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도서관에서 수집된 한국 고서들은 수집가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 19세기에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 대학은 세계 최초로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였으며,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37049
2012
Korean
905.000
KCI등재
학술저널
3-24(2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해외도서관에서 수집된 한국 고서들은 수집가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 19세기에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 대학은 세계 최초로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였으며, 교...
해외도서관에서 수집된 한국 고서들은 수집가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갖는다. 19세기에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 대학은 세계 최초로 한국어 수업을 개설하였으며, 교재로는 김병옥본 '춘향전'이 사용되었다. 20세기 초까지 한국 고소설은 일본에서 한국어 수업 독해 교재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는데, 러시아에서도 사용된 것이다. 김병옥본 '춘향전'은 외국인의 이해력을 도모하기 위해 삽입구 대부분이 삭제되거나 문장이 변형되었다. 대화체 문장들은 김병옥본과 30여 종의 경판본이 거의 유사했으나, 결말의 도덕성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특징은 김병옥본 '춘향전'이 五倫行實을 기본 가치로 하여 구성되고 있음을 알게 해준다. 김병옥은 한국 문화의 특징으로써의 도덕적인 가치를 고소설 '춘향전'속에 부각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old books collected in the oversea librarie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preference of their collectors. St. Petersburg University in Russia offered Korean classes in 19 century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y used the novel...
Korean old books collected in the oversea librarie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preference of their collectors. St. Petersburg University in Russia offered Korean classes in 19 century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ey used the novel Chunhyang, as a Korean reading text, which was rewritten by Pyung-Ok Kim. Until the early of 20 century, Korean old novels were often used as reading books for Korean classes in Japan. However, in Kim's version of Chunhyang, most of inserted lyrics has been deleted and the sentences has been changed in order for foreigners to understand easily. Comparing with dialog pairs, Kim’s Chunhyang is equivalent with 30 volumes of Kyungpan(Seoul versions), but it has been end with ethical closing, which differs from any other versions. It is in the same line in which Kim’s version of Chunhyang has been followed by O-ryun-hayng-shil (five kinds of good morals), which means that Mr. Kim intended to teach moral and ethical values as Korean cultural factors through the novel Chunhyang.
참고문헌 (Reference)
1 설성경, "춘향예술사 자료총서Ⅰ" 국학자료원 1988
2 유춘동, "책열명록에 대하여" 문헌과 해석사 35 : 2006
3 김동욱, "증보 춘향전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4 유춘동, "일본 토야마[富山]대학 소장, <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컬렉션>의 서지적 연구" 겨레어문학회 (46) : 153-191, 2011
5 이창헌, "방각소설 출판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방각소설의 출판과 언어ㆍ문화의 표준화-" 한국고전문학회 (35) : 141-182, 2009
6 이윤석, "방각본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열상고전연구회 (31) : 117-142, 2010
7 허경진, "고소설 필사자 하시모토 쇼요시의 행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2 : 2011
8 Kramsch, C, "The avatars of literature in language study" 84 (84): 2000
9 Paran, A., "The Role of Literature in Instructed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n Evidence-Based Survey" 41 (41): 2009
10 Hall, G, "Literature in Language Education" Palgrave Macmillan 2005
1 설성경, "춘향예술사 자료총서Ⅰ" 국학자료원 1988
2 유춘동, "책열명록에 대하여" 문헌과 해석사 35 : 2006
3 김동욱, "증보 춘향전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4 유춘동, "일본 토야마[富山]대학 소장, <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컬렉션>의 서지적 연구" 겨레어문학회 (46) : 153-191, 2011
5 이창헌, "방각소설 출판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방각소설의 출판과 언어ㆍ문화의 표준화-" 한국고전문학회 (35) : 141-182, 2009
6 이윤석, "방각본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열상고전연구회 (31) : 117-142, 2010
7 허경진, "고소설 필사자 하시모토 쇼요시의 행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12 : 2011
8 Kramsch, C, "The avatars of literature in language study" 84 (84): 2000
9 Paran, A., "The Role of Literature in Instructed Foreig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An Evidence-Based Survey" 41 (41): 2009
10 Hall, G, "Literature in Language Education" Palgrave Macmillan 2005
11 Carter, R.,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1986~2006: A Review" 17 (17): 2007
12 A.F. Trotsevich, "Description of Manuscripts and Block-Prin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Part I․II" St. Petersburg 2008
13 정병설, "18·19세기 일본인의 조선소설 공부와 조선관 ― <최충전>과 <임경업전>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5) : 27-55, 2005
14 F.G. Vasilyev, ""On the History of Teaching and Researching the Korean Langue at St. Petersburg University" St. Petersburg 1997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4-04-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9-05-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91 | 0.91 | 0.82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83 | 0.83 | 1.368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