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중.일 의장문화 비교연구 -궁궐건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4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among those in the neighbori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notably Korea, China and Japan.
      The basic assumption underlying this study is that these northeastern Asian states have been developed a unique inter-cultural ties over long periods of time in history, culminating in their respective design cultures. Moreover, there are the similarities as well as dissimilarities more conspicuous than the traditional palaces since the traditional palace is the intensive space of the design elements and in better preservation than any other building. Undoubtly the ultimate goal to be pursued, by so doing, has to be inquiry into the identical prototype of Korean design element.

      It takes three steps to proceed this study. Firstly, it needs to be established the analysis framework from the documents. In second step, the design elements - material, pattern, and color - should be collected and investigat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actual traditional palaces - the Changduckung, the Forbidden City, the Nijo castle -. The third step i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design elements from step two.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s reflected in use of materials. The cultures of East Asia, finely balanced between survival and extinction, sought to tame the natural world. They transformed its raw materials so as to more convenient human life. In this study, the material of the traditional palace is characterized by the actual use.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mainly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s 'naturalism'. That is, the kind of material is differed from the country - marble or granite, nanmu or cypress -, the East Asian countries have similarity and make use of their own native materials.
      The East Asian color palette is rich in symbolic meaning, mostly these color are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human life. In this study, the color of the traditional palace is characterized by the actual color use. The colors of China are various, but they concentration R~G, middle/high level of chroma. In Korea, the colors in palace are distributed in YR/GY, middle/low chroma, relatively higher value. While the major features of Japan color are YR/achromatic with middle/low levels of value and chroma.
      In the West, the pattern is appreciated by an aesthetic level, but the East Asian pattern is a symbolic alphabet deeply rooted in religious and folk beliefs. Patterns are themselves often used as decorative elements, and they also serve as communication methods and talismans to dispel evil influences and attract good fortune. The difference of the respective country comes from the expression style of the pattern : the Chinese express the magnificent pattern with various color, the Korean do the moderate pattern with harmonious color with the nature and the Japanese do the stylized pattern with the material color.

      To sum up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among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is as the following :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mainly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 design are 'naturalism', 'harmonious ideas' and 'confucianism'. But the representation style of the design element is differed from the country. : The typical features of China are symmetry, glassy surface by artificial process, the meandered curve, the magnificent pattern and the contrastable color. In Japan, the mathematical asymmetry, made-up rough surface by artificial skill, decorative pattern with abbreviation and achromatic color are important feature of the design element. While the major features of Korean design element are asymmetrical balance with nature, rough surface by natural process, moderate pattern and harmonious col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among those in the neighbori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notably Korea, China and Japan. The basic assumption underlying this study is that these northeastern Asi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among those in the neighbori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notably Korea, China and Japan.
      The basic assumption underlying this study is that these northeastern Asian states have been developed a unique inter-cultural ties over long periods of time in history, culminating in their respective design cultures. Moreover, there are the similarities as well as dissimilarities more conspicuous than the traditional palaces since the traditional palace is the intensive space of the design elements and in better preservation than any other building. Undoubtly the ultimate goal to be pursued, by so doing, has to be inquiry into the identical prototype of Korean design element.

      It takes three steps to proceed this study. Firstly, it needs to be established the analysis framework from the documents. In second step, the design elements - material, pattern, and color - should be collected and investigat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actual traditional palaces - the Changduckung, the Forbidden City, the Nijo castle -. The third step i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design elements from step two.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is reflected in use of materials. The cultures of East Asia, finely balanced between survival and extinction, sought to tame the natural world. They transformed its raw materials so as to more convenient human life. In this study, the material of the traditional palace is characterized by the actual use.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mainly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s 'naturalism'. That is, the kind of material is differed from the country - marble or granite, nanmu or cypress -, the East Asian countries have similarity and make use of their own native materials.
      The East Asian color palette is rich in symbolic meaning, mostly these color are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human life. In this study, the color of the traditional palace is characterized by the actual color use. The colors of China are various, but they concentration R~G, middle/high level of chroma. In Korea, the colors in palace are distributed in YR/GY, middle/low chroma, relatively higher value. While the major features of Japan color are YR/achromatic with middle/low levels of value and chroma.
      In the West, the pattern is appreciated by an aesthetic level, but the East Asian pattern is a symbolic alphabet deeply rooted in religious and folk beliefs. Patterns are themselves often used as decorative elements, and they also serve as communication methods and talismans to dispel evil influences and attract good fortune. The difference of the respective country comes from the expression style of the pattern : the Chinese express the magnificent pattern with various color, the Korean do the moderate pattern with harmonious color with the nature and the Japanese do the stylized pattern with the material color.

