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100대 기업의 위기 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atus of Crisis Management of Top 100 Korean Companies -by Comparison to the Period of IMF Financial Cri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4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100대 기업(2009년 말 매출액 기준)이 최근 3년간 경험했던 위기 유형, 기업의 중견간부가 예측하는 잠재적 위기, 위기 유형에 따른 위기 대비 정도, 위기 관리매뉴얼의 존재 여부, 위기 관리 단계별 자원 투여 현황, 위기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장애요소는 무엇인지를 실증 분석했다. 또한 1999년 말 매출액기준 국내 100대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했던 유종숙(2002)의 연구와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100대 기업의 위기 관리 상황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한국 100대 기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했던 위기 유형은 정보 관련 위기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회사의 이미지 손상, 회사에 대한 악성 유언비어 발생, 회사의 정보유출 등이었다. 10년 전 IMF 외환 위기 시에는 경제적 위기 유형을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었다. 둘째, 기업이 예측하는 잠재적 위기는 경제적 위기를 가장 많이 들었다. 다음으로 대형사고를 포함한 안전사고, 제품하자 및 고객 관련 위기, 노동쟁의 발생, 조직 구성원의 위기, 정보유출 위기, 기술관련 위기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10년 전에는 예측되지 않았던 이미지와 평판위기, 기업윤리 관련 위기, 자연재해 등을 잠재적 위기로 꼽아 위기의 유형이 더욱 다양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위기 유형별 위기대비 정도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경험했던 위기로 응답된 정보관련 위기 유형에 대한 대비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위기 관리 매뉴얼의 존재유무는 설문에 응답한 94개 기업 중 82개 기업이 위기 관리 매뉴얼이 존재한다고 응답했다. 다섯째, 위기 관리 단계별 자원투여 현황은 10년 전과 마찬가지로 사전관리 단계를 사후 대처 단계보다 더 우선순위에 두고 있었다. 여섯째, 위기 관리 계획 수립 시 장애요소는 부서간의 이기주의, 조직전반의 인식부족을 들고 있었다. 10년 전에는 CEO 의지 및 인식부족을 가장 큰 장애요소로 지적 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100대 기업(2009년 말 매출액 기준)이 최근 3년간 경험했던 위기 유형, 기업의 중견간부가 예측하는 잠재적 위기, 위기 유형에 따른 위기 대비 정도, 위기 관리매뉴얼의 존재 여...

      본 연구는 한국 100대 기업(2009년 말 매출액 기준)이 최근 3년간 경험했던 위기 유형, 기업의 중견간부가 예측하는 잠재적 위기, 위기 유형에 따른 위기 대비 정도, 위기 관리매뉴얼의 존재 여부, 위기 관리 단계별 자원 투여 현황, 위기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장애요소는 무엇인지를 실증 분석했다. 또한 1999년 말 매출액기준 국내 100대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했던 유종숙(2002)의 연구와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100대 기업의 위기 관리 상황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한국 100대 기업에서 가장 많이 경험했던 위기 유형은 정보 관련 위기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회사의 이미지 손상, 회사에 대한 악성 유언비어 발생, 회사의 정보유출 등이었다. 10년 전 IMF 외환 위기 시에는 경제적 위기 유형을 가장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었다. 둘째, 기업이 예측하는 잠재적 위기는 경제적 위기를 가장 많이 들었다. 다음으로 대형사고를 포함한 안전사고, 제품하자 및 고객 관련 위기, 노동쟁의 발생, 조직 구성원의 위기, 정보유출 위기, 기술관련 위기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10년 전에는 예측되지 않았던 이미지와 평판위기, 기업윤리 관련 위기, 자연재해 등을 잠재적 위기로 꼽아 위기의 유형이 더욱 다양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위기 유형별 위기대비 정도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경험했던 위기로 응답된 정보관련 위기 유형에 대한 대비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위기 관리 매뉴얼의 존재유무는 설문에 응답한 94개 기업 중 82개 기업이 위기 관리 매뉴얼이 존재한다고 응답했다. 다섯째, 위기 관리 단계별 자원투여 현황은 10년 전과 마찬가지로 사전관리 단계를 사후 대처 단계보다 더 우선순위에 두고 있었다. 여섯째, 위기 관리 계획 수립 시 장애요소는 부서간의 이기주의, 조직전반의 인식부족을 들고 있었다. 10년 전에는 CEO 의지 및 인식부족을 가장 큰 장애요소로 지적 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eads statistical results through the survey of top 100 Korean companies about the status of crisis management. And this paper also studies the changes of the crisis management status in comparison with Yoo(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crisis was the information related; such as the damage of the company image, vicious rumor and information drain.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crisis was the most frequent in Yoo(2002). 2. The economic crisis was ranked the highest in the potential crisis. The next are in the following order; safety accident, defective products and customer related crisis, labor dispute, organization members related, information drain, and technology related crisis. The damage of the company image, company business ethics related and natural disaster were newly answered as the potential crisis in this survey. 3. The crisis preparedness for the information related crisis was relatively low even though the information related crisis was ranked the most frequent crisis. 4. 82 companies of 94 companies responded to the survey have the crisis management manual. This ratio has been greatly improved than Yoo(2001). 5. With regards to the resource plan to crisis management phase companies put more priority to the preventive phase as Yoo(2002). 6. The obstacles for preparing the crisis management plan were selfishness among departments and their ignorance. In Yoo(2002) the unwillingness and ignorance of CEO were answered as the largest obstacle.
      번역하기

      This study leads statistical results through the survey of top 100 Korean companies about the status of crisis management. And this paper also studies the changes of the crisis management status in comparison with Yoo(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

      This study leads statistical results through the survey of top 100 Korean companies about the status of crisis management. And this paper also studies the changes of the crisis management status in comparison with Yoo(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frequent crisis was the information related; such as the damage of the company image, vicious rumor and information drain. On the other hand the economic crisis was the most frequent in Yoo(2002). 2. The economic crisis was ranked the highest in the potential crisis. The next are in the following order; safety accident, defective products and customer related crisis, labor dispute, organization members related, information drain, and technology related crisis. The damage of the company image, company business ethics related and natural disaster were newly answered as the potential crisis in this survey. 3. The crisis preparedness for the information related crisis was relatively low even though the information related crisis was ranked the most frequent crisis. 4. 82 companies of 94 companies responded to the survey have the crisis management manual. This ratio has been greatly improved than Yoo(2001). 5. With regards to the resource plan to crisis management phase companies put more priority to the preventive phase as Yoo(2002). 6. The obstacles for preparing the crisis management plan were selfishness among departments and their ignorance. In Yoo(2002) the unwillingness and ignorance of CEO were answered as the largest obstac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