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동계훈련 참여하는 운동선수들의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운동선수 지도자들이 선수들의 심리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안정적인 지도를 할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67704
2020
-
692
학술저널
1-9(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동계훈련 참여하는 운동선수들의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운동선수 지도자들이 선수들의 심리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안정적인 지도를 할 수 ...
이 연구에서는 동계훈련 참여하는 운동선수들의 운동만족과 운동지속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운동선수 지도자들이 선수들의 심리적인 부분을 파악하고 안정적인 지도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2019년 동계훈련에 참여한 260명의 선수들이다. 성별은 남자 선수 174명, 여자 선수 86명이다. 선수들의 각 종목의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선수들이다. 조사도구는 첫째, 운동만족을 설문지 사용하였다. 둘째, 운동지속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성별에서 운동만족하위요인 사회승인만족 유의한 차이가 있다. 소속팀에서 선수생활만족요인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종목에서 사회승인만족, 선수생활만족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지속에서는 성별과 소속팀에서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종목에서는 경향성과 강화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winter training on athletes athletic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providing basic resources for athlete leaders to identify and provide reliable guidance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athletes. The 260 athletes wh...
The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winter training on athletes athletic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providing basic resources for athlete leaders to identify and provide reliable guidance on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athletes. The 260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2019 Winter Training. There are 174 male and 86 female athletes. The athletes are registered to the Korean Athletic Association for each sport. The survey tool was first used as a questionnaire for exercise satisfaction. Seco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exercise duration performan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pproval satisfaction of the movement satisfaction sub-factors in gend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er life satisfaction factors in the team.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approval satisfaction in athletics and satisfaction with athlete life. In athletic sustainabilit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team tendencies, possibilities, and reinforcement. In athletic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ndency and strengthen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장기간 운동재활프로그램과 인지재활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 및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복합운동과 전산화 인지재활 병행프로그램이 지역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8주간 순환운동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내 치매 정책에 대한 치매안심 센터의 역할과 치매운동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문헌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