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입암 민제인의 도학과 사상적 함의 = Ibam Min Jein’s Moral Philosophy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0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moral philosophy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of Ibam Min jein.
      Ibam was a “Confucian scholar bureaucrat” who lived as a high-quality bureaucrat in the period of the upheaval period along with his lifelong academic activities. He showed moral philosophy and Confucian spirit of moderation in Korean intelligence history.
      The basic position of Ibam moral philosophy was based on xianqinruxue 先秦儒學(pre-Qin Confucianism), and he made a meaningful argument with the spirit of Jizi 箕子’s supreme fairness and impartiality and the spirit of Confucius’s humanity, putting the hongfan 洪範 of shujing 書經 at the core of zhidao 治道(governing principles). In addition, he made psychology a priority and recommended weijizhixue 爲己之學(study to cultivate one’s personality), and emphasized that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wo letters of bienveillance and frugality in a way that boosts morale and cultivates and reflects. In particular, he thought that inner self-discipline and practice were more important than theoretically exploring Neo-Confucianism, focusing on pre-Qin Confucianism such as zhongyong 中庸, daxue 大學, lunyu 論語, and mengzi 孟子.
      The character and moral philosophy spirit of Ibam, in which the mind and spirit were harmonized, were sublimated into human life. In other words, starting from filial piety toward parents, it developed into friendship for children and salvation for the tribe, and further expanded to save people and benefit all things, and has a character that is united with the truthless practicality of the universe. His humanitarian character and learning viewed the people as the subject of political ac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Benevolent government of Confucianism appeared as a politics that “pleases and cares about with the people.” Considering the respect and memory for Jo Gwangjo of Ibam, the denial of the disloyal subject with power, the claim of punishment and the raising of political arguments as a cause, the upright loyalty and Confucian spirit based on his moral philosophy are well revealed.
      As such,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Ibam’s moral philosophy and learning and virtue still deserve to be highly valued today.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study on moral philosophy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of Ibam Min jein. Ibam was a “Confucian scholar bureaucrat” who lived as a high-quality bureaucrat in the period of the upheaval period along with his lifelong academic activi...

      This thesis is a study on moral philosophy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of Ibam Min jein.
      Ibam was a “Confucian scholar bureaucrat” who lived as a high-quality bureaucrat in the period of the upheaval period along with his lifelong academic activities. He showed moral philosophy and Confucian spirit of moderation in Korean intelligence history.
      The basic position of Ibam moral philosophy was based on xianqinruxue 先秦儒學(pre-Qin Confucianism), and he made a meaningful argument with the spirit of Jizi 箕子’s supreme fairness and impartiality and the spirit of Confucius’s humanity, putting the hongfan 洪範 of shujing 書經 at the core of zhidao 治道(governing principles). In addition, he made psychology a priority and recommended weijizhixue 爲己之學(study to cultivate one’s personality), and emphasized that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wo letters of bienveillance and frugality in a way that boosts morale and cultivates and reflects. In particular, he thought that inner self-discipline and practice were more important than theoretically exploring Neo-Confucianism, focusing on pre-Qin Confucianism such as zhongyong 中庸, daxue 大學, lunyu 論語, and mengzi 孟子.
      The character and moral philosophy spirit of Ibam, in which the mind and spirit were harmonized, were sublimated into human life. In other words, starting from filial piety toward parents, it developed into friendship for children and salvation for the tribe, and further expanded to save people and benefit all things, and has a character that is united with the truthless practicality of the universe. His humanitarian character and learning viewed the people as the subject of political action, and it can be said that the Benevolent government of Confucianism appeared as a politics that “pleases and cares about with the people.” Considering the respect and memory for Jo Gwangjo of Ibam, the denial of the disloyal subject with power, the claim of punishment and the raising of political arguments as a cause, the upright loyalty and Confucian spirit based on his moral philosophy are well revealed.
      As such,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Ibam’s moral philosophy and learning and virtue still deserve to be highly valued to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입암 민제인의 도학과 사상적 함의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입암은 일생에 걸친 학문 활동과 함께 격변기 사화시대 고급 관료의 생활을 했던 ‘유학자 관료’였다. 그는 한국지성사에서 중용의 도학과 사림정신을 보여주었다.
      입암 도학의 기본입장은 선진유학을 본령으로 하였는데, 서경의 홍범을 치도(治道) 의 핵심에 두고 기자의 지공무사의 정신과, 진충(盡忠)하고 지공(至公)함을 공자의 인의정신으로 의미있는 주장을 하였다.
      또한 입암은 학문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심학을 급선무로 삼고 위기지학을 권장하였다. 그는 인심 안정과 사기(士氣) 배양을 중요시하고, 수양하고 반성하는 방법으로 인· 검 두 글자를 근본 삼아 나라의 기틀을 잡을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중용·대학 ·논어·맹자 등 선진성학을 중심으로 하여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기보다는내면적 자기 수양과 실천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마음과 의양이 조화된 입암의 성품과 도학정신은 인륜적 삶으로 승화되어 나타났다.
      즉 부모에 대한 효성으로부터 출발하여 아우에 대한 우애, 족인에 대한 구원으로 전개되었으며, 나아가 사람을 구원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는 데로 확충되어, 우주의 진실무망한 실리에 합일되는 성격을 띠고 있다. 그의 인도주의적 성품과 학행이 백성을 정치적 행위의 주체로 보았으며 ‘백성과 함께 더불어 즐거워하고 근심하는’ 유학의 왕도정치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입암의 조광조에 대한 존경과 추모, 기묘 제현에 대한 존모, 권간(權奸)들의 부정함에처벌 주장과 대의로서 정론 제기 등 사실을 볼 때 그의 도학에 기초한 강직한 의리와사림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이와 같이 입암의 도학과 학행이 함유한 사상적 함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이 평가되어야 마땅한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입암 민제인의 도학과 사상적 함의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입암은 일생에 걸친 학문 활동과 함께 격변기 사화시대 고급 관료의 생활을 했던 ‘유학자 관료’였다. 그는 한국지...

