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제 복잡성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 양상 = Aspects of spoken language production of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ask complex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50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과제의 인지적 복잡성이 학습자의 구어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Robinson(2011)에서 제시한 과제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영영 체계 중 과제 복잡...

      본 연구는 과제의 인지적 복잡성이 학습자의 구어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Robinson(2011)에서 제시한 과제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영영 체계 중 과제 복잡성(인지적 요소)의 하위 요소인 ‘+/- 적은 과제 구성 요소의 수’(인지자원집중변인)와 ‘+/- 사전 계획 시간(인지자원분산변인)’을 조작하여 과제의 유형을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가 복잡해질수록 학습자 발화에서 복잡성과 유창성은 증가했지만 정확성은 감소하였으며 기술 통계상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전 계획 시간을 제공한 집단에서 학습자 언어의 유창성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통계상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정확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를 목표어로 학습자들의 언어 산출을 관찰한 Lee(2000, 2002)와 일부 유사한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Robinson의 인지 가설과 기존의 연구들(Robinson, 1995; 2001a)과는 일부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제의 인지적 복잡성이 학습자의 구어에서 정확성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자의 구어 산출의 복잡성과 유창성을 발달시키는 데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gnitive complexity of the task on the calculation of learners' spoken. This study designed the type of task by manipulating the sub-factors of the complexity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gnitive complexity of the task on the calculation of learners' spoken. This study designed the type of task by manipulating the sub-factors of the complexity of the task presented by Robinson (2011): '+/- fewer task components' and '+/- pre-prep time'. A total of 32 lear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erformed two types of tasks, and they performed tasks with the same researcher.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examine learner language calculation as a who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lexity of the task, as well as the factors used to control the complexity of the task in detail. By examining learners' language output in three aspects: accuracy, complexity, and fluency,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learners' language performance varies in each aspect.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basis for how much task complexity should be produced and execut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selecting an appropriate task depending on which aspect of Korean speech is emphasized among accuracy, complexity, and fluenc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