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조선족 농촌사회의 현실과 당면 과제 : 연변 변경지역 조선족 농촌마을을 중심으로 = Realities and Immediate Problems of Korean-Chinese(Josunjok)'s Rural Society in China: With Focus on Korean-Chinese(Josunjok)'s agricultural village of Yanbian border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8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thnic Korean resident in China who has short history of a century in China consolidated its foundation overcoming difficulties and agony with unique diligence, intelligence and wisdom in the new grounds of China.
      Especially Korean ethnic in China has maintained and promot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setting up a stable life foundation with rice farming centered on agricultural society.
      But among the turmoil of rough wave of globalization,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and urbanization and Korean dream in the wake of setting up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outh Korea, ethnic Korean residents in China's agricultural community has thrown into a gulf of rapid change.
      Because of a massive escape of farmers, sluggish agricultural economy, cavitation of rural community, decrease of agricultural population and ruins of ethnic education etc.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has faced with a serious crisis.
      Under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opening up policies of China how to recover rural economy of ethnic Korean resident in China?, How to solve wisely various problems in agricultural community which is devastating? What is the role and status of the rural community in the dimension of ethnic community development.
      To answer those questions, I briefly go through rural community's role and statu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process of ethnic Korean resident in Chinese territory and urgent matters of the ethnic Korean resident community in China and future challenges in the China's reality of opening up and reform.
      번역하기

      Ethnic Korean resident in China who has short history of a century in China consolidated its foundation overcoming difficulties and agony with unique diligence, intelligence and wisdom in the new grounds of China. Especially Korean ethnic in China ha...

      Ethnic Korean resident in China who has short history of a century in China consolidated its foundation overcoming difficulties and agony with unique diligence, intelligence and wisdom in the new grounds of China.
      Especially Korean ethnic in China has maintained and promot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setting up a stable life foundation with rice farming centered on agricultural society.
      But among the turmoil of rough wave of globalization, China's reform and opening-up policy and urbanization and Korean dream in the wake of setting up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South Korea, ethnic Korean residents in China's agricultural community has thrown into a gulf of rapid change.
      Because of a massive escape of farmers, sluggish agricultural economy, cavitation of rural community, decrease of agricultural population and ruins of ethnic education etc.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has faced with a serious crisis.
      Under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opening up policies of China how to recover rural economy of ethnic Korean resident in China?, How to solve wisely various problems in agricultural community which is devastating? What is the role and status of the rural community in the dimension of ethnic community development.
      To answer those questions, I briefly go through rural community's role and statu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process of ethnic Korean resident in Chinese territory and urgent matters of the ethnic Korean resident community in China and future challenges in the China's reality of opening up and refo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조선족은 한 세기 반밖에 안 되는 짧은 역사의 이주민족이면서 중국이라는 새로운 삶의 터전에서 한민족특유의 근면과 총명과 슬기로 갖은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면서 중국에서의 우수민족으로서의 기반을 튼튼히 다져왔다. 특히 조선족은 농촌사회를 중심으로 집거구를 이루면서 벼농사를 매개로 튼실한 삶의 터전을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족의 전통문화를 고스란히 지키고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오늘날 거세게 일고 있는 세계화의 물결, 중국의 개혁개방정책과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 및 한중수교후의 코리안 드림으로 조선족 농촌사회는 급속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빠지게 되었다. 농민들의 대량적인 이농현상, 농촌경제의 부진, 농촌마을의 공동화, 농촌인구의 감소와 민족교육의 피폐 등 현상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농촌사회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일가에서는 중국의 산업화과정의 진척 속에서 농촌인구의 이농현상, 농촌사회의 피폐, 농촌집거구의 파괴 등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굳이 농촌사회의 부축을 강조하는 것은 낙오된 생각이라고 한다. 농업노동력의 이농과 농촌의 도시화, 그것은 사회발전의 추세이다. 그러나 농촌의 도시화과정을 추진한다하여 기존의 농촌사회를 그냥 방치하거나 도외시하여서는 절대 안 된다. 특히 여태껏 민족공동체의 토대역할을 감당하여 온 조선족 농촌사회의 피폐는 단지 농촌사회경제발전차원을 넘어 중국내 조선족민족공동체의 생존과 밀접히 연관되는 대사이다.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와 개혁개방의 배경 하에 어떻게 기존의 조선족농촌경제패턴을 다시 정합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피폐되어가고 있는 농촌사회의 제반 사회현실과 문제점들을 슬기롭게 풀어갈 것인가? 민족공동체발전의 차원에서 농촌사회가 감당해야 할 지위와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문에서는 중국경내에서의 조선족공동체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의 농촌사회의 지위와 역할, 중국의 개혁개방 현실 속에서의 조선족농촌사회의 당면문제들 및 조선족농촌사회의 향후과제를 짚어보았다.
      번역하기

      중국의 조선족은 한 세기 반밖에 안 되는 짧은 역사의 이주민족이면서 중국이라는 새로운 삶의 터전에서 한민족특유의 근면과 총명과 슬기로 갖은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면서 중국에서의 우...

      중국의 조선족은 한 세기 반밖에 안 되는 짧은 역사의 이주민족이면서 중국이라는 새로운 삶의 터전에서 한민족특유의 근면과 총명과 슬기로 갖은 시련과 고난을 이겨내면서 중국에서의 우수민족으로서의 기반을 튼튼히 다져왔다. 특히 조선족은 농촌사회를 중심으로 집거구를 이루면서 벼농사를 매개로 튼실한 삶의 터전을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족의 전통문화를 고스란히 지키고 발전시켜왔다.
      그러나 오늘날 거세게 일고 있는 세계화의 물결, 중국의 개혁개방정책과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 및 한중수교후의 코리안 드림으로 조선족 농촌사회는 급속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빠지게 되었다. 농민들의 대량적인 이농현상, 농촌경제의 부진, 농촌마을의 공동화, 농촌인구의 감소와 민족교육의 피폐 등 현상으로 기존의 전통적인 농촌사회가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일가에서는 중국의 산업화과정의 진척 속에서 농촌인구의 이농현상, 농촌사회의 피폐, 농촌집거구의 파괴 등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며 굳이 농촌사회의 부축을 강조하는 것은 낙오된 생각이라고 한다. 농업노동력의 이농과 농촌의 도시화, 그것은 사회발전의 추세이다. 그러나 농촌의 도시화과정을 추진한다하여 기존의 농촌사회를 그냥 방치하거나 도외시하여서는 절대 안 된다. 특히 여태껏 민족공동체의 토대역할을 감당하여 온 조선족 농촌사회의 피폐는 단지 농촌사회경제발전차원을 넘어 중국내 조선족민족공동체의 생존과 밀접히 연관되는 대사이다.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와 개혁개방의 배경 하에 어떻게 기존의 조선족농촌경제패턴을 다시 정합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피폐되어가고 있는 농촌사회의 제반 사회현실과 문제점들을 슬기롭게 풀어갈 것인가? 민족공동체발전의 차원에서 농촌사회가 감당해야 할 지위와 역할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문에서는 중국경내에서의 조선족공동체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의 농촌사회의 지위와 역할, 중국의 개혁개방 현실 속에서의 조선족농촌사회의 당면문제들 및 조선족농촌사회의 향후과제를 짚어보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