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통증 감지력 둔화와 압통 역치 = Pain Insensitivity and Pressure Pain Threshold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5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통증자극에 따른 감지력이 저하되어 있는지를 압통역치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만일 통증감지력이 저하되어 있다면 이는 어떠한 정신증상과 관련되는지를 ...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통증자극에 따른 감지력이 저하되어 있는지를 압통역치를 이용하여 알아보고, 만일 통증감지력이 저하되어 있다면 이는 어떠한 정신증상과 관련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정신분열병환자 21명(남자 8명, 여자13명)과 건강대조군 23명(남자 9명, 여자14명)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군에서 양성 및 음성증상을 측정하고, 양군에서 압통측정기를 이용하여 압통역치를 측정하였다. 양군에서 압통역치의 차이를 분석하고, 증상의 호전도에 따른 압통역치의 변화를 보았다.
      결 과:
      정신분열병환자가 정신증상이 심할 때 압통역치는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으며, 증상이 호전되면 압통역치는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정신증상 중에는 망상의 심도가 압통역치의 변화와 관계가 있었으며, 투여된 항정신약물은 압통역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 론:
      정신분열병에서 보이는 통증감지력의 둔화현상은 지속적이라기 보다는 일시적인, 가역적인 뇌기능의 변화에 따른 감각수용 장애나 집중력 저하와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정신분열병에서 통증감지력의 둔화현상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치명적인 신체질환에 따른 위해(危害)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부분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Decreased pain sensitivity to the external stimuli was sought by measuring the pressure pain threshold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the case of the pain insensitivity(PI) being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symptom...

      Objectives: Decreased pain sensitivity to the external stimuli was sought by measuring the pressure pain threshold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the case of the pain insensitivity(PI) being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symptoms and PI was to evaluated.
      Methods: 21 schizophrenic and healthy controls enrolled. Pressure pain thresholds(PPT) were measured by pressure algometer on initial and recovered phase, and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by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Scale)(Stanley et al. 1991) were obtained in patient group. The confounding factor induced by antipsychotics to the PPT was controlled for. Comparisons of PPT between two groups, and correlations of PPT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 group were tested.
      Results:
      1) Schizophrenic patients with active psychotic symptoms showed higher PPT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2) When psychiatric symptoms were improved, PPT was decreased to the level of
      healthy controls.
      3) Only the subscale of delusion in PANS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PP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4) The dose of antipsychotics did not influence the PPT of the patient group.
      Conclusion: A par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revealed they had higher pressure pain thresholds, which suggested PI in active symptom phase. However, PPT were restored almost to the level of normal controls when psychotic symptoms were improved. Thus, PI seemed to be a transient phenomenon rather than a persistent one. Changes of pain sensitivity to the external stimuli in schizophrenics would be associated with severity of delusion based upon reversible changes of brain function. Decreased attention due to delusion or lack of motivation seemed to be causal factors of PI. Clinicians should give attention to PI in schizophrenic patients to prevent physical illness and serious injuries in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서론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방법
      • 국문초록
      • 서론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방법
      • 3. 분석방법
      • 결과
      • 1. 사회 인구학적 특성
      • 2. 환자군의 입원초기와 호전기의 정신증상의 변화
      • 3. 환자군의 증상변화에 따른 압통역치의 변화
      • 4. 환자군과 대조군의 압통역치 비교
      • 5. 환자군에서 압통역치에 대한 약물의 효과
      • 6. 증상의 호전과 압통역치의 변화 상관관계
      •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