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아시아 공동체의 형성과 국제교육의 역할 = Building an East Asian Community and the Role of Internation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89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ast Asia is a most dynamic region of the world today, with its economic prosperity and relative peaceful security environment. Over the years, the countries in the region as a whole, covering Southeast Asia and Northeast Asia, have taken several, steady approaches for closer cooperation in more formal multilateral frameworks, as in the APEC or the ARF. One of the ultimate goals of East Asia may be to build a East Asian Community, modeled after the European Union, or its predecessor European Community.
      International education, having many definitions, can be one of the areas of regional cooperation, aiming at promoting a so-called "Asian-ness" and eventual realiz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global governance, most of the universities as well as nations in East Asia emphasize international education as part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and the national capacity. Furthermore, by definition and nature, international education serves as an important instrument of promoting cooperation among the universities and nations by people-to-people diplomacy in East Asia. In reality, the status and strengths of the international education in East Asia are considered inferior, for instance, to Europe. As a result, many Asian students have gone to Western or English-speaking countries for taking chances of better international education.
      In enhancing international education and also realizing an ideal goal of the role of international education toward the East Asian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the members of the Asian society to take initiatives by developing a new common vision and policy on international education. They may include also appropriate programs such as exchange programs of students and scholars, students field study, volunteer services, and education of university leaders. The main actor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universities, but also governments, business, NGO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re are challenges and tasks to deal with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ducation, in light of diversity and differences among the Asian nations and universities. However, there is still a great potential for success, as most of the Asian countries pay attention to the critical role of education in general and international education in particular. Therefore, international educa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ward building a found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if concerted efforts are made among the major actors. Moreover, Korea, seeking a role of an aspiring, mature middle power in the East Asian affairs and in the world, can utilize international education as a key area of national investment and ambition in securing international influence in the region. It is therefore important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seize the opportunity by adopting a national vision and diverse strategies on international education.
      번역하기

      East Asia is a most dynamic region of the world today, with its economic prosperity and relative peaceful security environment. Over the years, the countries in the region as a whole, covering Southeast Asia and Northeast Asia, have taken several, ste...

      East Asia is a most dynamic region of the world today, with its economic prosperity and relative peaceful security environment. Over the years, the countries in the region as a whole, covering Southeast Asia and Northeast Asia, have taken several, steady approaches for closer cooperation in more formal multilateral frameworks, as in the APEC or the ARF. One of the ultimate goals of East Asia may be to build a East Asian Community, modeled after the European Union, or its predecessor European Community.
      International education, having many definitions, can be one of the areas of regional cooperation, aiming at promoting a so-called "Asian-ness" and eventual realiz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global governance, most of the universities as well as nations in East Asia emphasize international education as part of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higher education and the national capacity. Furthermore, by definition and nature, international education serves as an important instrument of promoting cooperation among the universities and nations by people-to-people diplomacy in East Asia. In reality, the status and strengths of the international education in East Asia are considered inferior, for instance, to Europe. As a result, many Asian students have gone to Western or English-speaking countries for taking chances of better international education.
      In enhancing international education and also realizing an ideal goal of the role of international education toward the East Asian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the members of the Asian society to take initiatives by developing a new common vision and policy on international education. They may include also appropriate programs such as exchange programs of students and scholars, students field study, volunteer services, and education of university leaders. The main actors should include not only the universities, but also governments, business, NGO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re are challenges and tasks to deal with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ducation, in light of diversity and differences among the Asian nations and universities. However, there is still a great potential for success, as most of the Asian countries pay attention to the critical role of education in general and international education in particular. Therefore, international educa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ward building a foundation of an East Asian Community, if concerted efforts are made among the major actors. Moreover, Korea, seeking a role of an aspiring, mature middle power in the East Asian affairs and in the world, can utilize international education as a key area of national investment and ambition in securing international influence in the region. It is therefore important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seize the opportunity by adopting a national vision and diverse strategies on international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동아시아는 경제적 번영과 비교적 평화로운 안보환경 등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지역의 하나이다. 지난 몇 년간 동남아시아 및 동북아시아를 포괄하는 이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APEC 이나 ARF 같은 보다 공식적인 다자협력체를 통하여 그들 자체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하여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유럽연합(EU) 혹은 그 전신인 유럽공동체(EC)를 모델로 한 이른 바 동아시아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국제교육은, 여러 가지 정의를 갖고 있으며, 소위 “아시아다움”(Asian-ness)과 궁극적인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해서 지역적 협력을 촉진하는 분야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세계화와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에서,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와 대학들은 국제교육을 고등교육과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부분으로서 강조하는 입장이다. 나아가서 그 의미나 성격에서 국제교육은 동아시아에서의 민간외교(people-to-people diplomacy)를 통하여 대학과 국가들 상이의 협력을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국제화교육의 현실은 가령 유럽연합등과 비교하여 상당히 열세에 있으며, 그 결과 많은 동아시아 학생들이 서구권과 영어권에서 유학 등 국제화교육 경험을 쌓으려고 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동아시아 역내에서의 국제화교육 강화와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한 국제교육의 긍정적 역할이라는 이상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동아시아 사회의 구성원들은 국제교육에 대한 새로운 공동의 비전과 정책을 개발함으로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취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한 비전과 정책의 내용은 가령 학생 및 학자의 교환, 학생현장교육, 자원봉사, 그리고 대학최고경영자 교육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주요 행위자들 즉, 대학뿐 만 아니라,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NGOs) 및 국제기구 등이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동아시아국가와 대학들의 다양성과 격차에 비추어 국제교육의 강화를 다루는데 있어서 많은 한계, 도전과 과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또한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일반적으로 교육의 역할과 특별히 국제교육의 역할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짐에 따라서 국제교육의 성공가능성도 여전히 많다. 이와 같은 인식과 노력을 바탕으로 주요행위자들 간에 공동의 노력이 취해진다면, 동아시아의 공동체형성을 위한 기반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더구나 동아시아와 세계에서 성숙한 중견국가 (middle power)로서의 역할을 추구하는 한국은 국제교육을 지역 내에서 국제적 영향력을 확보하는 국가적 투자와 야망으로서 활용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정부는 국제교육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여 이와 같은 기회를 포착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번역하기

