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단계에서는 ‘공급과잉’과 ‘경제적 글로벌화’가 가져오는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의 ‘산업구조적, 산업생태계적 영향’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8216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중형단계에서는 ‘공급과잉’과 ‘경제적 글로벌화’가 가져오는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의 ‘산업구조적, 산업생태계적 영향’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전...
중형단계에서는 ‘공급과잉’과 ‘경제적 글로벌화’가 가져오는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의 ‘산업구조적, 산업생태계적 영향’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전개될 한국과 글로벌 경제의 산업구조적 변화에 대한 예측과 상생과 지속가능한 한국경제를 위한 산업미래전략을 제시 한다. 이를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 중요한 관점에서 연구한다. 즉, (1) ‘기술포화-기술융합’, (2) ‘지식생산체감-지식융합’, 그리고 (3) ‘초연결사회-혁신의 개인화’가 그것이다. 그리고, (4) 이러한 기술혁신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러한 변화가 가져오는 산업구조적, 산업생태계적 변화를 분석한다.
(1) 기술포화와 기술융합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규명하고, 기술포화를 중심으로 기술과 산업의 융합에 대한 동인과 융합 메커니즘에 대한 통합적 이론을 제시한다. 특히, 내구재 시장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과도한 혁신(overshooting, Christensen, 1998)에 의한 시장수요창출의 한계체감 현상과 또한 해당 시장의 기술융합의 변화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술포화-기술융합의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융합-시장융합-산업융합의 산업적 융합의 확장이 가져오는 산업구조적(생산혁신 네트워크 구조) 변화와 이에 대응한 미래 산업전략과 정책방안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① 사례분석 방법론 (Case Study Methods), ② 헤도닉가격(hedonic price)분석, ③ 빅데이터 및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의 세 가지 분석방법론을 병렬적, 복합적으로 활용한다.
(2) 중형단계 연구에서는 ‘지식의 과도한 축척’이론(Jones, 2009)에 의한 지식생산의 한계체감 하에서 우리 사회의 지식 생산함수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지식생산에 대한 연구는 한국경제를 포함하여 글로벌 경제성장의 핵심적인 동인으로써 그 자체로써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최근 가장 광범위한 지식생산함수 변화 중 하나인 학제간 협업(Interdisciplinary Research)이 지식생산함수의 구조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특히, Triple-Helix이론(산학연 간 유기적 관계 관점) 관점에서 과연 정부와 민간의 R&D투자의 상호관계가 지식생산성의 한계체감 하에서 보완재인가, 아니면 대체제가 될 것인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산학연 간의 혁신네트워크 구조적 변화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서 ①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 DID) Methods와 ②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3) 스마트기기 기반의 소셜네트워크 혁신은 사람들을 상시 연결시키는 ‘초연결(hyper-connected) 사회’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전통적인 생산-공급-소비의 선형적인(linear) 프로세스와 제품/서비스의 생산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나아가, 이러한 생산-공급-소비 프로세스의 변화가 어떤 방향으로 산업구조적(생산혁신 네트워크) 변화를 전개시키고 있는지 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조(연구개발 협력, 전략적 협력, M&A 등)의 분석을 통해서 살펴본다. 특히, 소셜네트워크 기반의 다면시장(multi-sided market)의 확대는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소규모 기업가들의 창업에 큰 경제적 동기와 성공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창업생태계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한다. ① 무작위통제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방법론을 활용한다.
(4) 기술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기업들의 아웃소싱과 오프쇼어링, 기업합병 등의 생산 네트워크와 기술 라이센싱, 연구개발협업 등과 같은 혁신 네트워크의 기업 간 전략적 협력구조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전 세계 주요기업(상장기업)에 대한 비정형 빅데이터와 복합계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글로벌 가치사슬과 글로벌 생산·혁신 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 속에서 한국을 비롯한 각 국가들은 글로벌 가치사슬과 생산·혁신 네트워크 속에서의 위치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산업생태계지도 설계의 필수 변수를 도출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대기업중소기업, 제조업서비스업 등의 산업구조적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한국경제의 상생적 산업구조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①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 ② 빅데이터 분석, ③ 동적패널분석을 활용한다.
요컨대, 기술혁신 패러다임이 가져오는 산업생태계의 변화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서 특히 산업생태계 지수(IEI)를 제시한다. 또한, 도출된 복잡계 방법론과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글로벌 산업생태계 지도(GIE Map)를 설계한다. 중형 3년 차에서는 ‘산업미래전략연구센터(CIFS)’를 개소하여 대형연구센터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