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머 헐버트의 한국 민속연구와 영역 설화집으로서의 『THE KOREA REVIEW』 = Homer B. Hulbert’s Folktales and The Korea Re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 초기 교육학, 역사학,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는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가 발간했던 영문 잡지 The Korea Review를 영역(英譯) 설화...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 초기 교육학, 역사학,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는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가 발간했던 영문 잡지 The Korea Review를 영역(英譯) 설화집 연구의 주요 자료로 살펴보며, 이 잡지에 수록된 한국 설화 목록을 작성하여 소개하는 것이다. 근대 초기 서양인들에 의해 영역된 한국의 고소설, 설화를 중심으로 진행된 최근 연구들은 단행본으로 출판된 영역 설화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선행 연구들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근대 잡지, 특히 The Korea Review를 통해 소개되었던 영역 한국 설화의 목록을 작성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잡지는 Hulbert의 주도적인 편집으로 한국 감리교 출판부(Methodist Publishing House)에서 1901년부터 1906년까지 발행되었으며, 이 잡지에 소개된 설화의 상당 부분이 Hulbert에 의해 수집, 채록, 영역된 것으로 확인된다. 정기 간행물로서 매달 고정적으로 작품이 소개되고 있기 때문에 이야기의 수와 다양성에 있어서는 개화기부터 일제 식민시기에 영역된 어떤 설화집보다도 다수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Korea Review에 수록된 설화들의 목록을 정리하기에 앞서, 본문 1장에서는 The Korea Review의 전체적인 구성, 창간 경위, 목적, 주요 필자, 독자층, 편집 의도 등에 대해 살펴보고, 2장에서는 Hulbert의 민속학 연구에 대한 시각과 설화 수집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The Korea Review에 수록된 설화 목록을 작성하여 향후 영역 설화 연구의 주요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Korea Review, an English magazine published from 1901 to 1906 in the early modern Korea by Homer B. Hulbert. He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Korean Studies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h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Korea Review, an English magazine published from 1901 to 1906 in the early modern Korea by Homer B. Hulbert. He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Korean Studies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history, and linguistics; however, this paper pays more attentions to him as a folklorist or a collector of Korean folktales. In doing so, it aims to introduce the list of Korean folktales included in this magazine. Recently, many scholars have studied Korean folktales collected and translated by foreigners during the early modern Korea, including the collections of Horace Allen and James Gales, but they have not dealt with the collections of folktales in The Korea Review.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 explor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agazine, focusing on its founding process, purpose, and readership, content composition, and editorial intent. In the second section, I will review Hulbert’s perspectives on folklore studies and the method of collecting stories of the time. Finally in the third section, I will introduce the list of folktales in the magazi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진, "헐버트의 꿈 : 조선은 피어나리" 참좋은친구 2019

      2 석주연, "한국학휘보 『Korean Repository』의 한국어와 한국어 학습 관련 기사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83) : 75-95, 2019

      3 김일권,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4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5 신상필, "파리외방전교회가 남긴 동서양 문명교류의 흔적 – Grammaire Coréenne(1881) 소재 단형고전서사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37) : 349-380, 2014

      6 이창희,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九雲夢』 飜譯樣相 考察" 우리어문학회 (67) : 255-298, 2020

      7 김성철, "일제 강점기에 영역(英譯)된 한국 동화집 Tales told in Korea의 편찬 경위와 구성의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9 : 257-284, 2015

      8 오윤선, "외국인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호랑이 소재담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43) : 191-228, 2014

      9 이영미,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The Korean Repository)』(1892~1898)의 성격과 의미" 한국학연구소 (60) : 9-35, 2021

      10 심경석, "서양인과 "거인"의 근대조선 여행기: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린 기행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40 (40): 5-35, 2021

      1 김동진, "헐버트의 꿈 : 조선은 피어나리" 참좋은친구 2019

      2 석주연, "한국학휘보 『Korean Repository』의 한국어와 한국어 학습 관련 기사 연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83) : 75-95, 2019

      3 김일권,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4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5 신상필, "파리외방전교회가 남긴 동서양 문명교류의 흔적 – Grammaire Coréenne(1881) 소재 단형고전서사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37) : 349-380, 2014

      6 이창희,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의 『九雲夢』 飜譯樣相 考察" 우리어문학회 (67) : 255-298, 2020

      7 김성철, "일제 강점기에 영역(英譯)된 한국 동화집 Tales told in Korea의 편찬 경위와 구성의 의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9 : 257-284, 2015

      8 오윤선, "외국인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호랑이 소재담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43) : 191-228, 2014

      9 이영미,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The Korean Repository)』(1892~1898)의 성격과 의미" 한국학연구소 (60) : 9-35, 2021

      10 심경석, "서양인과 "거인"의 근대조선 여행기: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린 기행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40 (40): 5-35, 2021

      11 오윤선, "근대초기 한국설화 영역자들의 번역태도 연구-Allen, Griffis, Hulbert, Carpenter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3) : 205-231, 2012

      12 이상혁, "근대 초기 영문 잡지에 나타난 서양인의 ‘조선어’ 인식에 대하여– The Korean Repository, The Korean Review를 중심으로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5) : 185-212, 2016

      13 장덕순,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14 임정지, "고전서사 초기 영역본(英譯本)에 나타난 조선의 이미지-Korean Tales와 Korean folk tales의 경우" 돈암어문학회 25 : 7-36, 2012

      15 최진실, "곁텍스트 분석을 통한 번역가의 번역원리 연구: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을 중심으로" 한국통번역교육학회 16 (16): 207-227, 2018

      16 이상현, "게일의 한국고소설 번역과 그 통국가적 맥락― 『게일 유고』(Gale, James Scarth Papers) 소재 고소설관련 자료의 존재양상과 그 의미에 관하여 ―" 국제비교한국학회 22 (22): 11-54, 2014

      17 유경민, "개신교 선교사가 정리한 한국어 속담과 수수께끼 연구 - 외국인의 한국 언어 문화 습득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59) : 78-103, 2014

      18 이인경, "『韓國口碑文學大系』 소재 설화 해제" 민속원 2008

      19 송민규,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된 SONG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1 (21): 227-254, 2013

      20 강혜정, "The Korean Repository의 학술 자료적 가치" 인문학연구소 36 (36): 29-52, 2017

      21 Homer Hulbert, "The Korea Review, 1901-1906"

      22 Homer Hulbert, "Echoes of the Orient: A Memoir of Life in the Far East" 도서출판 선인 2000

      23 석주연, "<한국학휘보 The Korean Repository>와 <중국총보 The Chinese Repository>의 비교 연구―언어 및 언어 학습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81 (81): 243-272, 2020

      24 이민희, "20세기 초 외국인 기록물을 통해 본 고소설 이해 및 향유의 실제 - The Korea Review 수록 ‘Korean Fiction’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8) : 121-158, 2012

      25 오윤선, "19세기말~20세기초 영문(英文) 한국설화의 자료적 가치 연구" 우리문학회 (41) : 145-179, 2014

      26 김성철,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서양인들의 한국 문학 인식 과정에서 드러나는 서구 중심적 시각과 번역 태도 -Allen, Aston, Hulbert의 저작물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9) : 89-116, 2013

      27 황인순, "1900년대 전후 외국어 설화집의 연구 방법론 구축"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665-702,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1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parative Korean Studies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9 0.81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