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 도시와 농촌 차이 = An Empirical Analysis on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ntention of Residential Movement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5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vides the residential areas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living in Chuncheongnam-do into urban and rural areas, and analyze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y intend to migrate. The key f...

      This study divides the residential areas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living in Chuncheongnam-do into urban and rural areas, and analyzes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y intend to migrat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living areas (cities and rural areas). Although urban residents’ satisfaction (5.56 out of 10)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5.47),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urban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ccess to living facilities, while rural resi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air, noise, and green areas. Third, depending on the living area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urban residents’ intention of the residential movement is higher than that of rural residents. Fourth, the analysis on the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hows that all four types of housing facto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particular, convenience facility factors have a greater impact than other factors, which are common in urban and rural areas. Fif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move around, urban residents are not greatly affected by certain factors, and rural residents are greatly influenced by cultural tourism and sports factors. Young one-person households are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urban vitality and strengthening residential stabil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high cost of housing for young people, various housing policies in the supply-side for young people and the maintena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an attract young people are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충남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가구의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

      본 연구는 충남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가구의 거주지역을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1인가구는 생활지역(도시와 농촌)에 따라 주거환경만족도의 차이는 없다. 즉, 도시생활자가(5.56)가 농촌생활자(5.47)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다. 둘째, 주거환경 요인별 분석결과, 도시생활자는 생활편의시설의 이용 만족도가 높은데 반해, 농촌생활자는 대기, 소음진동, 녹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셋째, 청년 1인가구의 생활지역에 따라 주거이동의향은 도시생활자가 농촌생활자보다 높다. 넷째,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주거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준다. 특히, 편의시설요인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큰 영향을 주고, 이는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서 공통적이다. 다섯째,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도시지역 생활자는 특정 요인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농촌지역 생활자는 문화관광스포츠요인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청년 1인가구는 도시활력 유지와 거주안정성 강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청년의 높은 주거비 부담을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주택공급, 청년들에게 매력을 줄 수 있는 주거환경 정비가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분석방법 Ⅲ. 탐색적 분석 Ⅳ. 실증분석 : 주거환경 만족도 및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분석방법 Ⅲ. 탐색적 분석 Ⅳ. 실증분석 : 주거환경 만족도 및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운, "청년층 1인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영향요인 분석" 9 (9): 33-54, 2020

      2 마을학회 일소공도, "청년의 지방 이주 지원 정책 추진 실태와 개선 방안" 2018

      3 김비오, "청년가구의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408-436, 2019

      4 김영주,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과 우울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241-250, 2020

      5 지은영,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복지를 위한 쉐어하우스 거주 실태와 요구도: 입주자와 잠재 수요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4 (54): 589-598, 2016

      6 이상명, "저소득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고찰 -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법정책학회 17 (17): 1-30, 2017

      7 강은나,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4 : 47-56, 2016

      8 최서윤,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특성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 : 259-273, 2017

      9 김진현, "서울시 1인 가구 주택점유 형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321-336, 2019

      10 통계청,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등록센서스 방식 집계 자료"

      1 이상운, "청년층 1인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영향요인 분석" 9 (9): 33-54, 2020

      2 마을학회 일소공도, "청년의 지방 이주 지원 정책 추진 실태와 개선 방안" 2018

      3 김비오, "청년가구의 주거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408-436, 2019

      4 김영주,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과 우울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 (15): 241-250, 2020

      5 지은영,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복지를 위한 쉐어하우스 거주 실태와 요구도: 입주자와 잠재 수요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4 (54): 589-598, 2016

      6 이상명, "저소득 1인 가구 지원에 관한 고찰 - 주거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법정책학회 17 (17): 1-30, 2017

      7 강은나,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34 : 47-56, 2016

      8 최서윤,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특성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 : 259-273, 2017

      9 김진현, "서울시 1인 가구 주택점유 형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321-336, 2019

      10 통계청, "2019년 인구주택총조사 등록센서스 방식 집계 자료"

      11 조주현, "1인 가구의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6 (16): 33-52, 2010

      12 윤덕환, "1인 가구공유주택 관련 인식 조사" (주)마크로밀엠브레인 1-19, 2019

      13 이지연,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거형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학회 44 (44): 93-107,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6 0.8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