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unner Training Angle Affects Growth of Runners in ‘Seolhyang’ and ‘Maehyang’ Strawber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7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딸기는 다년생 초본성 식물로 그 과실은 영양 가치가 높고 인기있는 고부가가치 채소작물이다. 본 연구는 딸기 품종 ‘설향’과 ‘매향’의 런너유인각도(RTA)가 절간장과 런너 발생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자묘의 생산성을 높이고 번식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러너를 0°(상향), 45°, 90°(수평), 135°, 또는 180°(하향)의 각도로 한 달 간 유인하였다. 이 실험은 유리온실에서 주간/야간 온도 29/20°C, 평균 광도 450 μmol m<SUP>-2</SUP>·s<SUP>-1</SUP> PPFD의 자연광 환경에서 수행하였으며, 1일 광주기는 12시간이었다. ‘설향’과 ‘매향’에 있어서 RTA는 런너 수와 절간장에 영향을 주었으며, 자묘 수, 생체중과 건물중에 영향을 미쳤다. RTA 135° 또는 180°에서 두 품종 모두 자묘의 평균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작았으며, ‘설향’ 품종에서는 런너 길이와 절간장이 짧아졌다. RTA가 두 품종 모두에서 런너의 직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런너의 형태에는 영향을 미쳤다. RTA중 135°와 비교해서 180°가 가장 많은 자묘를 생산하여 가장 번식효율이 좋았다.
      번역하기

      딸기는 다년생 초본성 식물로 그 과실은 영양 가치가 높고 인기있는 고부가가치 채소작물이다. 본 연구는 딸기 품종 ‘설향’과 ‘매향’의 런너유인각도(RTA)가 절간장과 런너 발생수에 미...

      딸기는 다년생 초본성 식물로 그 과실은 영양 가치가 높고 인기있는 고부가가치 채소작물이다. 본 연구는 딸기 품종 ‘설향’과 ‘매향’의 런너유인각도(RTA)가 절간장과 런너 발생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자묘의 생산성을 높이고 번식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러너를 0°(상향), 45°, 90°(수평), 135°, 또는 180°(하향)의 각도로 한 달 간 유인하였다. 이 실험은 유리온실에서 주간/야간 온도 29/20°C, 평균 광도 450 μmol m<SUP>-2</SUP>·s<SUP>-1</SUP> PPFD의 자연광 환경에서 수행하였으며, 1일 광주기는 12시간이었다. ‘설향’과 ‘매향’에 있어서 RTA는 런너 수와 절간장에 영향을 주었으며, 자묘 수, 생체중과 건물중에 영향을 미쳤다. RTA 135° 또는 180°에서 두 품종 모두 자묘의 평균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작았으며, ‘설향’ 품종에서는 런너 길이와 절간장이 짧아졌다. RTA가 두 품종 모두에서 런너의 직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런너의 형태에는 영향을 미쳤다. RTA중 135°와 비교해서 180°가 가장 많은 자묘를 생산하여 가장 번식효율이 좋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a herbaceous perennial crop, is a popular fruit crop with high economical and nutritive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unner training angle (RTA) on the length of internodes and number of runners produced in strawberry ‘Seolhyang’ and ‘Maehyang’ in an attempt to achieve a higher production rate of runner plants and increase the propagation efficiency. Runners were trained for 30 days to grow at an angle of 0° (vertically upward), 45°, 90° (horizontal), 135°, or 180° (hanging down) from the upward vertical axi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glasshouse with 29/20°C day/night temperatures, an average light intensity of 450 μmol·m<SUP>-2</SUP>··s<SUP>-1</SUP> PPFD coming from the sun, and a natural photoperiod of 12 hours. For both ‘Seolhyang’ and ‘Maehyang’, the RTA affected number and length of runners, and number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runner plants. Training at an angle of 135° or 180° shortened length of runners and internodes in ‘Seolhyang’. These RTAs also produced runner plants with the lowest fresh and dry weights in both cultivars. The RTA did not affect the runner diameter, but affected the runner morphology in both cultivars. As compared to a RTA of 135°, a 180° RTA increased number of runner plants produced, making it the most proliferative RTA.
      번역하기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a herbaceous perennial crop, is a popular fruit crop with high economical and nutritive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unner training angle (RTA) on the length of internodes ...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a herbaceous perennial crop, is a popular fruit crop with high economical and nutritive val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unner training angle (RTA) on the length of internodes and number of runners produced in strawberry ‘Seolhyang’ and ‘Maehyang’ in an attempt to achieve a higher production rate of runner plants and increase the propagation efficiency. Runners were trained for 30 days to grow at an angle of 0° (vertically upward), 45°, 90° (horizontal), 135°, or 180° (hanging down) from the upward vertical axi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glasshouse with 29/20°C day/night temperatures, an average light intensity of 450 μmol·m<SUP>-2</SUP>··s<SUP>-1</SUP> PPFD coming from the sun, and a natural photoperiod of 12 hours. For both ‘Seolhyang’ and ‘Maehyang’, the RTA affected number and length of runners, and number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runner plants. Training at an angle of 135° or 180° shortened length of runners and internodes in ‘Seolhyang’. These RTAs also produced runner plants with the lowest fresh and dry weights in both cultivars. The RTA did not affect the runner diameter, but affected the runner morphology in both cultivars. As compared to a RTA of 135°, a 180° RTA increased number of runner plants produced, making it the most proliferative RT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and Discussion
      • Literature Cited
      • Abstract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and Discussion
      • Literature Cited
      • 적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