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neighborhoods and social capital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40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동네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계층을 구분 지을 수 있는 동네의 경계를 마련하고, 전체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동네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계층을 구분 지을 수 있는 동네의 경계를 마련하고, 전체 가구 수에 대한‘빈곤가구비율’(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 비율)을 산정하는 절차를 거쳐, 빈곤계층과 중산층 이상의 계층 간 확연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동네 12곳을 선정하였다.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353부의 설문응답결과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노인 우울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차원들을 동네애착, 이웃과의 유대, 이웃신뢰, 주민조직 참여로 나누어,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동네수준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동네수준 사회경제적 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관련해서는 유일하게 동네 주민조직의 참여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태도 및 행동 중에서 지역사회 주민조직에 대한 참여가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 수행되지 않은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이라는 변수를 통해서 분석을 했다는 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inquire into neighborhood effect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inquiring into literature and the actual proof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S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inquire into neighborhood effect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inquiring into literature and the actual proof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Samples were extracted and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with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years old to measure neighborhood effec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mong selected 12 places that were estim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es between the poor and over the middle class. The period of questionnaire distribution was from May 21th to May 31th and total 36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100% due to face to face survey but 353 copies were used as final data by removing unfaithful 7 copies. As a result by analyzing rank linear model to grasp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each neighborhood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it appeared that neighborhood level dispersion was meaningful. However, socioeconomic status of neighborhood level was shown not to have an meaningful effect statistically. In reference to social capital, it showed that onl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of neighborhood affected on depression. The direction of a regression coefficient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ells that the more participating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he lower depression they ha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실증조사분석
      • Ⅳ. 논의 및 시사점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실증조사분석
      • Ⅳ. 논의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혜, "현대인의 정신건강" 대왕사 2005

      2 김범수,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06

      3 곽현근, "지역사회 주민조직으로서의 주민자치센터 참여의영향요인과 사회심리적 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45-170, 2007

      4 이윤로, "정신보건과 사회복지" 창지사 2005

      5 이영호, "정신건강론" 학현사 2006

      6 김태영, "자발적 조직과 사회자본-도시의 사회자본과 문화산업" 삼우사 2001

      7 곽현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38 (38): 1-22, 2004

      8 최옥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07

      9 이민수, "우울 119-마음의 감기 치료법" 가림출판사 2005

      10 박희봉,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37 (37): 45-66, 2003

      1 이인혜, "현대인의 정신건강" 대왕사 2005

      2 김범수,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06

      3 곽현근, "지역사회 주민조직으로서의 주민자치센터 참여의영향요인과 사회심리적 효과"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45-170, 2007

      4 이윤로, "정신보건과 사회복지" 창지사 2005

      5 이영호, "정신건강론" 학현사 2006

      6 김태영, "자발적 조직과 사회자본-도시의 사회자본과 문화산업" 삼우사 2001

      7 곽현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38 (38): 1-22, 2004

      8 최옥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07

      9 이민수, "우울 119-마음의 감기 치료법" 가림출판사 2005

      10 박희봉,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37 (37): 45-66, 2003

      11 홍영란,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2 곽현근, "사회적 배제로서의 주거지 격리가 주민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동네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3) : 65-90, 2007

      13 박원우, "리더십 임파워먼트" 경희대학교 2002

      14 곽현근, "동네관련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14 (14): 259-285, 2003

      15 정현숙,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공주대학교 2006

      16 김위정, "공공임대주택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 연구-주거지격리를 통한 사? 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9 : 87-114, 2004

      17 Singer,J.D., "Using SAS PROC MIXED to Fit Multilevel Models,젨젨젨젨젨젨 Hierarchical Models and IndividualGrowth Models" 24 (24): 323-355, 1998

      18 Bourdieu P.,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ed), Handbook of젨젨?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241-258, 1986

      19 Woldoff,R.A., "The Effects of Local Stressors on Neighborhood Attachment" 81 (81): 87-116, 2002

      20 Pagden,A., "The Destruction of Trust and Economic Consequence, Trust Making젨젨젨젨 Cooperative Relations" Blackwell 213-214, 1988

      21 Larkin,C.A., "Stressful Neighborhoods and Depression : A젨젨젨?Prospective Study of the Impact of Neighborhood Disorder" 44 (44): 34-45, 2003

      22 Barker,R.L., "Social Work Dictionary" NASW Press 2003

      23 Forrest R., "Social Cohesion" 38 (38): 2125-2143, 2001

      24 Sampson,R.J., "Neighborhoods and Violent?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277 : 918-924, 1997

      25 Ross,C.E.,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Adult Depression" 41 (41): 177-187, 2000

      26 Snijder, T., "Multilevel Analysis: An Interduction to Basic and젨젨젨 Advanced Multilevel Modeling" Sage Publications 2002

      27 Putnam,R.D.,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28 Coleman,J.,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29 Musterd,S., "Employment, Social Mobility and젨젨젨젨젨젨젨젨젨젨 Neighborhood Effects: The Case of Sweden" 30 (30): 120-140, 2006

      30 Ross,C.E., "Disorder and Decay: The Concept and젨젨젨젨젨 Measurement of Perceived Neighborhood Disorder" 34 (34): 412-432, 2001

      31 Koenig,H.G., "Depression, In J. E. Birren(ed), Encyclopedia of Gerontoloty" Academic Press 415-428, 1996

      32 Shinn, M., "Community Context of Human Welfare" 54 : 427-459, 2003

      33 Putnam,R.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Schuster 2000

      34 Putnam,R.D.,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6 (6): 65-78,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6 1.41 1.78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