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그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97510
정경아 (춘천교육대학교)
2013
Korean
영양교육 ; 식생활 교육 ; 교사 ; 영양교사 ; 초등학교 ; 실태 ; 내용분석 ; nutritional education ; Dietary education ; Teachers ; Dietary teachers ; Elementary school ; Contents analysis
370
KCI등재
학술저널
117-145(29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그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그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은 크게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 현황을 조사한 논문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일반교사와 영양교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효과적인 영양교육 시기와 아동의 주요 영양문제에 대해 공통된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양교육 담당자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논문에서 일반교사와 영양교사 모두 학교 영양교육의 주요 담당자를 ‘영양교사’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담당자로서 일반교사와 영양교사의 역할이 분명히 구분되고 각각의 역할이 모두 중요하기 때문에 어느 한 집단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주요 담당자를 논하는 자체가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현황에 관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일반교사와 영양교사 모두 거의 같은 내용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교육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으며, 영양교육을 할 때 사용하는 교육매체가 매우 제한적이며, 영양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함을 호소하는 공통된 문제점들이 있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전체적인 문제점으로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설문조사시 사용된 영양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한 대상자들의 정확한 인지가 부족하여 이와 관련된 응답결과를 전적으로 신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많은 연구들이 어떤 의도에 의해 수행되었거나, 선행 연구의 오래된 연구 내용을 수정이나 보완 없이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급식을 통해 초등학교에 영양교육의 개념이 도입된 이래 많은 세월이 흘렀고, 그 사이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러므로 선행 연구들의 고정화된 연구 내용에 관례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충분한 고찰을 통해 발전적인 방향으로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 현재의 상황에 맞는 타당한 연구 내용과 방법을 통해, 초등학교 식생활 교육의 진정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들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es on the state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s were classified into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First, the r...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es on the state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s were classified into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First,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es about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were as follows.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ad same thought about the main nutrition problems of the children and the most effective time to start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most researches, the percentages of thinking that dietary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high. This thoughts are needed to be corrected because roles of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are different in the nutritional education.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es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were as follows.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thaught the same contents when doing nutritional education. Also, both of them used a few limited materi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complained of lack of the guideline books and sources that gave reliable information about nutrition. Altogether, researches had the several problems in their results because they were conducted with a deliberate purpose or in accordance with old subjects of the antecedent researches. It has been many years since the concept of nutritional education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school lunch. Over the time, there has been many changes in the circumstance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From now on, researches must be conducted which set the advanced goal and use a valid metho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about these changes instead of just following the fixed subjects of the antecedent researches, for the true develop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아, "학령기 아동의 식생활 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61-196, 2009
2 김소연, "학교영양사의 영양교육 실태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07
3 곽동경, "학교영양사의 영양교사로서의 역할 확대와 자세"
4 방기혁, "학교 환경 요인에 따른 실과교육과정 운영의 문제 및 개선 방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27-45, 2012
5 황순녀, "학교 영양교육의 목표와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1047-, 2003
6 임경숙, "학교 영양교육,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3-6, 2007
7 전세경,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17-135, 2010
8 김경미, "학교 급식관리 및 영양교육에 대한 행정담당자 및 영양사의 의식 실태 조사 연구" 7 (7): 129-137, 2001
9 성주희, "충남 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최미경, "충남 일부 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학교를 통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6 (16): 39-48, 2010
1 정경아, "학령기 아동의 식생활 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161-196, 2009
2 김소연, "학교영양사의 영양교육 실태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07
3 곽동경, "학교영양사의 영양교사로서의 역할 확대와 자세"
4 방기혁, "학교 환경 요인에 따른 실과교육과정 운영의 문제 및 개선 방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27-45, 2012
5 황순녀, "학교 영양교육의 목표와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1047-, 2003
6 임경숙, "학교 영양교육,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3-6, 2007
7 전세경, "학교 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17-135, 2010
8 김경미, "학교 급식관리 및 영양교육에 대한 행정담당자 및 영양사의 의식 실태 조사 연구" 7 (7): 129-137, 2001
9 성주희, "충남 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최미경, "충남 일부 지역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학교를 통한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6 (16): 39-48, 2010
11 정경아, "춘천지역 일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식습관 및 식품섭취와 충동성 및 공격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18 (18): 190-204, 2012
12 윤지선,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만족과 인식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259-1264, 2012
13 이지은, "초등학생의 식습관 실태 및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79-93, 2005
14 윤선주,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 및 전통 식생활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558-567, 2010
