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공, 스크린 재현의 정치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49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emale Workers have been an important part of Korean society. Since the 1960s, a great number of young women have moved to large cities and became factory workers. With all physical hardship and low wages, they have chosen to be factory workers to sup...

      Female Workers have been an important part of Korean society. Since the 1960s, a great number of young women have moved to large cities and became factory workers. With all physical hardship and low wages, they have chosen to be factory workers to support their families and to escape to cities. Sometimes they protested against abusive treatment by male supervisor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With all their presenc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find female workers in commercial cinema. Korean film makers have hesitated to feature the life of female factory workers. Nevertheless, some film makers have attempted to bring female workers to life in the name of 'realism' and 'history'. This made possible the production of Guro Aryrang(1989) and A Single Spark(1995).
      This essay attempts to analyze the way these two exceptional films represent female workers. Even though film makers claim to support workers and labor movement, the way they depict female workers is somewhat problematic. They eventually downgrade women workers' intelligence and will, by relying on a certain kind of narrative pattern. By exploring the narrative pattern, this essay will highlight the political limitation of these so called labor fil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구로 아리랑〉, 여공과 지식인
      • 3.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여공의 스승
      • 4. 과잉된 역사, 실종된 역사
      • 참고문헌
      • 1. 들어가며
      • 2. 〈구로 아리랑〉, 여공과 지식인
      • 3.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여공의 스승
      • 4. 과잉된 역사, 실종된 역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동미, "한국영화산업구조분석-할리우드 영화 직배 이후를 중심으로" 영화진흥위원회 2001

      2 이효인, "한국영화사공부 1960~1979" 이채 2004

      3 김미숙, "한국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노동정책: 1960-2000" 한국인구학회 29 (29): 133-156, 2006

      4 영화진흥공사, "한국 영화자료 편람" 영화진흥공사 1977

      5 조용준(, "전태일은 이 시대에도 유효하다-영화 ‘전태일’ 찍는 박광수 감독" 1995

      6 신경아, "저임금 여성노동자'와 노동시장 담론" 한국여성연구원 22 (22): 3-34, 2005

      7 지승호(, "작가적 양심을 갖고 느낀 현실 그대로 보여주고자 한다" 2007

      8 황석영, "오래된 정원" 창비 2000

      9 조진희, "영화의 재구성" 한나래 2007

      10 최재욱, "영화를 활용한 주제중심 역사학습 모형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이화여대 2005

      1 황동미, "한국영화산업구조분석-할리우드 영화 직배 이후를 중심으로" 영화진흥위원회 2001

      2 이효인, "한국영화사공부 1960~1979" 이채 2004

      3 김미숙, "한국여성노동력의 성격변화와 노동정책: 1960-2000" 한국인구학회 29 (29): 133-156, 2006

      4 영화진흥공사, "한국 영화자료 편람" 영화진흥공사 1977

      5 조용준(, "전태일은 이 시대에도 유효하다-영화 ‘전태일’ 찍는 박광수 감독" 1995

      6 신경아, "저임금 여성노동자'와 노동시장 담론" 한국여성연구원 22 (22): 3-34, 2005

      7 지승호(, "작가적 양심을 갖고 느낀 현실 그대로 보여주고자 한다" 2007

      8 황석영, "오래된 정원" 창비 2000

      9 조진희, "영화의 재구성" 한나래 2007

      10 최재욱, "영화를 활용한 주제중심 역사학습 모형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이화여대 2005

      11 김혜준, "영화 ‘바람 불어 좋은날’에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사이-1초에 24발의 총알이 위로하는 시대를 산다" 96 (96): 118-123, 1996

      12 이정희(, "영화 ‘구로아리랑’ 배우 아닌 배우 도혜경양" 1989

      13 이기형, "영상 텍스트와 역사 재현의 정치학" (15) : 29-56, 2006

      14 권덕영, "역사와 역사소설 그리고 사극 ― 장보고와 ‘해신’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60 (60): 141-172, 2006

      15 김원, "여공 1970" 이매진 2006

      16 김봉석, "아름답지 않은 영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이대 총학생회 1995

      17 민족영화연구소, "민족영화" 친구 1990

      18 이순용, "데뷔작품 ‘구로아리랑’으로 주목받는 신인 박종원 감독" 1989

      19 김홍숙, "김영동의 음악과 군화발-박종원의 ‘구로아리랑’" 57 : 196-197, 1989

      20 Spivak, Gayatri Chakravorty, "In Other Words: Essays in Cultural Politics" Routledge 1988

      21 박광희(, "95년 겨울 진태일은 부활했다-박광수 감독 인터뷰" 1995

      22 윤택림, "1970년대 여성 노동자의 일상생활과 노동운동의 의미, 여성노동자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17 : 33-62, 2002

      23 정지윤, "1960년대 멜로드라마 영화에서 재현된 하층계급 여성연구" 숙명여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