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논리철학논고와 철학적 탐구를 기준으로 하여 전기와 후기로 대분된다. 그의 철학에 있어 상이하다고 평가되는 전기와 후기를 관통하는 일관적인 특징이 있다. 그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8563
임윤정 (충남대학교)
2010
Korean
지시적 정의 ; 언어놀이 ; 사용 ; 어떤 다른 교육(훈련) ; 어린이 철학 ; ostensive definition ; language-game ; use ; different training ; Children Philosophy
KCI등재
학술저널
213-238(2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논리철학논고와 철학적 탐구를 기준으로 하여 전기와 후기로 대분된다. 그의 철학에 있어 상이하다고 평가되는 전기와 후기를 관통하는 일관적인 특징이 있다. 그것...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논리철학논고와 철학적 탐구를 기준으로 하여 전기와 후기로 대분된다. 그의 철학에 있어 상이하다고 평가되는 전기와 후기를 관통하는 일관적인 특징이 있다. 그것은 철학은 이론이 아니라 활동이라고 간주하고 있는 점과 철학적 성과가 철학적 명제의 명료화에 있다고 보는 점이다. 철학적 문제들은 언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활동으로서의 철학은 언어비판이라는 생각 또한 유지된다. 그래서 이제 그의 철학의 과업은 언어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 되었다. 그의 전기 언어관은 “그림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의 언어는 단순하고, 확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다. 반면 그의 후기 언어관에서는 일상 언어의 분석에 집중했는데, 특히 언어의 사용에 집중했다. 비트겐슈타인의 전기 언어관을 설명하는데 있어 지시적 정의 개념을 아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먼저 지시적 정의와 지시적 가르침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 방법이 낱말의 의미를 가르치는데 있어 잘못된 방법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으나, 낱말의 실제 사용에 있어서 충분한 방법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언어(놀이)의 사용에 집중한다. 언어는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언어들의 유사성을 규칙성에서 찾았다. 비트겐슈타인은 규칙을 훈련을 통해 배울 수 있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다루었다. 먼저 1) 지시적 정의에 대해 설명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2) 언어놀이의 다양성과 가족 유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시적 정의로 낱말의 의미를 가르치는 데 있어서 부족한 측면을 언어놀이를 통해서는 설명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3) 언어-낱말-의 의미가 확정적이고 고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용을 알 때 그 의미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언어의 사용을 훈련이라는 개념과 연관 지어 고찰하였다. 4) 언어의 사용을 안다는 것은 그 규칙을 아는 것이기에 언어 사용의 규칙에 대해 알아보았다. 5) 마지막으로 지시적 정의가 어떤 다른 교육과의 결합 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가정한 후, 그에 해당하는 몇 가지 사례들을 어린이 철학교육의 사례들에서 찾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tgenstein's intellectual life is divided into two periods : his earlier representative writing i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and his later one 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There are both similar and different features in these two books...
Wittgenstein's intellectual life is divided into two periods : his earlier representative writing i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and his later one 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There are both similar and different features in these two books. A common feature, philosophy is not the theory but the activity. And problems in philosophy result from a misunderstanding of language. Thus the object of philosophy become the critique of the language. His later philosophy is said as "use theory". An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Wittgenstein's main object was the analysis of ordinary language, the use of language.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ostensive definition to explain Wittgenstein’s early view on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ostensive definition and indication. Although his method to find out meanings of words is not said to be wrong, it was not sufficient to be applied to the actual use of words. So, Wittgenstein’s later view on language focuses on use of language (game). Language has various aspects. Wittgenstein found the various similarities of language in their patterns, which he argues can be learned by their rules. This paper examines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ostensive definition is explained and their problems are pointed out. And then, diversity of language -game and its similarity are examined. Since meanings of language-word- are not definitened fixed, to know its meaning, the context must be examined. Therefore, second, use of language is understood by connecting a concept, training. Third, to know use of language means to know its rules, and thus, rules of language usage is explored. Lastly, given the fact that ostensive definition creates positive results by being combined with other education fields, several case studies that reflect that proposition in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are present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상필,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연구" 부산대학교 2004
2 비트겐슈타인, L, "확실성에 관하여" 책세상 2006
3 비트겐슈타인, L, "청색책. 갈색책" 책세상 2006
4 비트겐슈타인, L, "철학적 탐구" 책세상 2006
5 매튜스, G.B, "철학과 아동" 문지사 1996
6 발터 벤야민,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번역자의 과제 외" 길 2008
7 매튜스, G.B,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 서광사 1986
8 에케하르트 마르텐스, "어린이와 함께 철학하기" 지리소 2000
9 죠지 핏쳐,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서광사 1988
10 김학근, L,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 하상필,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 연구" 부산대학교 2004
2 비트겐슈타인, L, "확실성에 관하여" 책세상 2006
3 비트겐슈타인, L, "청색책. 갈색책" 책세상 2006
4 비트겐슈타인, L, "철학적 탐구" 책세상 2006
5 매튜스, G.B, "철학과 아동" 문지사 1996
6 발터 벤야민,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번역자의 과제 외" 길 2008
7 매튜스, G.B,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 서광사 1986
8 에케하르트 마르텐스, "어린이와 함께 철학하기" 지리소 2000
9 죠지 핏쳐,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서광사 1988
10 김학근, L,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1 이재승, "비트겐슈타인 언어철학의 실천적 측면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05
12 비트겐슈타인, L, "논리철학논고" 책세상 2006
13 Wittgenstein, L,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Routledge&Kegan Paul 1933
14 Wittgenstein, L, "The Blue and Brown Books" Basil Blackwell 1958
15 Wittgenstein, L,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asil Blackwell &Mott 1958
16 Wittgenstein, L, "Philosophical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17 Wittgenstein, L, "On Certainty" Basil Blackwell 1969
18 레이 몽크, "How To Read 비트겐슈타인" 웅진지식하우스 2007
현대 폭력론에 관한 연구 ― 발터 벤야민의 「폭력 비판론」에 대한 데리다의 독해를 중심으로
M. 하이데거의 있음(존재) 이해 ― <형이상학 입문>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