 후로 체력측정(근력, 심폐체력), 신체구성(비만도), 공복혈당, 그리고 정신건강(불안 및 우울)등을 측정 하여 변인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통한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적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그룹간의 차이 값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사용하였다. 마직막으로, 운동 전후의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유의수준은 p<0.05 이하로 정의 내렸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척수장애인의 장애수준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척수장애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심폐체력(사전: 11.70±8.14 ml/kg/min, 사후: 15.28±9.65 ml/kg/min, p=0.005)과 모든 상지 근력이 향상(p<0.05) 되었다. 또한 운동프로그램의 참여는 참가자들의 정신 건강관련인 불안(사전: 6.63±4.71, 사후: 3.45±4.48, p=0.003)과 우울척도(사전: 5.27±5.60, 사후: 3.18±5.54, p=0.002)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 것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수장애인 프로그램은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제약이 없는 운동프로그램으로서 척수장애인들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표는 척수장애인의 장애 수준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효과검증을 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개발 되어진 운동프로그램의 운동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척수장애인 총 1...

      본 연구의 목표는 척수장애인의 장애 수준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효과검증을 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개발 되어진 운동프로그램의 운동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척수장애인 총 19명 중 17명을 대상(선정기준에 부적합한 2명 제외)으로 6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중재를 실시하였고, 중재 전 후로 체력측정(근력, 심폐체력), 신체구성(비만도), 공복혈당, 그리고 정신건강(불안 및 우울)등을 측정 하여 변인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통한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적 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그룹간의 차이 값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사용하였다. 마직막으로, 운동 전후의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유의수준은 p<0.05 이하로 정의 내렸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척수장애인의 장애수준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척수장애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심폐체력(사전: 11.70±8.14 ml/kg/min, 사후: 15.28±9.65 ml/kg/min, p=0.005)과 모든 상지 근력이 향상(p<0.05) 되었다. 또한 운동프로그램의 참여는 참가자들의 정신 건강관련인 불안(사전: 6.63±4.71, 사후: 3.45±4.48, p=0.003)과 우울척도(사전: 5.27±5.60, 사후: 3.18±5.54, p=0.002)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한 것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수장애인 프로그램은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제약이 없는 운동프로그램으로서 척수장애인들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on the body composition, fasting glucose and fitness level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SCI).
      A total of seventeen people with SCI (11 males, 6 females) were randomized into one of following two groups; exercise and control group. People with SCI participated in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consisting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for 60-minute, 3 days per week for 6 weeks.
      Participants’ Peak oxygen consumption,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shoulder abduction and adduction, shoulder flexion and extension, elbow flexion and extension, fasting glucose and mental health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six weeks(after the intervention).
      The six-week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verage Peak oxygen consumption (baseline: 11.70±8.14 ml/kg/min vs. post-intervention: 15.28±9.65 ml/kg/min, p=0.005) in the exercise group whereas there was no change in control group. In addition, muscle strength of the shoulder flexors, extensors, abductors, adductors, and elbow flexors, and mental health (GAD-7 & PHQ-9)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rci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onclusions, a personalized exerci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on the body composition, fasting glucose and fitness level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SCI). A total of seventeen people with SCI (11 males, 6 females) we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on the body composition, fasting glucose and fitness levels of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SCI).
      A total of seventeen people with SCI (11 males, 6 females) were randomized into one of following two groups; exercise and control group. People with SCI participated in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consisting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for 60-minute, 3 days per week for 6 weeks.
      Participants’ Peak oxygen consumption,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shoulder abduction and adduction, shoulder flexion and extension, elbow flexion and extension, fasting glucose and mental health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six weeks(after the intervention).
      The six-week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verage Peak oxygen consumption (baseline: 11.70±8.14 ml/kg/min vs. post-intervention: 15.28±9.65 ml/kg/min, p=0.005) in the exercise group whereas there was no change in control group. In addition, muscle strength of the shoulder flexors, extensors, abductors, adductors, and elbow flexors, and mental health (GAD-7 & PHQ-9)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rci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conclusions, a personalized exerci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