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극권 국가의 석유・가스자원 개발현황 및 개발전략에 관한 고찰 = Investigation on the Development Status and Strategies about Oil and Gas of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Arct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5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ssia, USA, Denmark, Norway, and Canada are Arctic neighboring countries which ar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Arctic oil and gas. Especially, Russia has the largest Arctic Exploration and Production (E&P) market, and its Arctic shelf holds large oil and gas potential. The other countries also make efforts to develop oil and gas in the Arctic circle, improving a policy and system, bidding an oil and gas field, and accelerating E&P activities. As of 2011, South Korea depends on oil imports by 100% as the 5th oil importing country and 10th oil consumer in the world. There is until considerable uncertainty about future energy supplies. One of the methods to overcome this situation is to participate in polar E&P.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E&P strategies of each country is presen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oil and gas development in the Arctic Circle is investigated. It will be utilized in establishing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Arctic region.
      번역하기

      Russia, USA, Denmark, Norway, and Canada are Arctic neighboring countries which ar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Arctic oil and gas. Especially, Russia has the largest Arctic Exploration and Production (E&P) market, and its Arctic shelf holds large o...

      Russia, USA, Denmark, Norway, and Canada are Arctic neighboring countries which are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Arctic oil and gas. Especially, Russia has the largest Arctic Exploration and Production (E&P) market, and its Arctic shelf holds large oil and gas potential. The other countries also make efforts to develop oil and gas in the Arctic circle, improving a policy and system, bidding an oil and gas field, and accelerating E&P activities. As of 2011, South Korea depends on oil imports by 100% as the 5th oil importing country and 10th oil consumer in the world. There is until considerable uncertainty about future energy supplies. One of the methods to overcome this situation is to participate in polar E&P. In this paper, an analysis of E&P strategies of each country is presen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oil and gas development in the Arctic Circle is investigated. It will be utilized in establishing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Arctic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극권 주요 석유‧가스자원 개발국으로는 러시아,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 캐나다 등이 있으며, 모두 북극권 내에 자국의 육상 및 해상 영토를 가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북극 석유 ‧ 가스자원은 상당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 북극 주변국 중에서 가장 활발한 자원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 밖에 러시아를 제외한 기타국가에서도 정책 및 제도적 개선, 광구 입찰 등 각종 활동을 통해 북극권 자원개발에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기준 세계 5위의 석유수입국이며 10위의 소비국으로 석유 수입 의존도가 100%에 이른다. 따라서 국가적 미래 에너지 공급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북극 석유‧가스자원과 같은 극지 석유 개발사업 참여를 통한 에너지자원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극 석유·가스자원 확보를 위한 전략방안에 활용하기 위하여 북극권 환경의 특성 및 북극권에 부존하고 있는 석유·가스자원의 개발현황을 조사하고 러시아, 미국을 비롯한 주변 연안국들의 자원개발전략을 분석함으로써 북극권 개발전략에 관해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북극권 주요 석유‧가스자원 개발국으로는 러시아,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 캐나다 등이 있으며, 모두 북극권 내에 자국의 육상 및 해상 영토를 가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북극 석유 ‧ 가...

      북극권 주요 석유‧가스자원 개발국으로는 러시아,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 캐나다 등이 있으며, 모두 북극권 내에 자국의 육상 및 해상 영토를 가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의 북극 석유 ‧ 가스자원은 상당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 북극 주변국 중에서 가장 활발한 자원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 밖에 러시아를 제외한 기타국가에서도 정책 및 제도적 개선, 광구 입찰 등 각종 활동을 통해 북극권 자원개발에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기준 세계 5위의 석유수입국이며 10위의 소비국으로 석유 수입 의존도가 100%에 이른다. 따라서 국가적 미래 에너지 공급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북극 석유‧가스자원과 같은 극지 석유 개발사업 참여를 통한 에너지자원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극 석유·가스자원 확보를 위한 전략방안에 활용하기 위하여 북극권 환경의 특성 및 북극권에 부존하고 있는 석유·가스자원의 개발현황을 조사하고 러시아, 미국을 비롯한 주변 연안국들의 자원개발전략을 분석함으로써 북극권 개발전략에 관해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재홍, "북극 바렌츠 해 지역의 석유지질" 한국자원공학회 48 (48): 499-523, 2011

      2 고재홍, "러시아 티만-페초라 분지의 석유지질" 한국자원공학회 44 (44): 342-356, 2007

      3 "e-National Indicators"

