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방송 · 통신 융합 환경에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보급 사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사업의 개선 방안 후보로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안 셋톱박스 내장, 시 ·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884905
2020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635-64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방송 · 통신 융합 환경에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보급 사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사업의 개선 방안 후보로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안 셋톱박스 내장, 시 · ...
이 연구에서는 방송 · 통신 융합 환경에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보급 사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사업의 개선 방안 후보로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안 셋톱박스 내장, 시 · 청각장애인용 스마트 TV로 전환, 셋톱박스의 장애인 특화기능 개발 등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유료방송 및 TV 산업 관련 전문가, 장애인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각 대안들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대안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정부와 사업자간 협업 및 협업모델 구성을 통한 참여 사업자 확대, 참여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법 · 제도 개선을 위한 장애인 방송접근권 보장에 관한 고시 개정, 장애인 방송 기술 표준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dissemination of TV for the blind and deaf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s candidates for improvement of the project, it presents three alternatives: ①built-in set-t...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dissemination of TV for the blind and deaf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s candidates for improvement of the project, it presents three alternatives: ①built-in set-top box in the TV, ②converting to a smart TV, and ③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functions for the disabled in the set-top box. Through interviews with pay-TV and TV industry experts and disability experts, their opinions on each alternative were collected. To promot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companies, provision of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companies, and revision related law and broadcasting technology standard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주성, "제2세대 인터넷에 대응하는 정보격차해소 정책의 방향과 과제" KISDI 2004
2 노화준, "정책분석론" 박영사 2012
3 최정희, "전문가판단을 활용한 신상품 수요예측 모형: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방법과의 비교" 대한경영학회 30 (30): 1631-1652, 2017
4 송종길,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방송학회 2003 (2003): 147-178, 2003
5 방송통신위원회, "장애인방송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2017
6 이준호, "장애인방송 접근권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수신환경 실태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3) : 263-298, 2011
7 오경수, "장애인방송 수신기 보급사업에 대한 시청각 장애인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21-244, 2012
8 최은경, "장애인방송 서비스 관련 정책 결정 과정의 거버넌스: 영국과 한국의 장애인방송 서비스 규제 지침 사례의 비교 분석" 한국방송학회 32 (32): 225-272, 2018
9 진승현, "장애인방송 공익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이용자 인식 연구"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133-174, 2017
10 홍종배, "장애인 방송접근성 표준화 동향-장애인 방송접근권 현황 및 제고방안" (137) : 52-56, 2011
1 황주성, "제2세대 인터넷에 대응하는 정보격차해소 정책의 방향과 과제" KISDI 2004
2 노화준, "정책분석론" 박영사 2012
3 최정희, "전문가판단을 활용한 신상품 수요예측 모형: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방법과의 비교" 대한경영학회 30 (30): 1631-1652, 2017
4 송종길, "장애인의 방송접근권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방송학회 2003 (2003): 147-178, 2003
5 방송통신위원회, "장애인방송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2017
6 이준호, "장애인방송 접근권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수신환경 실태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3) : 263-298, 2011
7 오경수, "장애인방송 수신기 보급사업에 대한 시청각 장애인의 인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21-244, 2012
8 최은경, "장애인방송 서비스 관련 정책 결정 과정의 거버넌스: 영국과 한국의 장애인방송 서비스 규제 지침 사례의 비교 분석" 한국방송학회 32 (32): 225-272, 2018
9 진승현, "장애인방송 공익성 제고를 위한 전문가 및 이용자 인식 연구"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133-174, 2017
10 홍종배, "장애인 방송접근성 표준화 동향-장애인 방송접근권 현황 및 제고방안" (137) : 52-56, 2011
11 문성철, "자막·수화 방송 이용자들의 이용 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77) : 134-161, 2012
12 이종기, "융합시대의 통신과 방송의보편적서비스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3 (53): 128-145, 2009
13 이은향, "시청각 장애 보조 방송 서비스 표준화 동향" (137) : 57-61, 2011
14 김호연, "시각장애인의 방송접근을 위한 화면해설방송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25, 2010
15 장인선, "시각장애인 미디어접근권 향상을 위한 해설오디오 수용도 조사 및 분석"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2 (22): 214-233, 2017
16 이영희, "미디어 소비자로서의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방송편성의 다양성 개선방안 연구" 61-114, 2015
17 고삼석, "디지털 전환에 따른 방송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 접근격차, 이용격차, 성과격차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46-91, 2011
18 황용석,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 세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6 (56): 198-225, 2012
19 정애리, "디지털 미디어 액세스: 개념의 확대와 범위의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60) : 293-321, 2005
20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78-108, 2006
21 박종구,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NM (Integrative Adoption Model of New Media)" 한국언론학회 55 (55): 448-479, 2011
22 "https://www.mediasr.co.kr/news/articleView. html?idxno=56754"
23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1/07/2019110700892.html"
24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18/2019091800683.html"
25 "http://www.mediapen.com/news/view/324781"
26 "http://www.korea.kr/news/contributePolicyVi ew.do?newsId=148720597"
27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 w.html?idxno=204831"
28 "http://www.bloter.net/archives/298865"
29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30 J. V. Dijk, "The Digital Divide as a Complex and Dynamic Phenomenon" 19 (19): 315-326, 2003
31 G. Einav, "Television Goes Digital" Springer 115-130, 2009
32 M. Dawson, "Television Between Analog and Digital" 38 (38): 95-100, 2010
33 W. Lu, "Does the Digital Divide Matter More? Comparing the Effects of New Media and Old Media Use on the Education-Based Knowledge Gap" 14 (14): 216-235, 2011
34 A. Carmichael, "Digital switchover or digital divide : a prognosis for usable and accessible interactive digital television in the UK" 4 : 400-416, 2006
35 J. A. Smith, "Digital Television, Convergence, and the Public: Another Digital Divide?" 7 (7): 2009
36 J. V. Dijk, "A Framework For Digital Divide Research" 12 (12): 2002
3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2019
38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2018
39 방송통신위원회, "2008-2018년 방송통신위원회 연차보고서" 2018
보건계열 대학생의 국가시험 스트레스와 주관적 구강이상증상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극성 유발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