      이 논문은 입암 민제인의 도학과 사상적 함의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입암은 일생에 걸친 학문 활동과 함께 격변기 사화시대 고급 관료의 생활을 했던 ‘유학자 관료’였다. 그는 한국지성사에서 중용의 도학과 사림정신을 보여주었다.
      입암 도학의 기본입장은 선진유학을 본령으로 하였는데, 서경의 홍범을 치도(治道) 의 핵심에 두고 기자의 지공무사의 정신과, 진충(盡忠)하고 지공(至公)함을 공자의 인의정신으로 의미있는 주장을 하였다.
      또한 입암은 학문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심학을 급선무로 삼고 위기지학을 권장하였다. 그는 인심 안정과 사기(士氣) 배양을 중요시하고, 수양하고 반성하는 방법으로 인· 검 두 글자를 근본 삼아 나라의 기틀을 잡을 것을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중용·대학 ·논어·맹자 등 선진성학을 중심으로 하여 성리학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기보다는내면적 자기 수양과 실천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마음과 의양이 조화된 입암의 성품과 도학정신은 인륜적 삶으로 승화되어 나타났다.
      즉 부모에 대한 효성으로부터 출발하여 아우에 대한 우애, 족인에 대한 구원으로 전개되었으며, 나아가 사람을 구원하고 만물을 이롭게 하는 데로 확충되어, 우주의 진실무망한 실리에 합일되는 성격을 띠고 있다. 그의 인도주의적 성품과 학행이 백성을 정치적 행위의 주체로 보았으며 ‘백성과 함께 더불어 즐거워하고 근심하는’ 유학의 왕도정치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입암의 조광조에 대한 존경과 추모, 기묘 제현에 대한 존모, 권간(權奸)들의 부정함에처벌 주장과 대의로서 정론 제기 등 사실을 볼 때 그의 도학에 기초한 강직한 의리와사림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이와 같이 입암의 도학과 학행이 함유한 사상적 함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이 평가되어야 마땅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명진, "立巖 閔齊仁의 삶과 學行에 관한 연구" 한국동양철학회 (29) : 93-116, 2008

      2 성균관, "해동역대 명가필보 상" 경문사 1980

      3 안춘근, "한국서지의 전개과정" 범우사 1994

      4 안춘근, "한국고서평석" 동화출판공사 1986

      5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6 민황기, "입암 민제인의 유물과 유적에 관한 연구" 유학연구소 18 : 241-298, 2008

      7 김문준, "입암 민제인의 생애와 사상" 대전광역시 (10) : 2001

      8 안춘근, "옛책" 대원사 2003

      9 민제인, "새롭게 보는 동몽선습" 한국사교학술원 2008

      10 황의동, "기호유학연구" 서광사 2009

      1 남명진, "立巖 閔齊仁의 삶과 學行에 관한 연구" 한국동양철학회 (29) : 93-116, 2008

      2 성균관, "해동역대 명가필보 상" 경문사 1980

      3 안춘근, "한국서지의 전개과정" 범우사 1994

      4 안춘근, "한국고서평석" 동화출판공사 1986

      5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6 민황기, "입암 민제인의 유물과 유적에 관한 연구" 유학연구소 18 : 241-298, 2008

      7 김문준, "입암 민제인의 생애와 사상" 대전광역시 (10) : 2001

      8 안춘근, "옛책" 대원사 2003

      9 민제인, "새롭게 보는 동몽선습" 한국사교학술원 2008

      10 황의동, "기호유학연구" 서광사 2009

      11 민제인, "국역 입암집" 여강출판사 1989

      12 "論語"

      13 민제인, "童蒙先習"

      14 "孟子"

      15 "中庸"

      16 민황기, "『중용』에 있어서의 성(誠)사상과 천인(天人)관계 연구" 한국동서철학회 (87) : 31-58, 2018

      17 황의동, "『동몽선습』의 저자 민제인과 그 후예들" 한국문중문화유산연구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예술연구소 -> 인문예술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Art -> Humanities and Art Socie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