      4 Farrow, K., "What does the National Ocean Policy Mean for the Arctic region?, US Arctic Research Commission. François, Côté and Robert, Dufresne" 1-6, 2011

      5 "United Nations"

      6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7 Research Department of Statistics Norway, "The Economy of the North 2008"

      8 Frédéric Beauregard-Tellier, "The Arctic: Hydrocarbon Resources"

      9 Yang, H. C., "The Arctic 82 of UNCLOS on the Exploration of the Continental Shelf beyound 200 nautical miles and its legal issues" 13 (13): 32-47, 2009

      10 Stoupakova, A. V., "Structure and Hydrocarbon Prospects of the Russian Western Arctic Shelf" 3-4, 2012

      1 고재홍, "북극 바렌츠 해 지역의 석유지질" 한국자원공학회 48 (48): 499-523, 2011

      2 고재홍, "러시아 티만-페초라 분지의 석유지질" 한국자원공학회 44 (44): 342-356, 2007

      3 "e-National Indicators"

      4 Farrow, K., "What does the National Ocean Policy Mean for the Arctic region?, US Arctic Research Commission. François, Côté and Robert, Dufresne" 1-6, 2011

      5 "United Nations"

      6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7 Research Department of Statistics Norway, "The Economy of the North 2008"

      8 Frédéric Beauregard-Tellier, "The Arctic: Hydrocarbon Resources"

      9 Yang, H. C., "The Arctic 82 of UNCLOS on the Exploration of the Continental Shelf beyound 200 nautical miles and its legal issues" 13 (13): 32-47, 2009

      10 Stoupakova, A. V., "Structure and Hydrocarbon Prospects of the Russian Western Arctic Shelf" 3-4, 2012

      11 Lee, S. W., "Shipping & Port Condition Changes and Throughput Prospects With Opening of the Northern Sea Route" Korea Maritime Institute 27-32, 2011

      1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Progress and Effects of the Gulf of Mexico Oil Spill" 4-5, 2010

      13 Rabinowitz, P. D., "Ocean Drilling Program Results From Tenth Year of Drilling Operations" 4-14, 1995

      14 "Norwegian Petroleum Directorate"

      15 Aboriginal Affairs and Northern Development Canada, "Northern Oil and Gas Annual Report 2011" 7-24, 2011

      16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17 Keinonen, A. J., "Management for Floating Ice Offshore Operations" 4-7, 2008

      18 Martin, J., "Lomonosov Ridge off Greenland 2007"

      19 "Korea Energy Statistics Information System"

      20 Kingdom of Denmark, "Kingdom of Denmark Strategy for the Arctic 2011-2020"

      21 Ryu, J. C., "Investigation of Influence on the Changes of Russia’s Energy Policy and Energ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due to Changes in the World Energy Markets"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42-44, 2009

      22 Martin, D., "Greenland - The New Arctic Hot Spot?"

      23 Benny, P., "Geomagnetic Referencing in the Arctic Environment" 2-6, 2011

      24 Requejo, A.G., "Geochemistry of Oils From the Northern Timan- PechoraBasin, Russia" 23 (23): 1-3, 1994

      25 Söderbergh, B., "European Energy Security: An Analysis of Future Russian Natural Gas Production and Exports" 38 (38): 2-8, 2010

      26 Read, T.,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e Arctic" 5 (5): 14-22, 1993

      27 The Danish Government, "Energy Strategy 2050"

      28 Kuo, C.S, "Denmark, The Faroe Lslands, and Greenland, U.S. Geological Survey Minerals Yearbook" 1-6, 2010

      29 Bird, K. J., "Circum- Arctic Resource Appraisal: Estimates of Undiscovered Oil and Gas North of the Arctic Circle" U.S. Geological Survey 1-4, 2008

      30 National Ocean Council, "Changing Conditions in the Arctic"

      31 Clark P., "Cathodic Protection Design Considerations for Offshore Structures in the Arctic Environment" 2-5, 2011

      32 Government of Canada, "Canada’s Northern Strategy our North, Our Heritage, Our Future"

      33 "Cairn Energy"

      34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arents 2020 - A tool for a forward-looking High North policy" Norweg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3-42, 2006

      35 Schenk, C. J., "Assessment of Undiscovered Oil and Gas Resources of the West Greenland-East Canada Province" U.S. Geological Survey 1-2, 2008

      36 U.S. Geological Survey, "Arctic National Wildlife Refuge, 1002 Area, Petroleum Assessment, 1998, Including Economic Analysis"

      37 Recinos, K. E., "A Summary of Environmental Strategies of the Arctic N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