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3년에 행해진 연구이나 일반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은 미시적 차원인 특정개인으로부터 거시적 차원인 사회전체에 이르기까지 여러 규모의 차원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73568
2007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560-1570(11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3년에 행해진 연구이나 일반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은 미시적 차원인 특정개인으로부터 거시적 차원인 사회전체에 이르기까지 여러 규모의 차원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
본 연구는 2003년에 행해진 연구이나 일반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은 미시적 차원인 특정개인으로부터 거시적 차원인 사회전체에 이르기까지 여러 규모의 차원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전반적인 활동이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생활양식의 개념으로 여겨지는 점과 다른 선행연구들을 살펴볼 때 일반적으로 10년을 주기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 연구들이 많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결과가 현재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남녀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신체계측,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섭취실태를 비교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남학생 평균 23.7세, 여학생 평균 21.6세였다. 남학생의 경우, 체중은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이 64.1 ㎏으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신장과 체중은 '성취적 가족추구형'군이 평균 160.9 ㎝, 50.7 ㎏으로 '소극적절약외모지향형'군의 평균 162.7 ㎝, 52.7 ㎏과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의 평균 163.1 ㎝, 53.0 ㎏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균형 잡힌 식사 여부에 관한 질문에서 "항상 균형 잡힌 식사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적극적 건강추구형'군이 23.3%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응답율을 보였다. 신용카드로부터 식비 지출금액의 경우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이 월 평균 23.7만원을 사용한데 비해 '비소비 대인관계추구형'군은 월평균 8.5만원을 식비로 지출한다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관련하여 '적극적 건강추구형'군이 다른 군에 비해 운동량은 많은 반면 음주와 흡연은 적게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식의 경우 '소극적절약 외모지향형'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적은 결식율을 보였으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대학생들의 하루 중 3끼 이상 결식하는 경우가 80% 이상으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체중조절을 하는 이유로는 '비소비 대인관계추구형'의 16.2%가 "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반면 '소극적절약 외모지향형'과 '개방적 유행추구형'의 24.8%와 26.3%가 "외모를 위해서"라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체중조절 방법으로는 대부분이 "약물복용", "운동요법", "비만클리닉" 등의 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는 남학생의 경우 '개방적 유행추구형'군이 '적극적 건강추구형'과 '성취적 가족추구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비타민 C의 섭취량을 보였으며 여학생의 경우 '적극적 건강추구형'군이 '성취적 가족추구형'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비타민 B₂, 칼슘 및 철분 섭취량을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라이프스타일에 관계없이 남녀 대학생 모두 에너지와 칼슘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7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철분의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80% 수준으로 매우 낮은 섭취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제발전과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대학생들의 식행동,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실태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라이프스타일의 확립 및 영양밀도가 높은 식품섭취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학교나 지역사회 및 정부차원에서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일단 성립된 바람직하지 않은 라이프스타일은 쉽게 변화하지 않으므로 이론 위주의 영양교육보다는 실제적인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lifestyle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 dietary attitude,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mong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994 nation-wide college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lifestyle in anthropometric measurement, dietary attitude,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mong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994 nation-wide college students (male: 385, female: 609) and divided into 7 clusters (PEAO: passive economy/appearance-oriented type, NCPR: non-consumption/pursuit of relationship type, PTA: pursuit of traditional actuality type, PAT: pursuit of active health type, UO: utility-oriented type, POF: pursuit of open fashion type, PFR: pursuit of family relations type).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via Internet or by mail. The nutrient intake data collected from food record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12.0 program. Average age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23.7 years and 21.6 years, respectively. Most of the college students had poor eating habits. In particular, about 60% of the PEAO group has irregularity in meal time. The students in PAH and POF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sumption frequency of fruits, meat products and foods cooked with oil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s for exercise, drinking and smok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H and the other groups. Asked for the reason for body weight control, 16.2% of NCPR group answered “for health”, but 24.8% of PEAO group and 26.3% of POF group answered “for appearance”. Calorie, vitamin A, vitamin B₂, calcium and iron intakes of all the groups were lower than the Korean DRIs. Female students in PTA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itamin B₁and niacin intakes compared to the PFR group.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nation-wide information on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lifestyl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숙, "충남지역 대학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및 생활습관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5-57, 2002
