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성인의 연령, 체질량지수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Age, Body Mass Index, and Individual Habit to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513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건강관리협회에 내원한 환자 중 설문에 응해준 268명(여성 136명, 남성 132명)의 연령, 체질량지수(BMI)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BMD)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

      한국건강관리협회에 내원한 환자 중 설문에 응해준 268명(여성 136명, 남성 132명)의 연령, 체질량지수(BMI) 및 생활습관과 골밀도(BMD)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기를 이용하여 요추(lumbar spine)와 대퇴경부(femoral neck)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성의 평균키는 155.8±6.0 cm, 평균체중은 56.8±7.9 kg, 평균체질량지수는 23.4±3.1 kg/m2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평균키는 169.1±6.0 cm, 평균체중은 69.0±9.5 kg, 평균체질량지수는 24.1±2.7 kg/m2이었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감소되었으며, 연령과 골밀도는 매우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 < 0.01). 그러나 여성의 골밀도는 50대 이후에 급격히 감소되는데 비해, 남성의 골밀도는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남녀 모두 요추의 골밀도가 대퇴경부의 골밀도보다 낮았다.
      체질량지수가 증가 할수록 골밀도가 대체로 높아졌으며, 특히 50대에서는 뚜렷하게 높아졌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골밀도 범주의 분포를 보면, 여성은 40대까지는 정상이 대부분이었으나, 50대에서는 정상과 골감소증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60대 이상에서는 골다공증이 많았다. 그러나 남성은 7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대부분 정상의 골밀도 범주에 속했다.
      커피나 탄산음료는 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음주는 영향을 주었다. 음주집단이 비음주집단보다 골밀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관련성(p < 0.05)을 보였다. 또한 흡연과 운동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studied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BMD) by age, body mass index (BMI), coffee, carbonated drink, alcohol, smoking, and exercise in adults who checked in health center.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total 268 persons (women of 136 person...

      We studied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BMD) by age, body mass index (BMI), coffee, carbonated drink, alcohol, smoking, and exercise in adults who checked in health center.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total 268 persons (women of 136 persons and men of 132 persons). The BMD was determined in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we got some results as below :
      1. In women, mean body height was 155.8±6.0 cm, mean body weight was 56.8±7.9 kg, and mean BMI was 23.4±3.1 kg/m2. In men, mean body height was 169.1±6.0 cm, mean body weight was 69.0±9.5 kg, and mean BMI was 24.1±2.7 kg/m2.
      2. BMD decreased as age increased, and the age was the most determinant factor for BMD (p < 0.01). Women's BMD decreased rapidly in the groups aged ≥ 50 s, while men's BMD decreased gradually with age. In addition, for both sex, lower BMD was measured in lumbar spine than in femoral neck.
      3. BMD increased in high BMI, and BMD with BMI increased distinctly in the group aged 50 s. But their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
      4. In view of the distribution by three BMD categories, women's BMD was mostly normal in the groups aged ≤ 40 s, but the rate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was similar in the group aged 50 s, and the rate of osteoporosis was the highest in the groups aged 60 s and 70 s. Men's BMD was mostly normal through all groups except the group aged 70 s.
      5. Coffee and carbonated drink were not influenced in BMD. But alcohol-drinking group showed higher BMD than non-drinking group, and alcoh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for BMD (p < 0.05). Smoking and exerci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of BM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용석중, "한국인의 성인남녀의 골밀도" 31 (31): 1350-1358, 1988

      2 강병문, "한국 폐경 여성에서 운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13 (13): 131-136, 2007

      3 채진욱, "폐경 후 여성에서 체성분과 골밀도와의 관계" 20 (20): 53-61, 2003

      4 안혜선, "청소년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신체계측치, 생활습관 및 기타 환경요인" 한국영양학회 38 (38): 242-250, 2005

      5 민정기, "인공폐경여성과 자연폐경여성의 골밀도 비교" 대한산부인과학회 44 (44): 1437-1441, 2001

      6 오종영, "이중방사선 흡수법을 이용한 부위별 골밀도 측정의 필요성" 32 : 971-974, 1995

      7 이계영, "운동상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13 (13): 67-76, 1995

      8 허성은, "연령에 따른 한국 여성의 요골 말단 부위의 골밀도" 9 (9): 226-231, 2003

      9 유병연, "술과 골밀도와의 관계" 28 (28): 148-150, 2007

      10 김순근, "성인의 신체조건 및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 29 (29): 2006

      1 용석중, "한국인의 성인남녀의 골밀도" 31 (31): 1350-1358, 1988

      2 강병문, "한국 폐경 여성에서 운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13 (13): 131-136, 2007

