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언론은 ‘균형발전’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 How Does the Local Media Deal with “Balanced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1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plored how 9 local newspapers under the Local Press Korea Association have dealt with the 'balanced development' agenda.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Roh Moo-Hyunn government, which enacted policies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o the Moon Jae-In government. It analyzed 1,697 editorials, which included the topic words of "balanced development." Coding sheets are filled with the target audience, subject area, narrative style, and frame. The study finds that nine local newspapers took a “largely similar but slightly different” agenda approach that had one voice for balanced development in general and were different in detail according to regions and governments. All local newspapers were commonly based on a dist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ompetence of local governments, and anticipation for local residents and local civil society. More specifically, Kyeongin Ilbo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eight newspapers regarding “regulations on the metropolitan area.” By governments, both the expectations for and criticism against the Roh Moo-Hyun government had become weaker through the following governments. However, the narrative style urging a specific strategy in editorials was more and more from the Roh government to the Moon government. Although all nine newspapers discussed “balanced development” with various aspects and implications to some ext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discussion from the Roh government to the present. Given media’s reconstruction of reality, which means that press reconstruct reality by reflecting it, the discourse of “balanced development” has made no progress.
      번역하기

      The study explored how 9 local newspapers under the Local Press Korea Association have dealt with the 'balanced development' agenda.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Roh Moo-Hyunn government, which enacted policies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study explored how 9 local newspapers under the Local Press Korea Association have dealt with the 'balanced development' agenda. Th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Roh Moo-Hyunn government, which enacted policies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o the Moon Jae-In government. It analyzed 1,697 editorials, which included the topic words of "balanced development." Coding sheets are filled with the target audience, subject area, narrative style, and frame. The study finds that nine local newspapers took a “largely similar but slightly different” agenda approach that had one voice for balanced development in general and were different in detail according to regions and governments. All local newspapers were commonly based on a distrus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ompetence of local governments, and anticipation for local residents and local civil society. More specifically, Kyeongin Ilbo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eight newspapers regarding “regulations on the metropolitan area.” By governments, both the expectations for and criticism against the Roh Moo-Hyun government had become weaker through the following governments. However, the narrative style urging a specific strategy in editorials was more and more from the Roh government to the Moon government. Although all nine newspapers discussed “balanced development” with various aspects and implications to some ext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discussion from the Roh government to the present. Given media’s reconstruction of reality, which means that press reconstruct reality by reflecting it, the discourse of “balanced development” has made no progr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지방신문협회 소속 9개 지역신문에서 ‘균형발전’ 의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국가균형발전을 정책의제화한 노무현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 ‘균형발전’ 주제어가 포함된 사설 1,697건이다. 분석유목은 소구대상, 주제영역, 서술방식, 프레임이다. 연구 결과, 9개 지역신문들은 총론적으로 균형발전을 촉구하고 각론에서는 지역별, 정권 시기별로 차이가 드러나는 ‘대동소이(大同小異)형’ 의제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지역신문들 모두는 중앙정부에 대한 불신, 지방정부에 대한 무능, 지역민과 시민사회에 대한 기대 등을 담고 있었다. 각론에서는 경인일보와 8개 신문 간에 ‘수도권 규제’를 두고 명확한 입장 차이를 드러내었다. 정권별로는 노무현 정부에서 가졌던 기대와 그에 따른 비판들이 현 정권으로 올수록 약해지는 대신, 세부 실행을 촉구하는 읍소형 전략의 논조들은 많아지고 있었다. 종합하자면 9개 지역신문에서 다양한 층위와 함의를 갖고 ‘균형발전’ 논의가 전개되었다고 할 여지가 있기는 하나, 전체적으로는 초반에서 현재까지의 논의가 뚜렷한 진전없이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하겠다. 언론의 보도행위는 현실의 반영이라는 ‘언론의 현실구성론’에 견주어볼 때, 균형발전은 여전히 답보상태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지방신문협회 소속 9개 지역신문에서 ‘균형발전’ 의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국가균형발전을 정책의제화한 노무현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

