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儒敎와 基督敎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148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종교를 사상면에서 비교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것은 종교마다 그 숭배 내지 신앙대상이 되는 絶對者에 대한 명칭, 성격, 기능 및 형성과정을 각각 달리하는바, 그 차이점이 개관적인 논증보다 믿는 자들의 주관적인 신념 혹은 內的(靈感的) 체험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유교와 기독교의 경우와 같이 신앙양식이 판이한 종교관계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대로 불교와 기독교의 관계에서는 신앙양식에 있어서 유사점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그만큼 비교연구의 가능성을 좀더 보이고 있으나 유교와 기독교의 경우는 같은 범주 category에서 헤아리기 곤란한 점이 너무나 많다. 그만큼 지금까지 이 두 종교를 비교사상 연구의 측면에서 다룬 경우(논문)는 별로 접한 적도 없다. 물론 동서문화의 접촉의 역사는 이미 오래인 만큼 단편적인 비교논의가 없었을 수는 없고, 특히 論理的 측면에 있어 그것은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같은 종교라는 범주에서 양자를 전면적으로 비교논의 한다는 것은 일종의 모험적인 시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본인이 이것을 시도한 것은 모험을 택한 것이 아니고, 그보다도 시간적인 제약을 어찌 할 수 없었고, 그 밖에 필요 이상의 정력 소모를 아끼기 위해서라고 할 수밖에 없다. 불교와 기독교라든가, 유교와 불교의 비교논의는 이미 상당수의 前例가 있을 것인 만큼 그것을 대개 다 조사 검토한 위에 나의 견해를 전개시키는 것이 도리요, 그렇게 하려면 그만큼 많은 시간과 정력의 소모가 불가피할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번역하기

      종교를 사상면에서 비교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것은 종교마다 그 숭배 내지 신앙대상이 되는 絶對者에 대한 명칭, 성격, 기능 및 형성과정을 각각 달리하는바, 그 차이점이...

      종교를 사상면에서 비교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것은 종교마다 그 숭배 내지 신앙대상이 되는 絶對者에 대한 명칭, 성격, 기능 및 형성과정을 각각 달리하는바, 그 차이점이 개관적인 논증보다 믿는 자들의 주관적인 신념 혹은 內的(靈感的) 체험의 결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특히 유교와 기독교의 경우와 같이 신앙양식이 판이한 종교관계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대로 불교와 기독교의 관계에서는 신앙양식에 있어서 유사점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그만큼 비교연구의 가능성을 좀더 보이고 있으나 유교와 기독교의 경우는 같은 범주 category에서 헤아리기 곤란한 점이 너무나 많다. 그만큼 지금까지 이 두 종교를 비교사상 연구의 측면에서 다룬 경우(논문)는 별로 접한 적도 없다. 물론 동서문화의 접촉의 역사는 이미 오래인 만큼 단편적인 비교논의가 없었을 수는 없고, 특히 論理的 측면에 있어 그것은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같은 종교라는 범주에서 양자를 전면적으로 비교논의 한다는 것은 일종의 모험적인 시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본인이 이것을 시도한 것은 모험을 택한 것이 아니고, 그보다도 시간적인 제약을 어찌 할 수 없었고, 그 밖에 필요 이상의 정력 소모를 아끼기 위해서라고 할 수밖에 없다. 불교와 기독교라든가, 유교와 불교의 비교논의는 이미 상당수의 前例가 있을 것인 만큼 그것을 대개 다 조사 검토한 위에 나의 견해를 전개시키는 것이 도리요, 그렇게 하려면 그만큼 많은 시간과 정력의 소모가 불가피할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序論
      • 2. 本論
      • 1) 신앙(숭배)대상으로서의 하늘(天)과 神
      • 2) 삶의 究竟的 解決者로서의 하늘과 神
      • 3) 「무한세계」의 성취와 倫理關係
      • 1. 序論
      • 2. 本論
      • 1) 신앙(숭배)대상으로서의 하늘(天)과 神
      • 2) 삶의 究竟的 解決者로서의 하늘과 神
      • 3) 「무한세계」의 성취와 倫理關係
      • 4) 信仰樣式으로서의 祭儀와 기도
      • 5) 敎團에 대한 의무
      • 6) 현세적 福祉問題
      • 3. 結語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