15 김유경, "초등학생 학부모들의 자녀 간식 및 식생활 교육에 대한 실태 및 인식"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596-602, 2010
16 김현정,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현황과 방법에 대한 문헌고찰"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정인경, "초등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73-85, 2005
18 정경아, "초등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영양교육 자료의 현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107-137, 2008
19 김희연, "초등학교 영양사의 영양교육실태와 고학년 아동의 식습관,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0 이연경,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도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016-1024, 2006
21 서은나, "초등학교 영양교육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서울 시내 일부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31 (31): 787-798, 1998
22 서은나, "초등학교 영양교육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 서울 시내 일부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3 이연경,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교육자, 학습자 및 그 부모 대상 요구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12 (12): 89-101, 2006
2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수학, 과학, 실과 -"
25 김경애,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7 (7): 13-30, 2004
26 오순희,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 광주·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7 김주영, "초등학교 교사의 식생활교육 실시를 위한 교육 요구도 조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183-193, 2012
28 노정숙,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 창원 및 밀양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9 이경혜,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활동중심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2 (12): 299-306, 2006
30 정경아,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교사의 식생활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춘천지역 일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조리학회 18 (18): 266-285, 2012
31 교육과학기술부,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32 한양희, "전주·완주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3 박유화, "전국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 및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시를 위한 학교에서의 인식도 조사" 한국영양학회 39 (39): 403-416, 2006
34 염초애, "전국 국민학교 학부모와 교장선생님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조사" 1 (1): 89-95, 1995
35 박정아, "인천지역 초등학교 영양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9 (9): 716-724, 2004
36 박정아, "인천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조사 : 교사·영양사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7 박정아, "인천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37 (37): 928-937, 2004
38 천종희, "인천시 초등학교의 급식운영 및 관리와 영양교육실태" 14 (14): 417-429, 1999
39 전의희,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실태와 연계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0 김은정, "울산지역 초등학생의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1 김나영, "울산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시교와 미실시교의 영양지식·식행동 및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 조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2 성기숙, "울산지역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영양 및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3 모수미, "우리나라 영양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23 (23): 208-212, 1990
44 박영숙, "영양교육과 상담"
45 이지영, "영양교육 실시교와 미실시교 초등학생들의 영양지식?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4 (14): 561-570, 2004
46 배인숙,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직무설정을 위한 초등학교 영양사와 학생의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도 조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영양사협회 11 (11): 393-404, 2005
47 김희진, "영양교사 제도 도입 및 영양교육에 대한 학교관계자들의 인식 분석 : 부산·경남 일부 지역 공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8 강인수, "영양교사 자격ㆍ양성 및 임용 방안 연구"
49 전은주, "영양교사 배치 후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09
50 김용익, "실과 체험학습의 의미, 이점, 원리 탐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26, 2012
5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실과 교과서 6학년"
5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실과 교과서 5학년"
53 김주영, "식생활교육지원법 실시 이후 초등학교 식생활 교육 실태 및 인식" 한국식품영양학회 24 (24): 295-305, 2011
54 기획재정부, "식생활교육기본계획"
55 이호철, "식생활 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56 정은자, "서울지역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실시에 관한 조사연구" 1996
57 박소현, "서울지역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및 상담 현황과 개선방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8 김혜란, "부산지역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I -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 대한영양사협회 14 (14): 276-290, 2008
59 최영은, "부산지역 초등학교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조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60 오유진, "면접조사를 통한 초등학생의 영양교육 실태 및 실천도 조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499-509, 2008
61 이선민, "대구시 초등학교 영양교사들의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09
62 이영남, "급식학교의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15 (15): 294-299, 1986
63 한혜영, "급식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이 아동의 영양지식, 식생활태도, 식습관, 식품 기호도 및 잔식량에 미치는 영향" 30 (30): 1219-1228, 1997
64 정남희, "광주ㆍ전남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실태 조사" 8 (8): 11-22, 2005
65 허은실, "경남지역 초등학교 영양사의 영양교육 실시현황 및 인식조사 -공동관리 여부와 경력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6-793, 2002
66 윤현숙, "경남지역 초등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6 (6): 84-90, 2001
67 정효숙,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8 (28): 229-240, 2012
68 윤현숙, "경남 일부지역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실시현황" 5 (5): 63-73, 2000
69 손근영, "경남 김해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0 박남경, "경기도 지역 학교 영양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인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1 전지혜, "경기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8 (18): 335-348, 2007
72 박영심, "경기 북부 지역 초등학교 영양사의 영양 교육 실시 현황"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183-192, 2006
73 김정현, "가정과교육에서의 학교 식생활교육 방향 모색"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 (22): 187-201, 2010
74 전세경, "‘가정생활’교육의 교사교육을 위한 실과교육 교재의 내용 구성 체계화 및 상세화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241-282, 2008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한 식생활교육이 초등학생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초등학교 전통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
녹색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03 | 1.387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