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만들어진 척도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타문화 검사 번안’ 방법으로 국내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세 가지 번안 절차, 즉, ‘번역 후 문항검토(번역본)’, ‘번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17132
AhyoungKim (Ewha Womans University) ; Eun-YoungLim (Ewha Womans University)
2003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9-113(25쪽)
2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만들어진 척도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타문화 검사 번안’ 방법으로 국내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세 가지 번안 절차, 즉, ‘번역 후 문항검토(번역본)’, ‘번역...
이 연구는 타문화권에서 만들어진 척도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타문화 검사 번안’ 방법으로 국내에서 주로 적용하고 있는 세 가지 번안 절차, 즉, ‘번역 후 문항검토(번역본)’, ‘번역, 역번역 후 문항검토(역번역본)’, ‘번역, 역번역, 검사 타당화 검증(타당화본)’의 세 가지 절차들 간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효과의 차이는 각 절차를 적용해 제작된 세 가지 검사지를 711명의 초등학교 남녀 학생들의 세 번에 걸친 반복 측정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세 가지 척도에 대한 반응 경향성의 비교, 신뢰도, 문항-총점간 상관 패턴, 요인간 상호상관 패턴, 외적 준거변인과의 관련 경향성, IRT를 적용한 문항모수치의 특성 및 양호도 비교 등을 통해 원 척도와 번안된 척도의 동등성을 비교하였다. 전체적인 연구 결과는 타당화본이 모든 측면에서 가장 양호한 척도임을 보여주었고 역번역본이 번역본보다 구성요인에 있어서 원본과 더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문화권 척도를 도입할 때 필수적으로 따라야 하는 역번역 절차와 타당화 절차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국내에서 타문화권에서 제작된 검사를 도입할 때의 적법한 절차 도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ree types of practice in enhancing the validity and equivalency of test instruments when cross-cultural adaptation of attitude measures is necessary. The three types of practice a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ree types of practice in enhancing the validity and equivalency of test instruments when cross-cultural adaptation of attitude measures is necessary. The three types of practice are: (1) translation and review; (2) translation, back translation, and review; (3) translation, back translation, review, and empirical validation study. Seven hundred and thirty four 5th graders from three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ponses on the three test versions and two other motivation scales were collected within a 3-week period with approximately one-week intervals.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validation version is most superior in all aspects. Furthermore, back translation version is superior to the translation version in terms of its similarity to the validation version and construct-related evidence. Results from IRT analysis reveal that the item qualities of the validation version is superior to the other two versions. Discussions are provided in terms of the nature of the adapted attitude scales.
발달심리학의 연구대상에 대한 과학철학적 탐색: 발달현상의 연구와 발달적 맥락의 의미
Affect among Koreans: New Scales and their Structure
청소년기 제한형 및 평생 지속형 범죄 청소년의 판별변인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6-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3 | 2.1 | 2.669 | 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