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학교 말하기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s System of the Speaking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04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speaking is a complex intellectual faculty which a speaker and listener performs to exchange information. For such reason, the achievement of the speaking faculty belongs to a basic target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see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system of the speaking educational contents in the revised (2007)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rom an connectivity point of view. Through this analysis, I knew that the horizontal connectivity of non-graded educational contents wasn`t revealed in its concretely. But the vertical connectivity of graded educational contents was revealed in its properly. If We can allow for the connectiv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is paper proposed, I think new, systematic textbooks come on in future.
      번역하기

      The speaking is a complex intellectual faculty which a speaker and listener performs to exchange information. For such reason, the achievement of the speaking faculty belongs to a basic target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seek. The p...

      The speaking is a complex intellectual faculty which a speaker and listener performs to exchange information. For such reason, the achievement of the speaking faculty belongs to a basic target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see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system of the speaking educational contents in the revised (2007)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rom an connectivity point of view. Through this analysis, I knew that the horizontal connectivity of non-graded educational contents wasn`t revealed in its concretely. But the vertical connectivity of graded educational contents was revealed in its properly. If We can allow for the connectiv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is paper proposed, I think new, systematic textbooks come on in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5

      2 전은주, "화법교육 변천사" 한국어교육학회 (119) : 229-266, 2006

      3 김정훈, "화법 교육과정의 분석과 평가" 부산대학교 2000

      4 정수진, "화법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동아대학교 2008

      5 노명완, "한국어 교육 자료의 체제 분석: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 : 1998

      6 신현재,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 박이정 2001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2007

      8 박정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단원 연구-형태론과 통사론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영선, "중등학교 문법 학습 내용의 연계성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27) : 149-179, 2010

      10 박은경, "제7차 중, 고등학교 국어 지식 교육의 연계성 연구" 동아대학교

      1 이인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2005

      2 전은주, "화법교육 변천사" 한국어교육학회 (119) : 229-266, 2006

      3 김정훈, "화법 교육과정의 분석과 평가" 부산대학교 2000

      4 정수진, "화법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동아대학교 2008

      5 노명완, "한국어 교육 자료의 체제 분석: 단원 구성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 : 1998

      6 신현재, "학습자 중심의 국어과 수업 방안" 박이정 2001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2007

      8 박정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국어 지식 단원 연구-형태론과 통사론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김영선, "중등학교 문법 학습 내용의 연계성 연구 -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27) : 149-179, 2010

      10 박은경, "제7차 중, 고등학교 국어 지식 교육의 연계성 연구" 동아대학교

      11 이문규, "소통 능력 신장에 중점을 둔 말하기 교육 내용 선정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19) : 297-324, 2006

      12 손영애, "새로운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몇 가지 소론" 한국어교육학회 (122) : 117-144, 2007

      13 류성기,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 in: 말하기 듣기 수업 방법" 박이정 2000

      14 전은주, "말하기 듣기 교육론" 박이정 1999

      15 이화영,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중학생 화법 지도 연구" 동아대학교 2005

      16 서혁, "말하기 교육 및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말하기 듣기 수업 방법" 박이정 2000

      17 이도영, "말하기 교육 내용의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0) : 225-248, 2006

      18 송현정, "국어과 교육내용 적정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1) : 2-2, 2006

      19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08) : 3-126, 2002

      20 최현섭, "국어 교육학 개론" 삼지원 2002

      21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Ⅱ" 2007

      22 김대행, "國語敎育의 位階化" 국어교육연구소 (19) : 7-44, 2007

      23 김종철, "7차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소 (19) : 141-240, 2007

      24 이창근,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3) : 185-202, 2008

      25 교육과학기술부, "1-1, 1-2, 2-1, 2-2, 3-1, 3-2. in: 생활국어"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