      To sum up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among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is as the following :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mainly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 design are 'naturalism', 'harmonious ideas' and 'confucianism'. But the representation style of the design element is differed from the country. : The typical features of China are symmetry, glassy surface by artificial process, the meandered curve, the magnificent pattern and the contrastable color. In Japan, the mathematical asymmetry, made-up rough surface by artificial skill, decorative pattern with abbreviation and achromatic color are important feature of the design element. While the major features of Korean design element are asymmetrical balance with nature, rough surface by natural process, moderate pattern and harmonious col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새로운 문화 시대의 대두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역할 증대는 한국 문화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인 의장, 특히 색채와 재료, 문양을 중심으로 실제 조사를 통해 유사한 한,중,일 삼국 문화 속에서 공통성과 차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 의장 문화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문헌 조사와 현지 답사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한,중,일 삼국의 사상체계와 민족정신을 파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삼국의 건축 문화의 특성을 파악했다. 현지답사 조사의 대상이 된 한,중,일의 궁궐은 창덕궁, 자금성, 니조성이다.

      한국의 의장 문화 특성은 자연적 가공도가 높고 거친 질감이 많은 재료 특성과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채로 색의 다양하고 미묘한 변화를 즐기며 유사배색을 주로 하는 색채 특성으로 나타난다. 또한 문양에 있어서는 부드럽고 도톰한 선으로 소박한 인간미를 표현하는데 주력하고 있어 삼국 중 문양의 완성도는 가장 떨어지나 생동감은 가장 충만해있다. 한국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자연스러운 느낌의 색채는 풍토와 자연친화사상, 조화론에서 비롯된 것이며 생동감있는 소박함으로 대범성과 해학을 나타내는 한국의 문양은 자연친화 사상과 조화론, 유교 사상 등을 근저로 인본 주의가 특징적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즉, 한국의 의장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움과 부드러움, 소박함 등의 특징은 뿌리 깊은 자연 친화 사상과 조화론, 인본 주의 등의 발현으로 파악된다. 한국에 있어서의 자연 친화 사상은 반드시 인간이 함께 있는 개념으로서 자연 속에 인간의 행위로 이룬 건축 또는 의장을 부여하고 그것을 인간이 자연과 함께 즐길 때에 비로소 온전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의장은 불완전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자연과의 조화를 통하여 완성된다.

      중국의 의장 문화는 재료에 있어서 인위적 가공도가 가장 높으며 매끄럽고 단단한 표면 질감을 즐긴다. 색채에 있어서는 다양하고 화려한 색채와 대비배색을 주로 하며 문양과 장식에서는 사실적 묘사와 양감이 풍부하고 세밀 묘사로 장식적이다. 이러한 의장 특성은 엄격한 좌우대칭과 폐쇄적 공간 구성을 중시한 중국 건축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중화 사상에 의한 영향이 크다. 중국의 화려하고 다양한 색채 사용은 풍토와 중화사상, 조화론, 상대론적 세계관에서 비롯된 것이며 사실적이며 섬세하고 인위적 가공이 많은 문양은 자연친화 사상과 조화론, 유교 사상 등을 근저로 중화사상, 상대론적 세계관 등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중국의 의장에서 나타나는 다양함과 화려함, 세밀함 등은 상대적인 것이 반드시 존재하며 그것이 자연의 이치라고 생각하는 중국인들의 세계관과 구상적이고 과장적 이미지로서 스스로를 뽐내는 듯 표현하는 중화 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일본의 의장 문화는 재료 면에서는 인위적 가공도가 높으며 조성된 거친 질감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고, 색채면에서는 차분하고 안정적이며 유사배색을 즐긴다. 문양과 장식에 있어서는 세련된 생략과 축약을 기본으로 기교와 장식을 더하는 이중적 표현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의장은 건축에 있어서의 비대칭 구성과 수평적 전개를 그 특징적 배경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재료 특성은 한중일의 공통 사상과
      번역하기

