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해안 지역의 농업부문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를 위한 밭작물 지표종 선정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An Upland Indicator Plant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8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try to develop an upland indicator plant selection model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Climate and upland agricultural production data of Jeollanamdo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or finding the relation. We induced vulnerability from the sensi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per unit area for excluding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agriculture. The duration of sunshine per year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of climate data because it has discrimination in climate data and relative to total upland agricultural production. Results show that upland indicator plants of climate change are bean in Goheung-gun, green onion in Gokseong-gun, pepper in Gurye-gun, potato in Naju-si, cucumber in Mokpo-si, melon in Muan-gun, allium fistulosum in Sinan-gun, potato in Yeongam-gun, carrot in Wando-gun, spinach in Jangseong-gun, pumpkin in Jindo-gun, and cabbage in Hwasun-gun. We verified that agricultural production per unit area of some upland crops in each region relate with climate change. If there are researches about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ion per unit area by technical development in each crop, we can estimat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to agriculture by region.
      번역하기

      In this research, we try to develop an upland indicator plant selection model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Climate and upland agricultural production data of Jeollanamdo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or finding the rela...

      In this research, we try to develop an upland indicator plant selection model for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Climate and upland agricultural production data of Jeollanamdo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for finding the relation. We induced vulnerability from the sensi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ion per unit area for excluding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agriculture. The duration of sunshine per year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of climate data because it has discrimination in climate data and relative to total upland agricultural production. Results show that upland indicator plants of climate change are bean in Goheung-gun, green onion in Gokseong-gun, pepper in Gurye-gun, potato in Naju-si, cucumber in Mokpo-si, melon in Muan-gun, allium fistulosum in Sinan-gun, potato in Yeongam-gun, carrot in Wando-gun, spinach in Jangseong-gun, pumpkin in Jindo-gun, and cabbage in Hwasun-gun. We verified that agricultural production per unit area of some upland crops in each region relate with climate change. If there are researches about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ion per unit area by technical development in each crop, we can estimat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to agriculture by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남, "주요 과수 재배지대의 기후특성"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90

      2 전라남도, "전라남도 시·군 통계연보"

      3 장동호, "전남 남해안의 기온상승에 따른 참다래 재배 분포 변화" 한국지형학회 15 (15): 83-92, 2008

      4 허인혜, "우리나라에서 기온 상승이 식생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나무와 마늘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5 (15): 67-78, 2006

      5 윤진일, "산악지대의 일 최저기온 공간내삽모형" 2 (2): 175-182, 2000

      6 김경덕, "농업전망시뮬레이션모형 KREI-ASMO99"

      7 나영은,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방안에 관한 국외 동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 (19): 93-100, 2007

      8 김창길,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농업부문 파급영향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9 기상연구소,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 개발(III)"

      10 윤성호, "기후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3 (3): 220-237, 2001

      1 임정남, "주요 과수 재배지대의 기후특성"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90

      2 전라남도, "전라남도 시·군 통계연보"

      3 장동호, "전남 남해안의 기온상승에 따른 참다래 재배 분포 변화" 한국지형학회 15 (15): 83-92, 2008

      4 허인혜, "우리나라에서 기온 상승이 식생분포에 미치는 영향 -대나무와 마늘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5 (15): 67-78, 2006

      5 윤진일, "산악지대의 일 최저기온 공간내삽모형" 2 (2): 175-182, 2000

      6 김경덕, "농업전망시뮬레이션모형 KREI-ASMO99"

      7 나영은,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방안에 관한 국외 동향"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 (19): 93-100, 2007

      8 김창길,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농업부문 파급영향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6

      9 기상연구소, "기후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 개발(III)"

      10 윤성호, "기후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3 (3): 220-237, 2001

      11 윤진일, "기후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일의 시공간 변이" 한국농림기상학회 8 (8): 68-76, 2006

      12 이승호, "기후변화가 농업생태에 미치는 영향 -나주지역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43 (43): 20-35, 2008

      1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14 김춘송, "기후 변화에 따른 영남지역의 벼 출수적기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9 (9): 17-28, 2007

      15 권은영, "기온자료에 근거한 주요 포도품종의 휴면해제 및 발아시기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 7 (7): 185-191, 2005

      16 이용선, "과채류의 작형별 단수함수 추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4

      17 Burrough, P. A.,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8 Jingyun, Z., "Impacts of climate warming on plants phenophases in China for the last 40 years" 47 : 1826-1831, 2002

      19 김성준, "GIS 개념과 기법" 시그마프레스 2005

      20 Chmielewski, F-M., "Climate change and trends in phenology of fruit trees and field crops in Germany, 1961-2000" 121 : 69-78, 2004

      21 Wolfe, D. W., "Climate change and shifts in spring phenology of three horticultural woody perennials in northeastern USA" 49 : 303-309, 2005

      22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3 Sparks, T. H.,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ering times and temperature at the national scale using long-term phenological records from the U.K" 44 : 82-87, 2000

      24 UNDP, "Adaptation policy frameworks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 policies, and measur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