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토정 이지함의 행정철학과 공직윤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5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거대화는 행정국가 시대를 가져왔다. 그러나 행정력의 강화는 행정체계의 발전만을 가져왔을 뿐, 그에 따른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반성적 체계는 그 속도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행정철학은 이렇게 변질된 행정에 철학적,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본 논문은 한국적 행정철학의 개념정립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16세기 조선사회를 살아간 토정 이지함의 삶과 철학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토정은 신분과 계급이 뚜렷한 사회의 명문가 출신으로 편안한 삶이 보장되었지만 이를 거부하고 평생 검소한 삶을 살았다. 특히 그는 행정가로서 자신이 가진 권리나 이에 따른 권위를 내세우기보다는 백성에 대한 의무감으로 이름 높았다. 토정은 애민, 민본, 혁신, 개혁으로 정리되는 자신의 행정철학을 확립하였다. 토정이 보인 공직자로서의 검소함과 인간에 대한 겸손함은 시대를 뛰어넘어 현대 공직윤리의 핵심이라 하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번역하기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거대화는 행정국가 시대를 가져왔다. 그러나 행정력의 강화는 행정체계의 발전만을 가져왔을 뿐, 그에 따른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반성적 체계는 그 속도를 따르지 못...

      사회의 급속한 발전과 거대화는 행정국가 시대를 가져왔다. 그러나 행정력의 강화는 행정체계의 발전만을 가져왔을 뿐, 그에 따른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반성적 체계는 그 속도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행정철학은 이렇게 변질된 행정에 철학적, 윤리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본 논문은 한국적 행정철학의 개념정립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16세기 조선사회를 살아간 토정 이지함의 삶과 철학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토정은 신분과 계급이 뚜렷한 사회의 명문가 출신으로 편안한 삶이 보장되었지만 이를 거부하고 평생 검소한 삶을 살았다. 특히 그는 행정가로서 자신이 가진 권리나 이에 따른 권위를 내세우기보다는 백성에 대한 의무감으로 이름 높았다. 토정은 애민, 민본, 혁신, 개혁으로 정리되는 자신의 행정철학을 확립하였다. 토정이 보인 공직자로서의 검소함과 인간에 대한 겸손함은 시대를 뛰어넘어 현대 공직윤리의 핵심이라 하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Ⅰ. 서 론
      • Ⅱ.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 Ⅲ. 연구의 배경
      • Ⅳ. 토정의 행정철학
      • 요 약
      • Ⅰ. 서 론
      • Ⅱ.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 Ⅲ. 연구의 배경
      • Ⅳ. 토정의 행정철학
      • Ⅴ.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항규,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1994

      2 김영종, "행정철학신론" 형설출판사 2008

      3 임의영,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2006

      4 장동희, "한국행정철학의 정립방향"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1990

      5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다운샘 2002

      6 구재현, "진보적 士林派의 政治哲學과 그 현대적 意義" 대진대학교 2010

      7 신병주, "조선중기 處士型 士林의 學風 硏究 : 남명학파와 화담학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9

      8 이존희, "조선전기의 군현제" 한국행정사학회 1992

      9 이병휴,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 일조각 1999

      10 김운태, "조선왕조 관료의 관계와 관직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1995

      1 김항규,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1994

      2 김영종, "행정철학신론" 형설출판사 2008

      3 임의영,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2006

      4 장동희, "한국행정철학의 정립방향"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1990

      5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다운샘 2002

      6 구재현, "진보적 士林派의 政治哲學과 그 현대적 意義" 대진대학교 2010

      7 신병주, "조선중기 處士型 士林의 學風 硏究 : 남명학파와 화담학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9

      8 이존희, "조선전기의 군현제" 한국행정사학회 1992

      9 이병휴, "조선전기 사림파의 현실인식과 대응" 일조각 1999

      10 김운태, "조선왕조 관료의 관계와 관직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1995

      11 백철현, "조선시대의 사회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1995

      12 최연식, "조선시대 사림의 정치참여와 향촌자치의 이념"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7 (27): 5-34, 2005

      13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 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1997

      14 장소비, "이퇴계의 애민사상" 퇴계학연구원 1996

      15 조민자, "이지함의 ‘애민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6

      16 유승학, "율곡의 경세사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2

      17 김성우, "선조대 사림파의 정국 장악과 개혁노선의 충돌선조 8년(1575) 동서 분당의사회경제적 배경과 관련하여" 한국사연구회 (132) : 33-74, 2006

      18 김석근, "민본주의를 넘어서" 청계 2000

      19 안병주, "민본유교의 철학적 지향과 그 현실적 한계" 정신문화연구원 1990

      20 김권집, "권근의 행정개혁사상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22) : 61-86, 2008

      21 김 택, "공직윤리와 청백리사상" 한국학술정보 2007

      22 김옥근, "韓國土地制度史硏究" 대왕사 1980

      23 "石潭日記"

      24 김옥근, "朝鮮王朝財政史硏究" 일조각 1984

      25 "朝鮮王朝實錄"

      26 권인호, "朝鮮中期 士林派의 社會政治思想" 한길사 1995

      27 송종복, "昌寧 縣監의 交遞와 재임에 관한 일고찰" 한국문명학회 2006

      28 윤대현, "土亭의 社會改革思想 硏究" 동국대학교 1992

      29 "土亭集"

      30 "土亭遺稿"

      31 황광욱, "土亭 李之?의 人間觀과 道德的 經濟論에 관한 小考" 한국철학사연구회 (19) : 205-248, 2006

      32 권인호, "土亭 이지함의 출처의리와 실학사상 연구" 한중철학회 1998

      33 최운식, "土亭 이지함 설화연구" 한국민속학회 2001

      34 신병주, "土亭 李之菡의 學風과 사회경제사상"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6

      35 이륜규, "土亭 李之菡의 商業觀에 관한 硏究" 한국전통상학학회 2000

      36 신병주, "16세기초 處士型 學者의 學風과 現實觀" 남명학연구원 1997

      37 설석규, "16세기 處士型 士林의 性理學 理解와 出處觀" 남명학연구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