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90년대 이후 중국 중학 어문 교과서 편찬과 관련한 제반환경과 담론의 변화를 고찰한다: 90년대 교과서 검정제로의 전환 이후 전개된 교과서 편찬을 둘러싼 제도 및 담론의 변화를 고찰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8618
2008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90년대 이후 중국 중학 어문 교과서 편찬과 관련한 제반환경과 담론의 변화를 고찰한다: 90년대 교과서 검정제로의 전환 이후 전개된 교과서 편찬을 둘러싼 제도 및 담론의 변화를 고찰함...
1. 90년대 이후 중국 중학 어문 교과서 편찬과 관련한 제반환경과 담론의 변화를 고찰한다: 90년대 교과서 검정제로의 전환 이후 전개된 교과서 편찬을 둘러싼 제도 및 담론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써 교과서에 현대문학 작품이 수록되고 해석되는 방식을 분석함에 있어 그를 둘러싼 맥락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2. 90년대 이후 중국 중학 어문 교과서에 수록된 중국 현대문학 작품의 목록 파악 및 새로이 수록된 작품 혹은 이전 교과서에는 수록되었으나 더 이상 수록되지 않게 된 작품 등을 대상으로 선정/탈락 원인을 분석한다:본 연구는 90년대 이후 편찬, 출판된 중학 어문 교과서를 대상으로 어떤 현대문학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는지 파악한다. 더불어 어떤 작품들이 새로이 교과서에 수록되었는지, 기존 교과서에 수록되었던 작품들 중 어떤 작품들이 더 이상 수록되지 않게 되었는지 등 변동사항을 확인하고, 그러한 변동이 일어나게 된 원인 및 배경을 분석한다. 이로써 중학 어문 교과서를 통해 형성되는 문학 정전의 유동성 및 문학 정전을 형성하는 배후의 원리 및 각종 담론의 작용을 입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3. 교과서와 교사용 참고서의 주석․해석 및 교사와 어문교육 연구자들의 교안․논문 등을 통해 중학교 어문 교육이 현대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교과서의 주석이나 설명, 교사용 참고서 뿐 아니라, 교사와 어문교육 연구자들이 자신의 경험이나 이론에 근거하여 각종 정기간행물이나 학술지에 발표하는 敎案, 교학 경험담 등을 참고하여 현대문학 개별 작품들이 어떤 방식으로 해석되고 학생들에게 전달되어, 학생들의 독서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고착화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교과서에서 본문이나 부연설명 등의 방식을 통해 현대문학이라는 개념이 어떤 식으로 서술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 반드시 습득해야 하는 지식으로써 주입되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넷째, 주로 대학 교재로 쓰이는 중국 현대 문학사 저작들과 중학 어문 교과서에서 중국 현대문학 작품을 서술하는 방식 간의 연관성 및 차이점을 비교 연구한다:대학 위주의 문학사 저술로 대표되는 학술적 영역의 문학 정전과 중학 어문 교과서가 반영하는 일반적인 층위의 문학 정전 간의 상관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