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metaphor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41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er-child interaction’. To achieve this, a metaphor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he study involved 180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metaphorical categori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with 14 sub-themes: prerequisites, characteristics, roles, and outcomes. Among these, the ‘outcomes’ theme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nd among the sub-themes, ‘support for child development’ was the most prominent. Second, teachers perceived teacher-child interaction as having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change, emerging based on attention, respect, and positive emotions as prerequisites, functioning as a tool for learning, and resulting in a positive impact on both teachers and children, leading to a positive interaction. The metaphors used by teachers to describe ‘teacher-child interaction’ serve as a tool for revealing their perceptions and indicate their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develop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for implementing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er-child interaction’. To achieve this, a metaphor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he study involved 180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er-child interaction’. To achieve this, a metaphor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he study involved 180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metaphorical categori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with 14 sub-themes: prerequisites, characteristics, roles, and outcomes. Among these, the ‘outcomes’ theme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nd among the sub-themes, ‘support for child development’ was the most prominent. Second, teachers perceived teacher-child interaction as having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change, emerging based on attention, respect, and positive emotions as prerequisites, functioning as a tool for learning, and resulting in a positive impact on both teachers and children, leading to a positive interaction. The metaphors used by teachers to describe ‘teacher-child interaction’ serve as a tool for revealing their perceptions and indicate their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develop concrete and practical support for implementing high-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 해 은유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80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은유 유형은 4개 범주, 13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4개 범주는 전제 조건, 특 징, 역할, 결과로, 그중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결과 범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하위 범주 중에서는 유아 성장지원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 관심과 존중 및 긍정적 정서를 전제 조건으로 발생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 고 있고, 배움의 도구로서의 기능적 측면이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시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결과를 낳는 것 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은유는 교사들의 인식을 드 러내는 도구로서 작용하였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 을 교육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사들이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원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 해 은유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 해 은유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및 인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 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80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은유 유형은 4개 범주, 13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다. 4개 범주는 전제 조건, 특 징, 역할, 결과로, 그중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결과 범주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하위 범주 중에서는 유아 성장지원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 관심과 존중 및 긍정적 정서를 전제 조건으로 발생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 고 있고, 배움의 도구로서의 기능적 측면이 있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시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결과를 낳는 것 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은유는 교사들의 인식을 드 러내는 도구로서 작용하였으며,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 을 교육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유아교사들이 질 높은 교사-유아 상호 작용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원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경진, "한국과 OECD 국가의 유아교원 전문성 개발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비교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42 (42): 481-503, 2022

      2 하영례 ; 고경필, "평가인증제를 준비하는 교사의 '어려움' 분석- 평가인증지표 7개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1) : 127-153, 2007

      3 교육부, "제5주기(2020∼2022) 유치원 평가 지원 계획(안)"

      4 유주연 ; 한영미 ; 장민영, "제5주기 유치원 평가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지표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7 (17): 69-94, 2022

      5 성윤미 ; 김정희,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235-260, 2018

      6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7 손연주 ; 김성원 ; 이향숙 ; 윤정진,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본 ‘놀이를 통한 배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40 (40): 141-165, 2023

      8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은유"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9 김상림 ; 박창현,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과 가정환경 및 유아-교사상호작용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7 (17): 111-128, 2017

      10 성지현,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29-253, 2012

      1 조경진, "한국과 OECD 국가의 유아교원 전문성 개발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비교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42 (42): 481-503, 2022

      2 하영례 ; 고경필, "평가인증제를 준비하는 교사의 '어려움' 분석- 평가인증지표 7개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1) : 127-153, 2007

      3 교육부, "제5주기(2020∼2022) 유치원 평가 지원 계획(안)"

      4 유주연 ; 한영미 ; 장민영, "제5주기 유치원 평가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지표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7 (17): 69-94, 2022

      5 성윤미 ; 김정희, "장애통합교사와 일반교사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235-260, 2018

      6 이연선,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253-275, 2015

      7 손연주 ; 김성원 ; 이향숙 ; 윤정진,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본 ‘놀이를 통한 배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40 (40): 141-165, 2023

      8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은유"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9 김상림 ; 박창현, "유아의 인지 및 사회성 발달과 가정환경 및 유아-교사상호작용이 유아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7 (17): 111-128, 2017

      10 성지현,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29-253, 2012

      11 임현주, "유아의 또래놀이, 교실환경,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217-240, 2020

      12 백경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현상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261-275, 2011

