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재보존에 있어서 진정성 개념의 속성과 변화 고찰 = analytical study on the definition and nature of authenticity in heritage conser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8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thentic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dition which should be examined in setting ou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inciples of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Compared that the concept has been internationally discussed developing it into the applicable framework such kind of effort has been relatively low within Asian context. This paper is the first half part the research on authenticity which aims at setting out conceptual framework of authenticity in Korean context and presenting a set of suggestion to make the Korean heritage-based concept of authenticity be workable in assessing heritage value in practice. It focused on the analytical review on two aspects: 1. the origin of the word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World Heritage Convention, nt of related international charters; 2. Problems of the intrinsic nature of the concept and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defining the concept.
      번역하기

      Authentic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dition which should be examined in setting ou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inciples of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Compared that the concept has been internationally discussed developin...

      Authentic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condition which should be examined in setting ou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inciples of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Compared that the concept has been internationally discussed developing it into the applicable framework such kind of effort has been relatively low within Asian context. This paper is the first half part the research on authenticity which aims at setting out conceptual framework of authenticity in Korean context and presenting a set of suggestion to make the Korean heritage-based concept of authenticity be workable in assessing heritage value in practice. It focused on the analytical review on two aspects: 1. the origin of the word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World Heritage Convention, nt of related international charters; 2. Problems of the intrinsic nature of the concept and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defining the concep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진정성은 문화재의 가치를 검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문화재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방향과 원칙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검토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므로 우리도 한국 문화재 중심으로 진정성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문화재의 가치평가에 활용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논리적인 보존원칙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존 연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진정성에 대한 연구논문은 보다 깊이있는 논의를 펼치기 위해 두 편으로 나누어 고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 1단계 작업으로서 기존의 국제적 논의에 대한 분석과 진정성 개념이 지닌 문제점과 속성을 고 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진정성에 대한 개념정립과정 과 진정성을 이해하는 관점의 변화과정을 검토하여 국제적으로 전개된 논의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진정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가지고 있는 모순적 측면과 진정성을 문화재 보존이라는 행위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지적 하였다. 또한 진정성이라는 개념의 고유한 속성, 즉 시대에 따라 개념이 변화하거나, 문화별로 의미에 차이가 생기는 진정성의 개념적 유연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2단계가 되는 추가적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재에 적합한 진정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진정성을 문화재 보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보다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지정, 보존, 복원의 원칙을 세울 수 있는 철학적 토대와 실무적인 적용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진정성은 문화재의 가치를 검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문화재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방향과 원칙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검토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므로 우리도 한국...

      진정성은 문화재의 가치를 검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문화재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방향과 원칙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검토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므로 우리도 한국 문화재 중심으로 진정성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문화재의 가치평가에 활용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논리적인 보존원칙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존 연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진정성에 대한 연구논문은 보다 깊이있는 논의를 펼치기 위해 두 편으로 나누어 고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 1단계 작업으로서 기존의 국제적 논의에 대한 분석과 진정성 개념이 지닌 문제점과 속성을 고 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진정성에 대한 개념정립과정 과 진정성을 이해하는 관점의 변화과정을 검토하여 국제적으로 전개된 논의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진정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가지고 있는 모순적 측면과 진정성을 문화재 보존이라는 행위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지적 하였다. 또한 진정성이라는 개념의 고유한 속성, 즉 시대에 따라 개념이 변화하거나, 문화별로 의미에 차이가 생기는 진정성의 개념적 유연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2단계가 되는 추가적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재에 적합한 진정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진정성을 문화재 보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는 보다 한국적 상황에 적합한 지정, 보존, 복원의 원칙을 세울 수 있는 철학적 토대와 실무적인 적용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덕규, "慶州行" 18 : 1921

      2 Labadi, S, "World Heritage, authenticity and post-authenticity: international and national perspectives, In Heritage and globalisation" Loutledge 66-84, 2010

      3 Jokilehto, J, "Viewpoints: the debate on authenticity’" 21 : 6-8, 1995

      4 ICOMOS, "Venice Charter"

      5 World Heritage Centr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6 Fielden, B, "Management guidelines for World Cultural Heritage Sites"

      7 Unesco, "Hoi An Protocols : for best conservation practice in Asia, professional guidelines for assuring and preserving the authenticity of heritage sites in the context of the cultures of Asia, Unesco Bangkok"

      8 Stovel, H, "Effective use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as world heritage qualifying conditions’" 2 (2): 21-36, 2007

      9 Munoz Vinas, S, "Contemporary theory of conservation"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5

      10 Munoz Vinas, S, "Beyond Authenticity, In Art conservation and authenticities: material, concept, context" Archetype Publications Ltd 33-38, 2009

      1 권덕규, "慶州行" 18 : 1921

      2 Labadi, S, "World Heritage, authenticity and post-authenticity: international and national perspectives, In Heritage and globalisation" Loutledge 66-84, 2010

      3 Jokilehto, J, "Viewpoints: the debate on authenticity’" 21 : 6-8, 1995

      4 ICOMOS, "Venice Charter"

      5 World Heritage Centre,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6 Fielden, B, "Management guidelines for World Cultural Heritage Sites"

      7 Unesco, "Hoi An Protocols : for best conservation practice in Asia, professional guidelines for assuring and preserving the authenticity of heritage sites in the context of the cultures of Asia, Unesco Bangkok"

      8 Stovel, H, "Effective use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as world heritage qualifying conditions’" 2 (2): 21-36, 2007

      9 Munoz Vinas, S, "Contemporary theory of conservation"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5

      10 Munoz Vinas, S, "Beyond Authenticity, In Art conservation and authenticities: material, concept, context" Archetype Publications Ltd 33-38, 2009

      11 Lowenthal, D, "Authenticity: rock of faith or quicksand quagmire?"

      12 Jokilehto, J, "Authenticity: a general framework for the concept, In Nara Conference on Authenticity" Unesco 17-34, 1995

      13 von Droste, B, "Authenticity and World Heritage’in K Larsen" Unesco 3-16,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