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인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5
2 전은주, "화법교육 변천사" 한국어교육학회 (119) : 229-266, 2006
3 김정훈, "화법 교육과정의 분석과 평가" 부산대학교 2000
4 정수진, "화법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동아대학교 2008
5 노명완, "한국어 교육 자료의 체제 분석: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 : 1998
6 신현재,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 박이정 2001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2007
8 박정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단원 연구-형태론과 통사론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영선, "중등학교 문법 학습 내용의 연계성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27) : 149-179, 2010
10 박은경, "제7차 중, 고등학교 국어 지식 교육의 연계성 연구" 동아대학교
1 이인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5
2 전은주, "화법교육 변천사" 한국어교육학회 (119) : 229-266, 2006
3 김정훈, "화법 교육과정의 분석과 평가" 부산대학교 2000
4 정수진, "화법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동아대학교 2008
5 노명완, "한국어 교육 자료의 체제 분석: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 : 1998
6 신현재,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 박이정 2001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2007
8 박정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단원 연구-형태론과 통사론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영선, "중등학교 문법 학습 내용의 연계성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27) : 149-179, 2010
10 박은경, "제7차 중, 고등학교 국어 지식 교육의 연계성 연구" 동아대학교
11 이문규, "소통 능력 신장에 중점을 둔 말하기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9) : 297-324, 2006
12 손영애, "새로운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몇 가지 소론" 한국어교육학회 (122) : 117-144, 2007
13 류성기,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 in: 말하기 듣기 수업 방법" 박이정 2000
14 전은주, "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1999
15 이화영,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중학생 화법 지도 연구" 동아대학교 2005
16 서혁, "말하기 교육 및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말하기 듣기 수업 방법" 박이정 2000
17 이도영, "말하기 교육 내용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0) : 225-248, 2006
18 송현정,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1) : 2-2, 2006
19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8) : 3-126, 2002
20 최현섭, "국어 교육학 개론" 삼지원 2002
21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Ⅱ" 2007
22 김대행, "國語敎育의 位階化" 국어교육연구소 (19) : 7-44, 2007
23 김종철, "7차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소 (19) : 141-240, 2007
24 이창근,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3) : 185-202, 2008
25 교육과학기술부, "1-1, 1-2, 2-1, 2-2, 3-1, 3-2. in: 생활국어"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