      13 박창현 ; 나정,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99-125, 2012

      14 Epstein, A. S., "유아교수방법: 교육적 의도를 가진 교사" 양서원 2009

      15 최혜선,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행복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육아정책연구소 15 (15): 51-73, 2021

      16 김성은 ; 최선영,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회복탄력성, 그릿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11-529, 2022

      17 권영자 ; 김혜순,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42) : 145-167, 2023

      18 이선우 ; 오재연, "유아교사의 인성, 공감능력,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1 (21): 1-24, 2022

      19 우수정,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행복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73-590, 2020

      20 이은주 ; 김상림, "유아교사의 교사행복감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8 (28): 437-447, 2019

      21 김소향 ; 조준오 ; 이주옥, "유아교사의 ‘좋은 놀이’에 대한 은유(metaphor)적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161-190, 2018

      22 채혜경, "유아교사와 부모가 인식한 유아 강점에 대한 메타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87-310, 2020

      23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20

      24 박은경 ; 김정희,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3, 2019

      25 김은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에 대한 은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545-563, 2022

      26 이은혜, "유아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997-1012, 2022

      27 임미선 ; 김현자 ; 서화니,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어려움" 대한아동복지학회 15 (15): 1-23, 2017

      28 이지혜 ; 이진화 ; 김선영,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 놀이에 대한 메타포분석"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5 (25): 1-15, 2021

      29 김민희 ; 이소현,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학회 14 (14): 105-122, 2021

      30 정진희 ; 이대균,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 실행에 따른 교사의 성장과정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131-161, 2017

      31 이채호, "어린이집 직무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25-236, 2021

      32 이은진, "생존기 유아교사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은유 분석" 유아교육연구소 22 (22): 77-99, 2020

      33 우리말샘, "상호작용" 국립국어원

      34 손혜숙 ; 이지영,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22 (22): 414-425, 2018

      35 김현지, "보육교사의 유아-교사 상호작용 척도 개발 연구" 1 (1): 1-19, 2005

      36 김수정 ; 이민주 ; 이영신, "보육교사들의 질 높은 교사-영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반성적 사고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생애학회 8 (8): 51-73, 2018

      37 유명은 ; 최항준,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4 (14): 223-238, 2023

      38 손진희 ; 박형신,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직업행복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27) : 21-43, 2021

      39 이경애 ; 유영란 ; 송승민, "보육교사-어머니 신뢰관계와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어머니 협력행동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 23 (23): 1-14, 2023

      40 이주영 ; 조예원 ; 이채영 ; 김윤희, "메타포 분석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에 대한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7 (27): 59-81, 2022

      41 임수정 ; 안혜정, "놀이중심교육과정으로 학교현장실습을 마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지원자’ 역할 실행에 대한 어려움과 요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8 (28): 263-284, 2023

      42 손연주 ; 윤정진, "놀이와 배움의 관계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메타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41) : 141-164, 2023

      43 정혜욱, "놀이 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 바로 알기" 창지사 2019

      44 장민영 ; 유주연,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영역에 대한 미국, 호주, 핀란드 간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49-72, 2020

      45 김윤덕 ; 김승희,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25-52, 2019

      46 김수정,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13 (13): 73-93, 2019

      47 송민영,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103-123, 2019

      48 차인영 ; 최미미 ; 서영숙,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실환경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10 (10): 95-117, 2016

      49 Mortensen, J. A.,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infant/toddler child car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26 (26): 209-229, 2015

      50 Grosse, G., "Teacher–child interaction quality fosters working memory and social-emotional behavior in two-and three-year-old children" 54 : 421-444, 2022

      51 Pianta, R., "Quality in early education classrooms : Definitions, gaps, and systems" 26 (26): 119-137, 2016

      52 OECD, "Providing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Results from the starting strong survey 2018" OECD Publishing 2019

      53 Saban, A., "Prospective teachers’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s of learner" 26 (26): 290-305, 2010

      54 Saban, A.,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revealed through metaphor analysis" 17 (17): 123-139, 2007

      55 Dombro, A. M., "Powerful Interactions"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020

      56 Wood, E., "Play, learning and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SAGE 2013

      57 Zheng, H., "Metaphor analysis in the educational discourse : A critical review" 8 (8): 42-49, 2010

      58 이정화 ; 유혜린, "IPA 기법으로 들여다본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2 (22): 459-480, 2021

      59 Saban, A., "Functions of metaphor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A review essay" 17 (17): 299-315, 2006

      60 보건복지부, "2023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61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