2 김시연, "체질량지수에 따른 일부 대학생의 체형인식도와 식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3-12, 2007
3 이명희,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7 (27): 1101-1111, 2003
4 이지선, "청소년기 운동선수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상태와혈청 구리, 아연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38 (38): 465-474, 2005
5 이은희,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태도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85-102, 2006
6 임영숙, "일부 남·녀 대학생들의 편의식에 대한 기호도와 식태도에 관한 비교" 대한영양사협회 11 (11): 11-20, 2005
7 이옥희, "일본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류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9 (29): 298-306, 2005
8 장경자, "인터넷 영양교육 참여 전국 대학생의 지역별 신체계측,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565-571, 2006
9 노정옥, "인천지역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대학생의 식습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 비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157-168, 2003
10 정우영, "여자 대학생의 신용카드 사용과 관련된 의류 구매 성향에 관한 연구- 충동 구매 성향, 유행 추구 성향, 과시 소비 성향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3 (13): 819-832, 2005
1 김인숙, "충남지역 대학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및 생활습관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5-57, 2002
2 김시연, "체질량지수에 따른 일부 대학생의 체형인식도와 식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3-12, 2007
3 이명희, "청소년의 외모관련행동과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7 (27): 1101-1111, 2003
4 이지선, "청소년기 운동선수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상태와혈청 구리, 아연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38 (38): 465-474, 2005
5 이은희,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태도와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8 (18): 85-102, 2006
6 임영숙, "일부 남·녀 대학생들의 편의식에 대한 기호도와 식태도에 관한 비교" 대한영양사협회 11 (11): 11-20, 2005
7 이옥희, "일본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류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9 (29): 298-306, 2005
8 장경자, "인터넷 영양교육 참여 전국 대학생의 지역별 신체계측,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565-571, 2006
9 노정옥, "인천지역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대학생의 식습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 비교"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3 (13): 157-168, 2003
10 정우영, "여자 대학생의 신용카드 사용과 관련된 의류 구매 성향에 관한 연구- 충동 구매 성향, 유행 추구 성향, 과시 소비 성향을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3 (13): 819-832, 2005
11 이진실, "여대생의 아침식사 실태와 이상적 아침식사 유형을 위한 연구 - Ⅱ. 아침식사 외식양상과 아침식단에 대한 기호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466-474, 2003
12 김선희, "신체이?와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3 (53): 87-98, 2003
13 정선희, "식품영양 전공 및 비전공 여재생의 식태도, 식생동 및 영양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1-303, 2002
14 김태희,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레스토랑 실내이미지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3 (43): 69-79, 2005
15 장경자, "대학생의 체형인식과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행동"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559-1565, 2005
16 나영주,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신용카드 사용과 의복구매" 한국의류산업학회 6 (6): 585-594, 2004
17 이미숙, "대전지역 일부 대학생의 영양소 섭취 상태, 식사의 질과 식습관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1 (11): 39-51, 2006
18 김경희, "광주지역 대학생의 식습관 , 영양지식 및편의식품 섭취 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8 (8): 181-191, 2003
19 Korean Nutrition Society, "The 7th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20 김인화, "TV 드라마 PPL광고의 효과와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14 (14): 785-794, 2005
21 Moon SJ, "Life styles and health care behaviors : The study on Japanese elderly" 5 : 99-113, 2001
22 Im JB, "Life style and dietary pattern" 28 : 33-52, 1990
23 "Korean Obesity Society"
24 Seymour M, "Inappropriate dieting behaviors and related lifestyle factors in young adults : Are college students different?" 29 : 21-26, 1997
25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6 Yoon S, "Consumer trends on dietary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foods" 13 : 197-206, 1998
27 Lee MS, "Changes in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nutrition course" 32 : 739-745, 1999
28 Moon SJ, "An analysis of health and economic status of the urban elderly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37 : 127-141, 1999
29 Yoo JE, "A study of the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adolescents" 13 : 19-24, 2003
포도씨열수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의 지질대사와 적혈구 항산화 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고 Isoflavone 콩나물이 만성 에탄올 투여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