      3 채진욱, "폐경 후 여성에서 체성분과 골밀도와의 관계" 20 (20): 53-61, 2003

      4 안혜선, "청소년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신체계측치, 생활습관 및 기타 환경요인" 한국영양학회 38 (38): 242-250, 2005

      5 민정기, "인공폐경여성과 자연폐경여성의 골밀도 비교" 대한산부인과학회 44 (44): 1437-1441, 2001

      6 오종영, "이중방사선 흡수법을 이용한 부위별 골밀도 측정의 필요성" 32 : 971-974, 1995

      7 이계영, "운동상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13 (13): 67-76, 1995

      8 허성은, "연령에 따른 한국 여성의 요골 말단 부위의 골밀도" 9 (9): 226-231, 2003

      9 유병연, "술과 골밀도와의 관계" 28 (28): 148-150, 2007

      10 김순근, "성인의 신체조건 및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 29 (29): 2006

      11 신택수, "성인여성에서 운동의 유형 및 운동량과 골밀도의 연관성" 대한가정의학회 24 (24): 7-826, 2003

      12 장수진, "성인남녀 480명에서의 골밀도와 비만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임상적 연구" 15 (15): 383-392, 1998

      13 이승환, "성인 남성의 골밀도와 관련된 요인" 대한가정의학회 24 (24): 7-165, 2003

      14 주남석, "성인 남성에서 흡연과 음주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의학회 27 (27): 911-916, 2006

      15 오한진, "비만이 폐경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9 (9): 122-127, 2000

      16 정성웅, "반정량적 식품섭취 빈도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과 골밀도와의 관계" 21 (21): 523-532, 2000

      17 김덕윤, "골다공증의 진단 I, Gold standard-DXA 장비의 활용과 문제 해결" 2005

      18 박형무, "골다공증 진단에 있어 전신 및 부분 골밀도의 비교연구" 9 (9): 25-35, 2003

      19 KA Krall, "Walking is related to bone density and rates of bone loss" 96 : 20-26, 1994

      20 BL Riggs,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27 : 620-627, 1992

      21 SI Woo, "The influence of diet, body fat menstrual function, and activity upon the bone density of female gymnasts" 32 (32): 50-63, 1999

      22 HJ Choi, "The association between bone density at oscalcis and body composition, life style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city adolescent" 161-, 2004

      23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n-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24 JM Grodin, "Source of estrogen produ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36 (36): 207-214, 1973

      25 MA Hansen, "Role of peak bone mass and bone loss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A 12 year study" 303 : 961-964, 1991

      26 ER Simpson, "Role of aromatase in sex steroid action" 25 : 149-156, 2000

      27 DL Nichols, "Relationship of regional body composition to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females" 27 (27): 178-182, 1995

      28 JF Fries, "Preven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 possibilities, the role of exercise, and limitations" 5 (5): 6-10, 1996

      29 WHO Scientific Group, "Prevention and Man- agement of Osteoporosis"

      30 EJ Bassey,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have different bone mineral density responses to the same high impact exercise" 13 (13): 1805-1813, 1998

      31 HW Daniell, "Osteoporosis of the slender smoker,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and loss of metacarpal cortex in relation to postmenopausal cigarette smoking and lack of obesity" 136 (136): 298-304, 1976

      32 N Pocock, "Muscle strength, physical fitness, and weight but not age predict femoral neck bone mass" 4 : 441-448, 1989

      33 M Bradney, "Moderate exercise during growth in prepubertal boys : Changes in bone mass, size, volumetric density, and bone strength : a controlled prospective study" 13 (13): 1814-1821, 1998

      34 JA Kanis, "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An update on the diagnosis and assessment of osteoporosis with densitometry" 11 (11): 192-202, 2000

      35 T Diamond, "Ethanol reduced bone formation and may cause osteoporosis" 86 : 282-288, 1989

      36 RB Mazess, "Estimation of bone and skeletal weight by direct photon absorptiometry" 6 (6): 52-60, 1971

      37 D Demirgag, "Effects of coffee consumption and smoking habit on bone mineral density" 26 (26): 530-535, 2006

      38 김덕윤, "DXA 골밀도 측정-의학적 측면" 2005

      39 H May, "Cigarette smoking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men" 87 (87): 625-630, 1994

      40 C Snow-Harter, "Bone mineral density, muscle strength, and recreational exercise in men" 7 : 1291-1296, 1992

      41 HS Glauber, "Body weight versus body fat distribution, adiposity and frame size as predictors of bone density" 80 : 1118-1123, 1995

      42 WHO Study Group,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1-129, 1994

      43 DM Smith, "Age and activity effects on rate of bone mineral loss" 58 (58): 716-721, 1976

      44 장준섭, "50세 이상 연령층에서 발생한 고관절 주위 골절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 32 (32): 46-5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대한방사선과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Radiologial 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1 0.48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