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업멘토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창업가 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 A Study on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Mentoring on Business Performance : Testing of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ship Capailit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부 및 민간의 창업지원 멘토링을 1회 이상을 경험한 업체를 표본 대상으로 한 창업멘토링이 창업가 역량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5개를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창업멘토링의 경력(능력) 개발 기능 및 심리사회적 기능과 역할모델 기능 모두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창업가 역량이 매개변수로서 유의미한 영향은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정부 및 민간 멘토링 제도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창업 초기의 멘토링도 필요하지만 창업가가 경영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런 창업멘토링 제도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에 관해 향후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부 및 민간의 창업지원 멘토링을 1회 이상을 경험한 업체를 표본 대상으로 한 창업멘토링이 창업가 역량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5개를 표본으로 실...

      본 연구는 정부 및 민간의 창업지원 멘토링을 1회 이상을 경험한 업체를 표본 대상으로 한 창업멘토링이 창업가 역량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5개를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창업멘토링의 경력(능력) 개발 기능 및 심리사회적 기능과 역할모델 기능 모두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창업가 역량이 매개변수로서 유의미한 영향은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정부 및 민간 멘토링 제도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창업 초기의 멘토링도 필요하지만 창업가가 경영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런 창업멘토링 제도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에 관해 향후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the performance of entrepreneurship by analyzing 105 entrepreneurial mentoring case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areer development ability,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with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entrepreneurial capac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s a parame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 that can receive continuous mentoring while the entrepreneur is in charge of management, even though mentoring is needed at the beginning of the company as a wa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omestic government and private mentoring system.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on how to effectively utilize such entrepreneurial mentoring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the performance of entrepreneurship by analyzing 105 entrepreneurial mentoring case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areer development ability, psychosocial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the performance of entrepreneurship by analyzing 105 entrepreneurial mentoring case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career development ability, psychosocial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with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entrepreneurial capac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s a parame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 that can receive continuous mentoring while the entrepreneur is in charge of management, even though mentoring is needed at the beginning of the company as a wa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omestic government and private mentoring system.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on how to effectively utilize such entrepreneurial mentoring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모형 설계 및 가설 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연구모형 설계 및 가설 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