      본 연구는 한국지방신문협회 소속 9개 지역신문에서 ‘균형발전’ 의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국가균형발전을 정책의제화한 노무현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 ‘균형발전’ 주제어가 포함된 사설 1,697건이다. 분석유목은 소구대상, 주제영역, 서술방식, 프레임이다. 연구 결과, 9개 지역신문들은 총론적으로 균형발전을 촉구하고 각론에서는 지역별, 정권 시기별로 차이가 드러나는 ‘대동소이(大同小異)형’ 의제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다. 지역신문들 모두는 중앙정부에 대한 불신, 지방정부에 대한 무능, 지역민과 시민사회에 대한 기대 등을 담고 있었다. 각론에서는 경인일보와 8개 신문 간에 ‘수도권 규제’를 두고 명확한 입장 차이를 드러내었다. 정권별로는 노무현 정부에서 가졌던 기대와 그에 따른 비판들이 현 정권으로 올수록 약해지는 대신, 세부 실행을 촉구하는 읍소형 전략의 논조들은 많아지고 있었다. 종합하자면 9개 지역신문에서 다양한 층위와 함의를 갖고 ‘균형발전’ 논의가 전개되었다고 할 여지가 있기는 하나, 전체적으로는 초반에서 현재까지의 논의가 뚜렷한 진전없이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하겠다. 언론의 보도행위는 현실의 반영이라는 ‘언론의 현실구성론’에 견주어볼 때, 균형발전은 여전히 답보상태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정화, "환경갈등과 언론: 부안 방폐장에 대한 이해집단과 미디어 프레임 비교분석" 한국정책학회 16 (16): 177-208, 2007

      2 나미수, "핵폐기장 유치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분석 - KBS, MBC의 전국 및 지역(전북지역) 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6 : 157-208, 2004

      3 최상철, "한국지역정책사 소고: 1960-1980(Ⅰ)" 1 (1): 1-16, 2014

      4 최낙진,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9 (19): 247-279, 2015

      5 중앙일보, "지자체 첫 균형발전 지표…기초단체 상위 10% 경기가 싹쓸이"

      6 김봉덕, "지역언론의 뉴스품질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 지역균형발전 보도에 관한 다양성, 심층성, 객관성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7 최낙진, "지역신문 뉴스 프레임 비교 - 핵폐기장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7 : 287-316, 2004

      8 장호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역언론의 역할" (11) : 63-77, 2002

      9 정상윤, "지역방송의 미래와 전망"

      10 김민남, "지역기능 다각화에 따른 전국부 역할 모색" 삼성언론재단 49-88, 2004

      1 정정화, "환경갈등과 언론: 부안 방폐장에 대한 이해집단과 미디어 프레임 비교분석" 한국정책학회 16 (16): 177-208, 2007

      2 나미수, "핵폐기장 유치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 프레임 분석 - KBS, MBC의 전국 및 지역(전북지역) 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6 : 157-208, 2004

      3 최상철, "한국지역정책사 소고: 1960-1980(Ⅰ)" 1 (1): 1-16, 2014

      4 최낙진,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9 (19): 247-279, 2015

      5 중앙일보, "지자체 첫 균형발전 지표…기초단체 상위 10% 경기가 싹쓸이"

      6 김봉덕, "지역언론의 뉴스품질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 지역균형발전 보도에 관한 다양성, 심층성, 객관성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7 최낙진, "지역신문 뉴스 프레임 비교 - 핵폐기장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7 : 287-316, 2004

      8 장호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역언론의 역할" (11) : 63-77, 2002

      9 정상윤, "지역방송의 미래와 전망"

      10 김민남, "지역기능 다각화에 따른 전국부 역할 모색" 삼성언론재단 49-88, 2004

      11 박태우 ; 이상식, "지역 갈등 이슈의 뉴스 프레임 구성에 대한 연구 : 동남권 신공항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251-297, 2013

      12 이영동 ; 강정운, "지방정부간 갈등에 대한 지역언론 보도 내용의 분석:신항과 평택·당진항 사례"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137-158, 2007

      13 육동일, "지방자치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언론의 방향과 과제" 한국국정관리학회 26 (26): 139-163, 2016

      14 김균수, "지방자치시대 지역 언론의 역할 ‘커뮤니케이션 공동체 문화’의 창출" (130) : 17-19, 2016

      15 강준만, "지방이 지방을 죽인다: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48 (48): 268-284, 2020

      16 차재권 ; 주인석, "지방분권형 개헌 논의과정에서 나타난 지역별 국민여론의 차이 분석" 한국정치정보학회 21 (21): 115-148, 2018

      17 차미숙, "지방분권시대의 균형발전정책 추진방향" (431) : 8-16, 2017

      18 최낙진, "지방분권 의제, 지역언론이 감당하고 추동해야" 2021

      19 하혜수, "지방분권 오디세이: 우리나라 지방분권의 진단과 대안" 박영사 2020

      20 최낙진, "제주지역 일간지의 ‘제2공항 건설’ 관련 사설 분석" 10 (10): 287-314, 2019

      21 김순은, "정책논단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자치분권: 과밀비용과 과소비용을방지하자" (여름) : 4-13, 2021