      새로운 문화 시대의 대두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역할 증대는 한국 문화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인 의장, 특히 색채와 재료, 문양을 중심으로...

      새로운 문화 시대의 대두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역할 증대는 한국 문화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인 의장, 특히 색채와 재료, 문양을 중심으로 실제 조사를 통해 유사한 한,중,일 삼국 문화 속에서 공통성과 차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한국 의장 문화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문헌 조사와 현지 답사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한,중,일 삼국의 사상체계와 민족정신을 파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삼국의 건축 문화의 특성을 파악했다. 현지답사 조사의 대상이 된 한,중,일의 궁궐은 창덕궁, 자금성, 니조성이다.

      한국의 의장 문화 특성은 자연적 가공도가 높고 거친 질감이 많은 재료 특성과 따뜻하고 부드러운 색채로 색의 다양하고 미묘한 변화를 즐기며 유사배색을 주로 하는 색채 특성으로 나타난다. 또한 문양에 있어서는 부드럽고 도톰한 선으로 소박한 인간미를 표현하는데 주력하고 있어 삼국 중 문양의 완성도는 가장 떨어지나 생동감은 가장 충만해있다. 한국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자연스러운 느낌의 색채는 풍토와 자연친화사상, 조화론에서 비롯된 것이며 생동감있는 소박함으로 대범성과 해학을 나타내는 한국의 문양은 자연친화 사상과 조화론, 유교 사상 등을 근저로 인본 주의가 특징적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즉, 한국의 의장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움과 부드러움, 소박함 등의 특징은 뿌리 깊은 자연 친화 사상과 조화론, 인본 주의 등의 발현으로 파악된다. 한국에 있어서의 자연 친화 사상은 반드시 인간이 함께 있는 개념으로서 자연 속에 인간의 행위로 이룬 건축 또는 의장을 부여하고 그것을 인간이 자연과 함께 즐길 때에 비로소 온전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의장은 불완전한 모습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자연과의 조화를 통하여 완성된다.

      중국의 의장 문화는 재료에 있어서 인위적 가공도가 가장 높으며 매끄럽고 단단한 표면 질감을 즐긴다. 색채에 있어서는 다양하고 화려한 색채와 대비배색을 주로 하며 문양과 장식에서는 사실적 묘사와 양감이 풍부하고 세밀 묘사로 장식적이다. 이러한 의장 특성은 엄격한 좌우대칭과 폐쇄적 공간 구성을 중시한 중국 건축을 그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중화 사상에 의한 영향이 크다. 중국의 화려하고 다양한 색채 사용은 풍토와 중화사상, 조화론, 상대론적 세계관에서 비롯된 것이며 사실적이며 섬세하고 인위적 가공이 많은 문양은 자연친화 사상과 조화론, 유교 사상 등을 근저로 중화사상, 상대론적 세계관 등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중국의 의장에서 나타나는 다양함과 화려함, 세밀함 등은 상대적인 것이 반드시 존재하며 그것이 자연의 이치라고 생각하는 중국인들의 세계관과 구상적이고 과장적 이미지로서 스스로를 뽐내는 듯 표현하는 중화 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일본의 의장 문화는 재료 면에서는 인위적 가공도가 높으며 조성된 거친 질감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고, 색채면에서는 차분하고 안정적이며 유사배색을 즐긴다. 문양과 장식에 있어서는 세련된 생략과 축약을 기본으로 기교와 장식을 더하는 이중적 표현을 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의 의장은 건축에 있어서의 비대칭 구성과 수평적 전개를 그 특징적 배경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재료 특성은 한중일의 공통 사상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