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풍납토성 성벽 토양의 성분 특성 연구 = compositional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wall soils excavated un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chromaticity, granulometry, ma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rystal structure of wall soils excavated from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using color reader, XRD, particla size analyzer. The analysed so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chromaticity, granulometry, ma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rystal structure of wall soils excavated from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using color reader, XRD, particla size analyzer. The analysed soils of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were yellowish brown and isabella. All samples were sands or sands including silty soil(SW~SC) and showed similar granulometry,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rystal structure, which wer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materials suitable for modern road or airstrip. As resulting in comparison with 4 factors from chromaticity, granulometry, main chemical composition and mineral crystal structure, we decided that the control soils(PNS) near by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were not to be used for the castle wall construction We presumed that there was a huge soil distribution area for the wall construction around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For further study, we will make a comparison analysis all kinds of soil characteristics. And then we can understand correctly about wall soils producing area, construction method, repair method and time of Poongnatoseong Earthen Cast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동성벽 내부토양을 대상으로 색도색차계, XRD, 입도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색도, 입도, 주요화학조 성, 광물결정구조 등을 분석하였다. 성벽토양은 황갈색, 회황색의 ...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동성벽 내부토양을 대상으로 색도색차계, XRD, 입도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색도, 입도, 주요화학조 성, 광물결정구조 등을 분석하였다. 성벽토양은 황갈색, 회황색의 모래 또는 실트질 모래(SW~SC)로 분류되고, 입도와 화학ㆍ 광물학적 특성이 유사하며, 도로나 활주로 등의 성토재료로 적합한 특성임이 확인되었다. 색도, 입도, 화학조성, 강열감량의 4인 자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풍납토성이 위치한 지역의 대조군 토양(PNS)은 성벽축조에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한다. 모든 토양은 풍납토성이 위치한 지역과 지질학적으로 유사한 곳에서 채굴되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성벽 축조 이전에 분포했 던 구지표면의 토양과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적 주변에 대량채굴이 가능했던 토양분포지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 다. 향후 성벽 축조재료의 여러 특성들을 비교ㆍ분석하면, 성벽 내부토양의 산지, 축조방법, 보수방법 및 시기 등을 보다 종합적 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지원, "토양 환경공학" 향문사 2001

      2 신희권, "중한고대 축성방법 비교연구" 호서고고학회 (18) : 56-77, 2008

      3 김수경, "연천 합수리 유적 출토 토기·토양의 광물학 및 지구화학적 특성" 국립문화재연구소 45 (45): 102-121, 2012

      4 조성진, "사정 토양학" 향문사 2002

      5 서민석, "고대 토양의 과학적 분석에 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37) : 309-326, 2004

      6 신희권, "風納土城 築造年代 試論" 한국상고사학회 37 : 29-51, 2002

      7 Casagrande, A.,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s" 113 : 901-930, 1948

      8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igneous rocks" 65 : 1007-1032, 1954

      1 양지원, "토양 환경공학" 향문사 2001

      2 신희권, "중한고대 축성방법 비교연구" 호서고고학회 (18) : 56-77, 2008

      3 김수경, "연천 합수리 유적 출토 토기·토양의 광물학 및 지구화학적 특성" 국립문화재연구소 45 (45): 102-121, 2012

      4 조성진, "사정 토양학" 향문사 2002

      5 서민석, "고대 토양의 과학적 분석에 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37) : 309-326, 2004

      6 신희권, "風納土城 築造年代 試論" 한국상고사학회 37 : 29-51, 2002

      7 Casagrande, A.,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ils" 113 : 901-930, 1948

      8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igneous rocks" 65 : 1007-1032, 19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