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가족복지실천의 중점 기관인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각 기관이 수행하는 기능과 더불어 양 기관의 관계에 대한 종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38617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5-95(2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가족복지실천의 중점 기관인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각 기관이 수행하는 기능과 더불어 양 기관의 관계에 대한 종사...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가족복지실천의 중점 기관인 종합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각 기관이 수행하는 기능과 더불어 양 기관의 관계에 대한 종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문헌연구와 양 기관의 기관장과 중간관리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운영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양 기관의 기능과 관계성을 통해 가족복지를 지역사회에 전개해 나가는 데 있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가자들은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지만 각 기관만의 기능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차별성을 제기하였고, 이를 통해 종합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안의 개인과 가족에 초점을 둔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사례관리가 중점적 기능으로 앞으로의 발전방향임을 확인하였다.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일반가정의 가족생활주기에 맞춘 보편적 가족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예방활동과 지역주민의 심리적 접근성을 최대한 가깝게 유지하면서 건강가정을 구축해나가는 데 있어서의 토대역할이 기대가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우, "한국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운동재활학회 4 (4): 13-27, 2008
2 남찬섭,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1" 인간과 복지 2002
3 전광현, "지역사회복지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 방안" 15 : 119-137, 2004
4 최일선,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 조현순, "지역복지사업 환경변화에 따른 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연구-지역복지의 민간 전달체계의 통합관련 담론을 중심으로-" 3 (3): 273-293, 2006
6 김정옥, "지방분권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3 : 1-14, 2004
7 이동수,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요인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친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129-149, 2009
8 한현정,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의 실태 및 요구조사" 8 (8): 137-162, 2003
9 유태균,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간의 네트워크 특성 및 네트워크 상에서의 중심자적 역할정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7 (17): 20-48, 2001
10 이선형,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가족복지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의 방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21): 33-62, 2005
1 김경우, "한국 지역사회복지관 운영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운동재활학회 4 (4): 13-27, 2008
2 남찬섭, "한국 복지국가 성격논쟁1" 인간과 복지 2002
3 전광현, "지역사회복지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 방안" 15 : 119-137, 2004
4 최일선,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5 조현순, "지역복지사업 환경변화에 따른 종합사회복지관의 역할연구-지역복지의 민간 전달체계의 통합관련 담론을 중심으로-" 3 (3): 273-293, 2006
6 김정옥, "지방분권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3 : 1-14, 2004
7 이동수, "종합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요인이 이직의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친 영향" 한국거버넌스학회 16 (16): 129-149, 2009
8 한현정,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의 실태 및 요구조사" 8 (8): 137-162, 2003
9 유태균,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간의 네트워크 특성 및 네트워크 상에서의 중심자적 역할정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7 (17): 20-48, 2001
10 이선형,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가족복지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의 방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21): 33-62, 2005
11 윤춘모, "사회복지환경변화에 따른 사회복지관역할의 재정립방안" 3 (3): 123-147, 2007
12 서울특별시, "사회복지관 정기평가보고서" 2000
13 황성철,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 1994
14 보건복지부, "사회복지관 세부운영지침"
15 최희경, "비정형가족의 특성과 가족복지에의 함의 - 강점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5 (15): 245-283, 2005
16 김혜경, "복지국가의 고령자 보건의료정책" 공동체 2008
17 김영종, "민간사회복지조직의 재원과 서비스 전달" 2001
18 이진숙, "독일의 공적 가족복지 전달체계에 대한 분석 : 한국 가족복지 전달체계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 한국가족학회 14 (14): 6-6, 2002
19 김경신,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정체성, 역할에 대한 평가와 방향 모색" 29 : 75-91, 2009
20 이윤정,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교육사업 담당 건강가정사의 직무와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2 (12): 79-102, 2008
21 장진경,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한 전문가 및 실무자의 역할인식 조사연구 - 중앙, 광역(시·도), 시·군·구 센터를 구분하여 -" 대한가정학회 44 (44): 21-34, 2006
22 여성가족부, "건강가정지원센터사업안내"
23 이원규, "건강가정지원센터 중심의 한국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한국사회정책학회 14 (14): 213-255, 2007
24 이윤정, "건강가정지원센터 중간관리자급 건강가정사의 직무현황과 역량분석" 한국생활과학회 18 (18): 809-824, 2009
25 송혜림, "건강가정지원세터의 조직과 운영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303-318, 2004
26 조희금, "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과 체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331-344, 2004
27 이기영, "건강가정기본법의 내용 소개 및 사회적 기여" 2004
28 김신열,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과 방향 :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및 위치에 대한 반성적 모색" 19 : 133-171, 2004
29 남기철, "가족지원 전달체계의 쟁점" 21-30, 2003
30 조현순, "가족정책의 효율적 전달 체계 운영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의 가족복지사업과 건강가정지원센터사업의 비교연구" 한국비영리학회 6 (6): 63-99, 2008
31 윤홍식,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가족정책의 원칙과 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4 (14): 263-293, 2004
32 송다영,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방향과 원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225-252, 2005
33 고미영, "가족복지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실천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2 (12): 53-75, 2004
34 손병덕, "가족기능회복을 위한 사례관리 실천 방법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복지관의 적용방안 제시를 중심으로" 4 : 1-21, 2009
35 Dillick, S., "The Functions of Neighborhood Organization, In Community Organization in Action: Bsic Literature and Critical Comments" Association Press 1959
36 Ragin, C., "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Pension Systems, In The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of the Welfare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유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영향
아버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 탐색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 학부모의 인식, 실태 및 요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 | 1.7 | 1.8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7 | 2.161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