      오늘날 동아시아는 경제적 번영과 비교적 평화로운 안보환경 등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지역의 하나이다. 지난 몇 년간 동남아시아 및 동북아시아를 포괄하는 이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

      오늘날 동아시아는 경제적 번영과 비교적 평화로운 안보환경 등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지역의 하나이다. 지난 몇 년간 동남아시아 및 동북아시아를 포괄하는 이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APEC 이나 ARF 같은 보다 공식적인 다자협력체를 통하여 그들 자체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하여 동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유럽연합(EU) 혹은 그 전신인 유럽공동체(EC)를 모델로 한 이른 바 동아시아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국제교육은, 여러 가지 정의를 갖고 있으며, 소위 “아시아다움”(Asian-ness)과 궁극적인 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해서 지역적 협력을 촉진하는 분야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세계화와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에서,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와 대학들은 국제교육을 고등교육과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부분으로서 강조하는 입장이다. 나아가서 그 의미나 성격에서 국제교육은 동아시아에서의 민간외교(people-to-people diplomacy)를 통하여 대학과 국가들 상이의 협력을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국제화교육의 현실은 가령 유럽연합등과 비교하여 상당히 열세에 있으며, 그 결과 많은 동아시아 학생들이 서구권과 영어권에서 유학 등 국제화교육 경험을 쌓으려고 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동아시아 역내에서의 국제화교육 강화와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한 국제교육의 긍정적 역할이라는 이상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동아시아 사회의 구성원들은 국제교육에 대한 새로운 공동의 비전과 정책을 개발함으로서 새로운 이니셔티브를 취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한 비전과 정책의 내용은 가령 학생 및 학자의 교환, 학생현장교육, 자원봉사, 그리고 대학최고경영자 교육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주요 행위자들 즉, 대학뿐 만 아니라,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NGOs) 및 국제기구 등이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동아시아국가와 대학들의 다양성과 격차에 비추어 국제교육의 강화를 다루는데 있어서 많은 한계, 도전과 과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또한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들이 일반적으로 교육의 역할과 특별히 국제교육의 역할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짐에 따라서 국제교육의 성공가능성도 여전히 많다. 이와 같은 인식과 노력을 바탕으로 주요행위자들 간에 공동의 노력이 취해진다면, 동아시아의 공동체형성을 위한 기반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더구나 동아시아와 세계에서 성숙한 중견국가 (middle power)로서의 역할을 추구하는 한국은 국제교육을 지역 내에서 국제적 영향력을 확보하는 국가적 투자와 야망으로서 활용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정부는 국제교육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여 이와 같은 기회를 포착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