      22 김순은, "자치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의 정책적 조화를 위한 추진 전략" (434) : 13-19, 2017

      23 강승훈, "인천경제자유구역 개발에 관한 중앙지와 지역일간지의 보도방식과 뉴스 프레임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57 (57): 160-180, 2012

      24 김규원, "수도권 인구, 사상 처음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 50% 돌파"

      25 유영돈 ; 마정미, "사회적 갈등이슈에 대한 전국 7개 일간지 보도 비교: 세종시 갈등 보도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285-316, 2015

      26 남종훈, "사회갈등 이슈에 대한 방송뉴스보도 비교 연구: 중앙과 지역의 보도 프레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2 (12): 475-483, 2011

      27 김의섭, "분권, 차등분권과 지역균형발전: 문재인정부 분권의 성과와 과제" 한국재정정책학회 24 (24): 29-83, 2022

      28 대구경제신문, "문정부의 지방고사 방치는 반(反)민주주의"

      29 진승호, "문재인 정부의 국가 균형 발전 비전과 목표" 11-17, 2021

      30 양정혜, "동남권 신공항 이슈의 프레이밍을 통해 본 언론의 지역 이기주의 : 부산일보, 매일신문, 경향신문 뉴스분석"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1) : 231-272, 2011

      31 황태연, "내부식민지와 저항적 지역주의" 7 : 11-36, 1997

      32 문종대 ; 이강형, "내부 식민지로서의 지역방송 재생산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175-208, 2005

      33 이서현 ; 김성해, "규범적 시대정신과 현실적 이해관계의 충돌: ‘김영란법’ 보도를 통해 살펴본 한국 언론의 담론정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4) : 85-120, 2017

      34 김우석 ; 김형진,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변화를 위한 소고" 한국거버넌스학회 27 (27): 149-175, 2020

      35 윤태범, "국가균형발전과 자치분권" 30-34, 2021

      36 매일신문, "국가균형발전 空念佛돼선 안 된다"

      37 장호순, "“종속”과 “배제”: 한국 지역방송의 내부식민지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5 (15): 375-411, 2015

      38 이서현 ; 최낙진 ; 이연도, "‘쿠팡’을 둘러싼 신문사 간 담론 경쟁" 언론정보연구소 59 (59): 148-194, 2022

      39 원만해 ; 채백, "‘천성산 고속철도 관통’ 보도에서 나타나는중앙지와 지역지의 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51 (51): 199-228, 2007

      40 이서현 ; 고영철,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 캠페인 관련 지역일간지의 뉴스 프레임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63 (63): 27-52, 2013

      41 부산일보, "‘던지고 보자’식 지역 공약, 되레 불신만 키운다"

      42 부산일보, "[사설] 국가균형발전위 위상 강화한 만큼 역할 다하라"

      43 임태환, "[금요초대석] 지방분권 현실화, 지역언론에 있다_장호순 순천향대 교수"

      44 Stavitsky, A. G., "The changing conception of localism in U. S. public radio" 38 (38): 19-33, 1994

      45 강준만 ; 전상민, "Local Media Research Trapped in the Path Dependency : Three Major ‘Fallacy of Composition’ That Accelerate ‘the Death of Regional Cities’"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63 (63): 7-32, 2019

      46 강준만, "Is It Possible to Vitalize the Local Media?: Suggestion for ‘Nudge-Solutions Journalism’ in the Local Community" Institute of Social Science, Gangwon University 58 (58): 247-279, 2019

      47 이서현 ; 송철민 ; 이승환 ; 최낙진, "How the Local Media Deals with the Opinions of Residents in the Scheduled Area for the Jeju Second Airport?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News Reports and Interviews with Residents"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106 : 133-170, 2021

      48 Napoli, P., "Foundations of communication policy: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 Hampton Press Inc 2001

      49 소진광, "Exploring the Approach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Recognition of Regional Disparity"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4 (34): 3-48, 2020

      50 정성호, "A Critical Review of the Local Extinction Discours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ociology 20 (20): 5-28, 2019

      51 원숙경 ; 문종대, "4대강 사업에 대한 시기별 뉴스프레임 비교 연구: 영남 지역 6개 신문의 사설과 칼럼을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 (20): 65-91, 2016

      52 매일신문, "10대 공약서 빠진 지역균형발전, 유권자는 지방에도 산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